• 제목/요약/키워드: Geoje Island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19초

표지방류 조사를 통한 거제 외포 주변해역 대구(Gadus macrocephalus) 자원량과 어획사망률 추정 (Estimating the Abundance and Fishing Mortal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Jinhae Bay, Korea, Using a Mark-Recapture Method)

  • 황강석;최일수;정석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99-506
    • /
    • 2012
  • We estimated the population size and fishing mortal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waters off Woipo, Geoje Island, Korea, using a mark-recapture method. We marked and released 51 cod>50 cm in total length; six were recaptured by local fishermen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15 to 31, 2009. The estimated population size was ca. 180,000 and the fishing mortality of the exploitable cod was 26%. Although we could assume a closed population due to the short survey period, we evaluated the uncertainty in the estimates by applying bootstrap resampling because the sample size was small. The estimated 95% confidence interval was 94,000-568,000 for the population size and 8-49% for fishing mortality. Our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pplication of mark-recapture methods and bootstrap resampling can be useful in stock assessment for fisheries management in Korea, but requires a larger sample size, spatially extensive coverage, and sophisticated mark-recapture models based on a refined sampling design for reliable stock assessment and biological reference points in sustainable cod management.

남해 장목만 부착생물의 PVC 인공부착판에서의 가입양상 (Recruitment patterns of sessile organisms on the artificial PVC panels in Jangmo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진우;박소현;서진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3
    • /
    • 2011
  • 남해안 거제도 연안인 장목항에 인공부착판을 투입하여 주요한 부착성 저서동물의 가입양상을 조사한 결과, 3월에는 파래, 4월에는 지중해담치가, 5월에는 지중해담치와 유령멍게가 가입되었고, 6월에는 유령멍게와 다발이끼벌레류가, 8월에는 주걱따개비와 해변말미잘이 가입되었으며, 10월에는 석회관갯지렁이가 가입되었다. 월별로 투입된 부착판 1개월간 가입된 생물의 습중량은 5-6월에서 가장 많았다. 각 종들의 산란시기에 의해서 종 특유의 가입시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Karyotypic Analysis of Aster spathulifolius According to Native Area

  • Yoon Pyung-Sub;Park Hye-Mi;Kim Dong-Min;Kim Hyun-Hee
    • Plant Resources
    • /
    • 제8권3호
    • /
    • pp.244-249
    • /
    • 2005
  • The growth charateristics and karyotypes of Aster spathulifolius collected from 5 sites including coastal and island region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analysed. Seve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such as leaf length, leaf width, top internode, medium internode, spike branching, flower diameter, number of petal, leaf color, leaf form, stem and leaf hair, viscosity, and serration of the plants were distinc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native region from which they were collected. Karyotypic analysis showed that the chromosome number was all diploid (2n=18), with one pair of submetacentric satellite chromosomes. The chromosome composition included 7 pairs of metacentric chromosomes and 2 pairs of submetacentric chromosomes in all plants. However, chromosome order and the ranges of the chromosome lengths were a little different from plant to plant according to their native growing regions. The plants from Geoje-Do especially showed large differences in the chromosome lengths between the longest and the shortest compared to the plants from other places. This results provide important data to support the classification of the species into several sub-species.

  • PDF

거제도 인근해상에서 운용되는 함정의 적외선 신호 변화 특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Infrared Signature Variations of a Naval Ship Operated at sea Near Geoje-do Island)

  • 길태준;김태국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4
    • /
    • 2014
  •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infrared signature of a naval ship to survive against various missile attacks under vari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As guided missiles are developing to equip more accurate IR seekers, research works for countermeasure and IR stealth technology are strongly required. But challenging works are continuously suggested for predicting and analyzing IR signal status of naval ships to achieve low observable performance under various weather conditions, variable missions and developing threats. In this study, overall guidelines of setting design criteria for low observable ships are proposed by considering vary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daily and seasonal variations. Test and evaluation criteria for newly constructed ships for target and background temperature difference is proposed as a design criteria which can be predicted by change of condition and ship's speed. Through the proposed techniques and procedures, it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by using temperature, IR Signal differences between the ship and the background.

거제도 화산암의 암석학적 연구 (Petrology of the Volcanic Rocks in Geoje Island, South Korea)

  • 윤성효;이준동;이상원;고정선;서윤지
    • 암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8
    • /
    • 1997
  •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해안 도서지역중 거제도 일대의 화산암류를 대상으로 암석 기재, 암석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화산암류의 조구적 위치 및 성인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역의 화산암류는 백악기의 퇴적암층을 기반으로 피복하여 주로 안산암질 화성쇄설암과 용암류가 교호로 누적된 산상 즉, 최하부는 두터운 화산각력암, 응회각력암 및 라필리응회암 누층으로 구성되고, 상부로 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산암 용암류가 라필리응회암과 응회암을 협재하며 빈번하게 노출되고 최상부에는 데사이트-유문암질 용결회류응회암류가 분포한다. 본 역의 화산암류는 주성분 화학조성으로 볼 때, 현무암에서 현무암질안산암, 안산암, 데사이트 그리고 유문암에 이르는 넓은 성분 조성을 하며 전형적인 BAR조합을 나타낸다. 본 역의 화산암류는 칼크-알칼리암계열에 속하며, SiO2에 대한 K2O 성분에서 medium-K의 조성을 나타내고, La, Th 및 Nb 상관도에서 조산대안산암(orogenic andesite)의 영역에 도시된다. 미량원소 함량을 MORB값으로 표준화한 spider diagram에서 Sr, K, Rb, Ba, Th 등이 다른 원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지는 반면, Nb, P, Ti, Cr의 함량이 낮은, 지판의 침강 섭입에 관련된 대륙연번부/도호의 조구적환경에 관련된 암석들에 나타나는 특징을 잘 나타낸다. 희토류원소를 chondrite로 표준화한 그림에서는 전체적으로 LREEs가 HREEs에 비하여 부화되어 있으며, 현무암에서 현무암질안산암, 안산암, 데사이트 및 유문암으로 감에따라 Eu의 '-'이상이 점진적으로 커지며, 변화패튼이 대체로 평행한 배영을 보여주므로 본 역의 암석들은 동원마그마에서 유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구조위치 판별도에서 본 역의 화산암류는 지판이 침강 섭입하는 지판경계부에서 생성된 마그마로부터 유래한 화산암의 조구적 위치 즉 정상적인 대륙연변호(normal continental margin arc)의 영역에 해당한다. 거제도지역의 화산암류는 약 10% 정도의 맨틀물질의 부분용융으로 형성된 현무암질 시원마그마가 생성되어 지각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분별되어 칼크-알칼리 안산암질 마그마가 형성되었으며, 이 마그마로부터 계속 분별결정작용, 동화작용 및 마그마 혼합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화산암류를 형성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경남 거제 명사 사질연안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Fish Assemblages in Sandy Shore of Myeongsa on Geoje Island, Korea)

  •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9
    • /
    • 2012
  • 이번 연구는 잘피밭과 인접한 사질연안의 어류상을 관찰하고, 서식지로서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실시하였다. 총 38종, 1,232개체 5,277.7 g이 채집되었으며, 주요 어종은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 복섬($Takifugu$ $niphobles$), 미역치($Hypodytes$ $rubripinnis$),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이며 전체 개체수의 73.2%를, 생체량에서는 53.9%를 차지하였다. 월별 수온은 $11{\sim}25^{\circ}C$ 범위였으며, 염분은 29~35 psu 범위였다. 월별 종 다양성 지수는 0.89~2.35로 2010년 3월이 0.89로 가장 낮았으며, 6월이 2.35로 가장 높았다. 명사 사질연안의 어류 종조성과 풍도는 거제 구조라 사질연안보다 높았으며, 잘피밭에도 서식하는 어종이 다수 채집되었다. 다른 사질연안의 어류군집구조와 비교하여 명사 사질연안 어류 서식지의 특성을 서술하였다.

거제도 장목항에서 적조원인생물 Akashiwo sanguinea(Dinophyceae): 형태, 분자계통학적 특성 및 온도와 염분에 따른 성장 특성 (Bloom-forming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Dinophyceae) in Jangmok Harbour of Geoje Island, Korea: Morphology, phylogeny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growth)

  • 한경하;;윤주연;강병준;김현정;서민호;서호영;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19-128
    • /
    • 2019
  • 거제도 장목항에서 분리한 Akashiwo sanguinea의 형태와 계통학적 특성을 명확히 하고, 여러 온도와 염분구배에 따른 성장조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A. sanguinea의 세포는 오각형이었고, 세포의 길이는 54.7~70.3 ㎛, 폭은 31.5~48.5 ㎛로 나타났다. 핵은 세포의 중심에 위치하였고, 엽록체는 황갈색으로 세포 전체에 퍼져있었다. 상추구는 알파벳 e 모양이었다. 계통분석 결과 장목항에서 분리한 본 배양주는 ribotype A에 포함되었다. 온도 및 염분구배에 따른 성장 실험은 5℃ 이하의 온도를 제외한 모든 온도구배에서 성장이 나타났다. 그리고, 최대성장속도는 온도 20℃, 염분 20 psu에서 0.50 day-1로 나타났고, 최대세포밀도는 온도 25℃, 염분 30 psu에서 1,372 cells mL-1였다. 이 결과는 A. sanguinea가 가을철에 한국 연안에서 최대 증식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진해만 입구해역의 표층 퇴적물 특성과 저서환경 (Surface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Benthic Environments in the Mouth of Jinhae Bay, Korea)

  • 현상민;최진우;최진성;이태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00-707
    • /
    • 2003
  • Surface sediments in the mouth area of Jinhae Bay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benthic environment in terms of geochemical criteria and macrobenthos abundance.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 exhibited muddy sediments in the most part of study area. Some mixed sediments of coarse sand and mud were distributed along the coastal area of Geoje Island and around the Jeo Islands. Organic matter from ignition loss and total organic carbon from CHNS varied between $8.8-1.7\%,\;and\;4.62-0.77\%,$ respectively. The source of organic matter based on the C/S ratio was mixed with in situ biogenic and terrigenous organic matter. The C/S ratio of organic matter also suggested both an anoxic bottom condition in several parts of the study area. The content of hydrogen sulfide in surface sediment was extremely variable and showed spatio-temporal variation from site to site. In several locations, the content of hydrogen sulfide as an index of eutrophication was over the critical value (0.2 mg/g), suggesting that several parts of the study area were not favorable for the habitat of macrobenthos.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marcrobenthos, hydrogen sulfide, and organic matter was not clear, but a potential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of marcrobenthos and hydrogen sulfide was indicated.

저서오염지수를 이용한 진해만 해역의 저서건강도 평가 (The macrobenthic community health was assessed using the Benthic Pollution Index(BPI) in Jinhae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서진영;최진우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510-524
    • /
    • 2022
  • 2011년 2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진해만에 23개 정점을 선정하여 저서오염지수를 이용하여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건강도를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거제도 북쪽과 칠천도 부근의 정점을 제외한 모든 진해만 해역에서 저서동물군집의 건강도가 4~5등급으로 매우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산만과 고성만, 통영만의 일부 정점들에서는 기회종이 속한 4그룹의 비중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서환경이 오염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진해만에서는 마산만, 행암만, 통영만, 고현만에서 여름철 hypoxia 현상으로 인해 무생물 상태를 보였고, 종료 후 기회종이 대량 가입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hypoxia 후 기회종이 가입되지 않은 일부 정점들이 관찰되었고, 이로 인해 저서건강도가 과대평가되는 현상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해만의 저서건강도는 경기만의 시화호, 부산항만 등 다른 특별관리해역들에 비해서도 매우 낮게 나타나 심각하게 오염된 저서환경임을 시사하였다.

거제도 동부에 분포하는 고제3기 암맥군: 절대연대와 지구조적 의미 (Paleogene dyke swarms in the eastern Geoje Island, Korea: their absolute ages and tectonic implications)

  • 손문;김종선;황병훈;이인현;김정민;송철우;김인수
    • 암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2-99
    • /
    • 2007
  • 거제도 동부 일운면 일대에는 백악기 말의 화강섬록암을 관입하고 있는 고제3기 암맥들이 발달한다. 이 암맥들은 북서 방향의 산성 암맥군과 서북서(A그룹)와 남북 내지 북북동 방향(B그룹)의 염기성 암맥군들로 구분된다. 야외 횡절관계를 근거하면 산성 암맥군이 가장 먼저 관입하였으며 다음으로 A그룹과 B그룹이 관입하였다. 산성 암맥군은 백악기 말${\sim}$신생대 초 양산단층계의 좌수향 주향이동 단층운동에 수반되어 만들어진 인장 틈을 따라 관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A그룹과 B그룹 염기성 암맥군들은 야외 암상과 관입 방향성에서 경주-감포 지역의 암맥군들 중 중성과 염기성 암맥군에 각각 대비된다. 또한 대비되는 두 지역 암맥군들은 전체 희토류 원소 함량과 콘드라이트에 표준화한 거미 성분도 및 미량원소와 희토류 원소 함량 패턴에서 유사한 양상이다. 이는 두 지역의 대비되는 암맥군들이 성인적으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K-Ar과 Ar-Ar 연대측정 결과를 종합하면, A그룹 암맥군은 $64{\sim}52\;Ma$ 사이에, B그룹 암맥군은 $51{\sim}44;Ma$에 관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약 51 Ma를 전후로 한반도 남동부의 인장 응력장이 북북동-남남서에서 동서 내지 서북서-남남동으로 급격히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고제3기 아시아 일원에서 발생한 주요 지구조 사건들을 고려하면, $64{\sim}52;Ma$에는 북상하던 태평양판의 사교 섭입으로 동아시아 대륙연변에 북북서 방향의 광역적인 좌수향 전단 응력장이 작동하였으며, A그룹 암맥군은 이와 수반된 인장 단열들을 따라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약 55 Ma의 인도와 유라시아 대륙의 충돌에 의한 응력은 약 51 Ma 경에는 한반도 일원까지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대륙이 태평양판 쪽으로 밀려감으로써 섭입하던 태평양판의 각도가 급해져 동아시아 연변에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였으며, 이 때문에 태평양판의 운동 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약 51 Ma부터 한반도 동남부에는 지판 경계의 강력한 흡입력으로 동서 내지 서북서-동남동의 인장력이 작동되어 B그룹 암맥군이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