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Data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4초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차원 데이타를 위한 쿼리 처리 시스템 (Query Processing System for Multi-Dimensional Data in Sensor Networks)

  • 김장수;김정준;김영곤;이창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39-144
    • /
    • 2017
  • 최근 GeoSensor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공간 센서 데이터와 같은 2차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질의 처리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질의 처리 시스템들은 시공간 센서 데이터와 같은 다차원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타 타입과 연산자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다차원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차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질의 처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시나리오를 통해 본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하고, 수행시간 및 메모리 사용량 등의 성능평가를 통해 기존 시스템들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Design of Spatial Query Language for GEO Millennium Server TM

  • Zhaohong Liu;Kim, Sung-Hee;Oh, Young-Hwan;Bae, Hae-young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113-115
    • /
    • 2000
  • A GIS software GEO Millennium SystemTM has been developed to integrated with spatial database that combines conventional and spatially related data. As we known well the standard query language lacks the support of spatial data type and predicate, and can not serve as the query language in the spatial database directly; some extended strategies have been proposed, but some of them need their own storage manager, some introfuce new clause into the SELECT-FROM-WHERE structure, and some is very complex and available to us. So we designed our own query language on the conventional storage manager system. It supports the Spatial Data Type and predicate, and provides the full query capabilities of SQL on the non-spatial part of the database while being tightly integrated with the spatial part, without changing the standard SQL structure.

  • PDF

다양한 공간정보 웹 2.0 플랫폼 Open API의 벡터 레이어 기반 매쉬업 성능 분석 (Analysis of Mashup Performances based on Vector Layer of Various GeoWeb 2.0 Platform Open APIs)

  • 강진원;김민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745-754
    • /
    • 2019
  • GeoWeb 2.0 기술이 활성화됨에 따라 공간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매쉬업하는 응용 서비스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GeoWeb 2.0 기술 기반으로 Google Maps, OpenStreetMap, Daum Map, Naver Map, olleh Map, VWorld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 플랫폼들이 매쉬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공간정보 플랫폼의 Open API를 통하여 제공되는 매쉬업 서비스는 2차원 지도, 3차원 지도, 항공영상 등과 같이 다양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응용 분야도 크게 확장되고 있다. 최근 빅데이터 서비스와 더불어 매쉬업되는 사용자 정보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매쉬업 수행에서 성능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매쉬업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심지어 다양한 플랫폼들에 대한 매쉬업 성능 비교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접근 가능한 다양한 공간정보 플랫폼들을 기반으로 공간정보와 대용량 사용자 정보의 매쉬업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매쉬업 성능 분석을 위하여 매쉬업 시간과 사용자 인터랙션 시간의 두가지 성능 지표를 제안하고 시스템을 구현하여 성능 분석을 수행한다. 끝으로 성능 분석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가 크게 증가하고 사용자 인터랙션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경우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공간정보 플랫폼을 제시한다.

Simple Application Cases of Morphing Method using Geo-spatial Data

  • Lee, Ki-Won;Park, Yong-Jae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1-256
    • /
    • 2008
  • Morphing method, one of classic image processing algorithms, has been used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The motivation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its applicability in consideration to geo-spatial data including airborne or space-borne images. For this purpose, the Beier and Neely morphing algorithm is tentative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totype with user interface. As the results, this feature-based morphing with paired image sets can be used for general users: image simul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and construction of color-blending image between source image and destination image in different types. Some simple application cases were demonstrated. This scheme is the simple and useful approach for those who want to utilize both geo-spatial data sets and airborne/space-borne image sets.

지공간정보 웹 서비스에서 GeoJSON 적용 (Application of GeoJSON to Geo-spatial Web Service)

  • 박용재;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13-620
    • /
    • 2008
  • Web 2.0 패러다임에서 사용자는 웹에 접속함으로써 개인용 컴퓨터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과 같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으로서의 웹을 위해서는 웹 상에서 다양한 자원과 어플리케이션들 간에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는 웹 기반 자료 포맷이 필요하다. 문자형 정보에 대한 JSON은 Javascript로 직접 처리가 가능한 실용성을 강조한 포맷이므로 기존의 XML 유형 데이터는 JSON 포맷을 포함하는 태그 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지 공간정보를 다루는 GeoJSON은 현재 개발 진행중이고 표준화 초기 단계이므로 현 단계에서의 적용성에는 제한점들이 있고 이를 다룰 수 있는 툴이나 공개 프로그램도 그리 많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공간 웹 서비스 개발에서 웹 서비스 간의 지공간자료 전송 및 상호 교환 목적으로 GeoJSON 포맷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직접 GeoJSON Parser를 구현하거나 이와 같은 기능을 부분 지원되는 서버 기반의 공개 소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형 웹 매핑 API인 Google Maps API와 Openlayers 라이브러리 API를 이용한 설계 및 구현을 통하여 지공간 정보 웹 서비스에서 GeoJSON을 웹 기반 공간 정보 자료 포맷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 향후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오픈소스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R 기반 공간영상정보 필터링 사례 (An Open Source Mobile Cloud Service: Geo-spatial Image Filtering Tools Using R)

  • 강상구;이기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1-8
    • /
    • 2014
  •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분야의 시장을 주도하는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등과 같은 트렌드 기술들은 공간정보 분야를 포함한 대부분의 응용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중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비록 우리나라에서는 초기 적용단계 수준이지만 다른 트렌드 기술들 간의 연계를 위한 플랫폼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모바일과 클라우드 컴퓨팅이 결합된 형태인 모바일 클라우드는 모바일 단말 환경의 제한점들을 보완하고 기존의 모바일 앱에 비하여 더 많은 정보처리기능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을 OpenStack 및 다양한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구축하고, 이를 플랫폼으로 하여 공간영상정보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시험적으로 설계 및 구현하였다. 한편 공간영상정보 처리는 빅데이터 분석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R 환경을 적용하여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향후 R을 활용한 공간영상정보 분석서비스 개발과 다양한 공간정보와 연계되는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都市情報解析을 위한 地形空間情報體系의 資料基盤部 構築에 關한 硏究 -上水道 施設物管理 中心으로- (A Study o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Database Establishment for Urban Information Analysis -With Emphasis on Water Supply Facilities-)

  • 유복모;윤경철;최철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36
    • /
    • 1992
  • 최근 지형공간정보체계(GSIS)는 도시업무에 있어서 의사결정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도시의 여러 관리 및 계획, 통제업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지형 자료기반부(database)를 구축하여 실 업무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기반부를 구축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상수도 시설물 관리 업무에 적용하였다. 상수도 사업 업무분석을 통하여 지형공간 자료기반부를 구축하였고, 지도 및 각종 도면을 사용하는 부서를 중심으로 4개의 주요 업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Mashup Application for Geo-spatial Feature Generation on Web Browser using Google Maps API

  • Park, Yong-Jae;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89-396
    • /
    • 2008
  • In these days, various kinds of web applications based on web 2.0 paradigm have been developed. In web 2.0 paradigm pursuing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on the web-as-platform, web mapping or web GIS application are regarded as top most applications, so that web applications, handling geo-spatial contents, with user-interaction interface and search engine of high performance have been provided for both public users and expert users in the special domains. Public and industrial needs for web mapping mashup application by open API, linked with the practical web computing technologie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is study, a user interface in mashup for geo-spatial feature generation was implemented by using mainly Google maps API. Spatial database resources in this implementation are those of Google mapping server. As the results, public users on web client can create their own geo-spatial data sets in web vector formats, without the help of any GIS tools or access to proprietary databases. It is concluded that web-based mashup application in client-side using open API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geo-browsing system or portable feature generation system.

A Study o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U.S.A

  • Koh, June-Hwa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6_1호
    • /
    • pp.485-497
    • /
    • 2007
  • By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Geo-spatial Technology (GT) and the increased usage of spatial data for planning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since 1995. NGIS is the base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DI). SDI is developed as one of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s (NII). Among the hierarchy of SDI,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has very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SDI development. Many research articles show that the USA's NSDI initiatives, development strategy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all over the world. In these viewpoints,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s of Korean NGIS, the development of NSDI strategy of USA is reviewed by literature through published book and internet resourc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 are needed for integrated data sharing and standardization. 2) the creative and evolutionary vision and strategy has to be suggested. 3) the training program and lecture material has to be developed and diffused to the users and providers of spatial data. 4) governance system has to be built for NSDI evaluation. 5) the formation of geo-spatial forum to discuss the spatial-related problems and make research agenda,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