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Social Survey

검색결과 807건 처리시간 0.027초

치과환자 및 보호자가 인지한 치과위생사 이미지 (A Study on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Patients and Caregivers)

  • 강부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7-21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396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who visited 14 dental hospitals and dentists' offices in and around Seou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The people investigated gave a mean of 4.0 to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Dental hygienists rated highest in terms of looking neat and tidy(4.33), and were given the lowest marks in arbitrary job performance(3.46). 2. There appeared four different types of dental hygienist images, which made a 59.824 prediction of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general. A typical image(4.11) was most dominant, followed by professional one(4.07), personal one(4.01) and social one(3.73). 3. The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ir image of dental hygienists could be described as below: 1) By age, those who were in their 60s(4.12)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e teenagers(3.90) had the worst image of them. 2) By gender, the men(4.05) looked at dental hygienists more positively than the women(3.96). They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opinion on the social image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gender(pE0.05). 3) By marital status, the married people(4.00) had a better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an the unmarried ones(3.95). 4) As for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dental institutions, they had a more favorable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ists' offices(4.13) than in dental hospitals(3.88). There was a bro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y they looked at the professional and personal images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the type of dental institutions(pE0.001). 5) As to the impact of educational level, those who received community-college or higher education(4.01)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ose who received middle-school or lower education(3.91) had the worst image of them. 6) By occupation, the government workers and students(4.07)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e company employees(3.90) had the worst image of them. They took a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of the social image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occupation(pE0.05). 7)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frequency of receiving dental treatment, the respondents who had received it seven times or more(4.16)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ose who hadn't(3.79) the worst image of them. There was a wide significant gap according to that frequency. The way they looked at the typical, social and professional images of dental hygienists was quit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at frequency as well(pE0.001). 8) As for the influence of whether they were accompanied by caregivers or not, the people who weren't accompanied by caregivers(3.99) had a better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an those who were(3.97).

  • PDF

충청 지역의 도박중독 실태와 가족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ambling and Family Relationships of Gamblers in Choongchung Area)

  • 이영분;이은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177-201
    • /
    • 2003
  • 도박은 우리 사회에 상당히 만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가족문제 역시 심각하다.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도박에 대한 대책 및 개입프로그램 마련을 위해서 가장 시급한 일이 도박에 관한 기초조사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충청지역에서 돈내기 게임의 현황 및 병적 도박자의 비율을 파악하며, 가족관계의 다양한 측면에서 병적 도박 집단과 일반 집단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서베이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돈내기 게임의 현황을 알아볼 때, 화투를 가장 많이 하며, 계절을 가리지 않거나 겨울에 많이 하고, 명절이나 친구모임에서 많이 하며, 반 이상이 일년에 몇 번 정도 하지만 1/5은 한달에 한두 번 이상하고 있다. 상대는 가족/친척, 친구가 가장 많으며, 장소는 친척집, 자기집, 음식점의 순이고, 시작한 시기는 60%가 20대나 30대로 나타났다. 병적 도박자는 본 연구표본의 11.6%이며, 남성이 여성보다, 농어촌지역 거주자가 도시지역 거주자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친 있다. 가족생활의 다양한 측면, 즉 결혼만족도, 가족관계, 가족폭력, 중독에 대한 가족력, 가족여가활동에 있어서 병적도박 집단이 일반 집단보다 가족문제를 유의미하게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어촌 지역에, 특히 농한기에 도박대책이 시급하다. 둘째, 교우관계나 사회생활의 수단으로서 도박이 아닌 다른 건전한 활동이 보급되어야 하며, 이는 특히 남성에게 더욱 필요하다. 셋째, 병적도박 집단의 가족 문제에 대한 가족교육 및 가족상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시급하다. 넷째, 도박에 대한 예방교육과 치료프로그램 마련을 위안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 PDF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문연구 (Survey of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 홍선엽;;신철진;이상익;손정우;김시경;주가원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4호
    • /
    • pp.144-150
    • /
    • 2013
  • Objectives The number of marriage immigrant women has been increasing in the past several years in Korea and their adaptations to the new environment have been an important social issu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sychosocial and mental health statuse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VMIW). We intended to compare the mental health of VMIW with married Vietnamese women living in Vietnam and reveal the demographic or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their mental health. Method Subjects comprised one-hundred-forty-three VMIW who enrolled in multiculture family support centers in Chungbuk Province and forty-eight women from Vinh Phuc province in Vietnam. Marital satisfaction, domestic violence and social support were evaluated as psychosocial factors,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 were used to evaluate mental health. Results VMIW had a larger age gap with their husbands but better psychosocial statuses. BDI (p = 0.20), BAI (p = 0.08), GHQ (p = 0.13) scores of VMIW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Vietnamese residents. Marriage duration of VMIW affects significantly their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levels (p < 0.01). The level of domestic viol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evels of their husbands, composition of family members and marriage process (p < 0.05). VMIW with older husbands and jobless VMIW had low levels of anxiety (p < 0.01).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VMIW have no difference in mental health compared to Vietnamese women living in Vietnam which is contrary to general expectations. However,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arriage duration, have an effect on the mental health of VMIW. As marriage duration is proven to be important factor on mental health of VMIW, more extended duration of care and interventions are needed to maintain good mental health. Networking system connecting mental health screenings by the multiculture family support center to the local mental healthcare center is needed to care those with poor screening outcomes.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in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ies on Service Quality)

  • 김지혜;심규순;유영희;이은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55-16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1,705개의 장기요양시설 중 단순무작위로 30개 요양시설을 표집하여 2020년 5월 한달 동안 요양보호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443부가 회수되었고 유의한 41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0으로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활용해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서비스 질과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은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와 서비스 질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몰입이 미치는 효과의 중요성과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치과기공사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 척도와 개인역량과의 상관관계 조사 (The Relation between Dental Technician's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Competency)

  • 한민수;이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449-4456
    • /
    • 2014
  •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의 사회적 지지 척도와 개인역량을 분석하고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경기도, 충남지역의 치과기공사 200명을 선정하고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4월 28일부터 5월 25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사회적 지지 척도, 개인역량 등 총 55문항으로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빈도와 백분율, T-test, 분산분석(ANOVA)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척도는 결혼 상태와 근무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사회적 지지 척도의 평균은 3.33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개인역량을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상태, 근무지, 경력, 담당직위, 최종학력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개인역량 평균은 3.68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척도와 개인역량 간 상관관계는 높은 정(+)상관관계를 보였고, 대부분의 변수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기공사의 사회적 지지 척도는 개인역량과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위험 정도에 따른 사회 심리적 건강 (Psycho-soci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a Level of Internet Addiction)

  • 정미영;조옥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66-376
    • /
    • 2013
  • 본 연구는 74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위험 정도에 따른 사회 심리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중독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인터넷 중독위험 정도는 The 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의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로 측정하여 중독위험 사용자군, 정상 사용자군으로 분류하였고 각 군의 사회 심리적 건강상태는 절망감, 자살생각, 자살시도,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고립감, 정신건강 점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인터넷 정상 사용자군 및 중독위험 사용자군의 일반적 특성과 인터넷 중독위험 정도, 사회 심리적 건강은 t-test와 $x^2$-test로 비교 분석하였고, 인터넷 중독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중독위험 사용자군은 82명(10.9%), 정상 사용자군은 667명(89.1%)이었고 절망감, 자살시도 경험,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고립감, 정신건강 점수에서 중독위험 사용자 군이 정상사용자군에 비해 빈도 및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사회 심리적 건강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인터넷 중독사용 고위험 군을 조기선별하고 인터넷 중독 발생을 예방하며 나아가 이들을 위한 심리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랜덤포레스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전통적 비행이론기반 청소년 온·오프라인 비행 예측요인 연구 (A Study on the Classic Theory-Driven Predictors of Adolescent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using the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Algorithm)

  • 이택호;김선영;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4호
    • /
    • pp.661-69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비행이 지속적인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청소년의 온·오프라인 비행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들을 탐색하고 전통적 비행이론(사회학습이론, 일반긴장이론, 사회통제이론, 일상활동이론, 낙인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2010)의 초1, 초4, 중1 패널 6차년도 데이터이다(N=4,137). 예측 모형을 구축함에 있어 전통적 통계기반의 회귀모형 대신 랜덤포레스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예측 성능 향상과 더불어 보다 많은 예측요인의 고려 가능성에 초점을 두었다. 랜덤포레스트 분석 결과, 청소년의 온·오프라인 비행을 설명하는 데에 전통적인 비행이론은 여전히 유효하였으며, 온라인 비행은 주로 개인적 요인(일상활동이론, 낙인이론)과, 오프라인 비행은 사회적 요인(사회학습이론, 사회통제이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긴장 이론은 온라인 비행과 오프라인 비행 모두를 예측하는 중요한 이론적 기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 기존 비행이론의 활용 가능성도 함께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 온·오프라인 비행에 대한 예방 및 개입 방향성을 재고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자의 대상관계 요인이 즐거움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Users' Object Relations Factors on User Satisfaction through Pleasure and Self-efficacy)

  • 채수인;최효근;권두순;박동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6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이용자들의 대상관계 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즐거움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이용자 만족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함으로써 SNS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모형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판별 타당성, 적합도 검증, 직접·매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비소외는 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안정애착은 즐거움과 자기효능감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사회적능력은 즐거움과 자기효능감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넷째, 자아중심성은 즐거움과 자기효능감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섯째, 즐거움은 자기효능감과 이용자 만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은 이용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인의 사생관에 대한 실증적 조사 연구 (Koreans' Views of Life and Death: Results from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Survey)

  • 박재현;김석호;이민아;심은정;정혜주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95-121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사생관의 정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사생관의 주요 차원들인 내세관,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자살억제의지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제시하며, 사생관의 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8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된 2009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성이 남성보다 내세지향성과 죽음관여도가 높았다. 둘째, 연령은 현세회귀성,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자살억제의지 등 내세지향성을 제외한 모든 사생관 항목에 영향을 미쳤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현세회귀성과 죽음불안은 낮아지는 반면, 죽음관여도와 자살억제의지는 높아진다. 셋째, 한국인의 사생관의 형성과 가장 밀접히 관련이 있는 요인은 종교이다. 불교를 믿는 사람은 현세회귀성이 높고 개신교를 믿는 사람은 현세회귀성이 낮았다. 내세지향성과 관련해, 종교를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내세지향성을 보였다. 특히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의 내세지향성이 두드러진다. 또한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은 높은 죽음불안 수준도 가지고 있었다. 넷째, 행복감과 사회적 관계는 죽음관여도와 자살억제의지에만 영향을 미쳤다. 즉 행복하다고 자주 느끼고 풍부한 사회적 연결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일수록 죽음에 대해 덜 생각하고 자살의 위험에 덜 노출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마지막으로 향후 죽음이라는 개인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 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생관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접근과 타당화된 도구의 개발을 통해 사생관차원간의 인과적인 관계를 밝혀낼 수 있는 연구설계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 이미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6-168
    • /
    • 1997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control,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92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Taejo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promoting lifestyle(44 items), self-efficacy (28 items), self-esteem(10 items). control(8 items), perceived heath status(1 item), and social support(12 items).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e of mean,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was low at 2.30.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support(2.90), and the lowest degree was exercise(1.67). 2) 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in exercise subscale than female students. Students who had more income had higher scores in self actualization subscale. Students who's family had experienced severe disease had higher scores in health responsibility and interpersonal support subscal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exercise had higher scores in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exercise, interpersonal support, and stress management subscale. 3)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control and self-efficacy, control and self-esteem, control an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as found. 4) Self-efficacy and control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ll subscal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except self actualization,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 actualization subscale was found. Self-esteem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only with self actualization and interpersonal support subscale. 5)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ost of the subscales of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6) Self-efficacy was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30.55%). Self-efficacy and control accounted for 36.55%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