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Election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2초

말레이시아 선거권위주의체제의 변화 가능성: 13대 총선을 중심으로 (The Possible Change of the Electoral Authoritarianism in Malaysia: By Focusing on the 13th General Election)

  • 황인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4권1호
    • /
    • pp.45-87
    • /
    • 2014
  • This study traces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change in the Malaysian electoral history, especially by focusing on the 13th general election held in May 2013. The results of the 13th general election was another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Malaysia's electoral politics. Following after the 12th general election held in 2008, opposition coalition(PR) achieves a remarkable electoral result by obtaining over 50% of the total votes. Opposition parties also successfully collapsed the ruling coalition(BN)'s two-third majority in parliamentary. It was de-facto defeat of the ruling coalition and victory of the opposition coalition. More precisely, the 2013 election results show that the reformasi movement, which was active in 1998-99 period, are still alive and its impact on Malaysian electoral politics get stronger. Malaysia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 typical electoral authoritarian regime since its independence in 1957. It is because that there has been negative relations between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change through out its electoral history. As shown in the most recent two general elections held in 2008 and 2013, however, Malaysia's hegemonic political system can be possibly changed through electoral politics. This article examine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series of post-reformarsi general elections(1999, 2004, 2008, 2013)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towards the nexus of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change under the electoral authoritarian regime in Malaysia.

Malaysia's 13th General Election: Political Communication and Public Agenda in Social Media

  • Sern, Tham Jen;Zanuddin, Hasmah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73-89
    • /
    • 2014
  • Everyone has a voice and can broadcast it to the world. We hear about the old maxim of media do not tell people what to think but what to think about. Under this theory or approach, a key function of political communication is to make the public think about an issue in a way that is favorable to the sender of the message. In a democracy, political communication is seen as crucial for the building of a society where the state and its people feel they are connected. Thus, this is a study on how social media (e.g., Facebook, blogs, and YouTube) were used in the domain of Malaysian politics during the 13th general election campaigning period in order to set the agenda to form public opinion. The study found that Facebook was the most popular social media tool that political parties actively engaged with during the 13th general election campaign period. Apart from that, issues pertaining to the election were significantly highlighted by the political parties in social media, especially Facebook. However, other issues that were also important to the people such as the economy, crime, and education were not sufficiently highlighted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This indicates that the political parties influence the public on what to think about using social media.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 증진방안 -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A Plan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lection Forecasting Survey - A Case of the 16th General Election)

  • 류제복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조사연구의 방법론적 쟁점
    • /
    • pp.15-34
    • /
    • 2000
  • 지난 4월 13일에 실시된 16대 총선에서 방송사와 조사기관들이 공동으로 조사하여 발표한 선거예측조사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하여 선거예측에 대한 신뢰성에 큰 타격을 받았다. 이에 향후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기 발표된 예측조사내용을 다각도로 심층분석하여 조사의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살펴보고 이들 오류를 줄이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번에 처음으로 실시된 출구조사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안도 함께 살펴보았다.

  • PDF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 증진방안 -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A Plan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lection Forecasting Survey - A Case of the 16th General Election)

  • 류제복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권2호
    • /
    • pp.15-34
    • /
    • 2000
  • 지난 4월 13일에 실시된 16대 총선에서 방송사와 조사기관들이 공동으로 조사하여 발표한 선거예측조사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하여 선거예측조사에 대한 신뢰성에 큰 타격을 받았다. 이에 향후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기 발표된 예측조사내용을 다각도로 심층분석하여 조사의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살펴보고 이들 오류를 줄이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번에 처음으로 실시된 출구조사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안도 함께 살펴보았다.

  • PDF

전화여론조사의 예측정확도 분석 (How Accurate are the Telephone Polls in Korea?)

  • 조성겸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0권1호
    • /
    • pp.57-72
    • /
    • 2009
  • 전화여론조사는 한국의 사회조사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정확도 수준에 대해서는 파악되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전화조사의 유용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여론조사의 정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선거예측조사에서도 전화조사는 예측 정확도가 높은 경우가 있는 반면에, 1996년 총선예측처럼 반대의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 정확성을 추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2000년 총선과 2008년 총선에서는 정확도가 다소 떨어졌지만, 2004년에는 전화조사를 이용한 당선자 예측이 모두 적중했고, 출구조사와는 달리 정당별 예측편향 차이도 나타나지 않는 등 비교적 정확도가 높았다. 이 연구는 2000년 이후의 총선 예측조사에서 전화조사의 정확도 수준이 이처럼 기복을 보이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의 전화여론조사의 정확도 수준은 2000년이나 2008년의 총선예측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야 하며, 2004년에 나타난 정확도 수준은 당시 연령별 투표성향이 이례적으로 강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전화조사의 정확도 수준은 표집방법 등의 변화를 통해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최근 정치캠페인에서 나타난 크리에이티브한 선거광고홍보전략 트렌드 분석 -2010. 6.2지방선거, 2011. 10.26 보궐선거 2012. 4.11 총선, 2012. 12.19 대선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reative trend of election Ads and PR strategy which appears in recent political campaign - Focused on 2010. 6.2 local election, 2011. 10.26 by-election, 2012. 4.11 general election, 2012. 12.19 presidential election)

  • 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65-73
    • /
    • 2013
  • 정치캠페인에서 선거운동전략은 어느 정치후보가 더 참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로 선거광고홍보를 치려 당선의 승패가 달려 있다. 특히 정치광고홍보는 한 줄의 카피(슬로건)와 한 컷의 이미지를 통해 유권자 감성을 휘어잡는 수단이기에 그 중요성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본 연구는 2010~2012년 기간 동안 치러졌던 4차례(2010. 6 2지방 선거, 2011. 10 26 보궐선거, 2012. 4 11 총선, 2012. 12 19 대선)각 선거단위에서에 이색적인 크리에에티브한 정치캠페인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거 기간 동안 선거캠페인에 사용했던 동영상, 인터넷, 책자형 선거공보물, 선거운동활동 등을 대상으로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으로 탐색분석 하였다. 이색적인 크리에이티브한 정치캠페인은 유권자들의 성별, 연령층, 사회적 분위기 등 지지성향에 맞추려는 맞춤형 마이크로 타깃팅 선거 전략의 트렌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선거 전략이 얼마나 성공했는지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말레이시아의 정치변동과 의회정치의 발전: 지속과 변화 (Political Change and the Development of Parliamentary Politics in Malaysia: Continuity and Change)

  • 황인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2권2호
    • /
    • pp.201-238
    • /
    • 2012
  • This study analyses the nexus between political change and development of parliamentary politics in Malaysia. The continued and stable parliamentary politics did not necessarily associated with political development in Malaysia for the last five decades. Except the 1969 general election, the ruling coalition, Barisan Nasional(BN), has never been failed to obtain the two-third majority of parliamentary seats even though there has been regular general elections in every 4-5 years without any interruption. It is, however, worth noting that there has been dramatic political changes since the late 1990s. In particular, the 2008 general election showed the remarkable results, collapsing the two-third majority of BN's parliamentary seats. The opposition parties even took over the 5 state governments out of 12 in total. The more distinguished feature was the emergence of opposition coalition, called Pakatan Rakyak(PR), right after the 2008 general election. It was the first united coalition in Malaysia's modern political history among the severely divided opposition parties. Since its emergence, the PR has initiated various changes leading towards a more active parliamentary politics. In this regards, this study argues that parliamentary politics is no more regard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Malaysia's political process.

현행 교육감 선거 및 교육상임위원회제도 진단 및 개선연구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Present Superintendent Election and Education Standing Committee System)

  • 주철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22-33
    • /
    • 2014
  •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resent superintendent election and education standing committee system for improvement based upon Constitutional values of local education system. The findings are the followings. To improve the election system of superintendent it is recommended to maintain present election system rather than change it drastically since the present system ensure relatively more autonomy, expertise, and political neutrality of local education system. However, the qualification such as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s of superintendent candidates need to be restored. Regarding education standing committee it suggest that all or at least 2/3 members need to be educational representatives rather than general representatives. For superintendent as well as education standing committee election, it needs to elaborate the vote ballet such as change of candidates name order by voting place to reduce its effects to election results. It also needs to strengthen public management of election such as expenses and TV forums among candidates.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의 예측조사에 대한 사후적 검증 (A Post-Examination of Forecasting Surveys for the 16th General Election)

  • 홍내리;허명희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35
    • /
    • 2001
  • 2000년 4월 13일의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화조사와 출구조사를 활용하여 KBS, SBS, MBC 등 TV 방송사들은 당선자 예측방송을 한 바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부정확한 것으로 드러났고 이에 따라 통계조사에 대한 일반인의 불신감만 키우는 결과가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4.13 총선거 예측에서 전화조사와 출구조사가 실제로 어떠하였는가\ulcorner 2) 무엇이 문제였는가\ulcorner 3)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가\ulcorner 등이다. 주요 결론은 전화조사에서 재통화(call back)에 대하여 느슨한 조사규칙이 적용되는 등 확률표집의 원칙이 충실하게 준수되지 않았으며 출구조사에서는 투표소 표집 수가 너무 작았다는 것이다. 또한 근본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선거여론조사에 관한 법의 개정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의 예측조사에 대한 사후적 검증 (A Post-Examination of Forecasting Surveys for the 16th General Election)

  • 홍내리;허명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2권1호
    • /
    • pp.1-35
    • /
    • 2001
  • 2000년 4월 13일의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화조사와 출구조사를 활용하여 KBS, SBS, MBC 등 TV 방송사들은 당선자 예측방송을 한 바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부정확한 것으로 드러났고 이에 따라 통계조사에 대한 일반인의 불신감만 키우는 결과가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4ㆍ13총선거 예측에서 전화조사와 출구조사가 실제로 어떠하였는가\ulcorner 2) 무엇이 문제였는가\ulcorner 3)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가\ulcorner 등이다. 주요 결론은 전화조사에서 재통화(call back)에 대하여 느슨한 조차규칙이 적용되는 등 확률표집의 원칙이 충실하게 준수되지 않았으며 출구조사에서는 투표소 표집 수가 너무 작았다는 것이다. 또한 근본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선거여론조사에 관한 법의 개정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