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Chemistry

검색결과 917건 처리시간 0.024초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이용한 일반화학실험에서 글쓰기 대상에 따른 예비화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모델링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Modelling Ability and Perceptions in Science Writing for Audiences of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Using Argument-based Modeling Strategy)

  • 조혜숙;김한영;강유진;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6호
    • /
    • pp.459-472
    • /
    • 2019
  • 이 연구는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수업에서 글쓰기 대상에 따른 과학 글쓰기가 예비 화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모델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예비 화학교사들의 화학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사범대학 화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화학교사 1학년 18명을 대상으로 11개 주제의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화학개념 이해는 사전과 사후의 화학개념 이해 검사 점수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모델링 능력은 예비 화학교사들이 제시하는 모델을 설명, 표상화, 의사소통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집단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모델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화학교사의 화학개념 이해와 모델링 능력은 글쓰기 대상인 독자의 수준이 낮은 경우,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글쓰기 대상에 따른 집단에서 모델링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델링 과정을 경험함에 따라 예비 화학교사들의 응답이 더 구체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범대학교 과학계열 신입생들의 과학 탐구 역량 조사 : 일반화학 실험 수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ientific Inquiry Competencies of First-Year Science Major Students at a College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Course)

  • 박지훈;정도준;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8권5호
    • /
    • pp.274-286
    • /
    • 2024
  • 이 연구는 사범대학교 과학계열 신입생이 일반화학 실험 수업을 수행하기 위한 탐구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중등학교 실험 교육 배경 조사, 화학 실험 도구 이해 평가, 탐구 과정 수행 능력 평가, 화학 실험 설계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범대학교 과학계열 신입생의 화학 실험 도구의 명칭과 사용법에 대한 이해가 떨어졌으며, 실험에 대한 탐구 과정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하였다. 또한, 화학 실험 설계 능력이 떨어지는 등 전반적으로 대학교에서 일반화학 실험을 수행하기에 탐구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문제 및 문제해결에 대한 사고유형 (Students’ Thought Patterns on Problem and Problem Solving in the Course of General Chemistry)

  • 이선경;박현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50-560
    • /
    • 2002
  • 이 연구는 일반화학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이 지닌 ''문제 및 문제해결''에 대한 사고를 학습 맥락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서울에 소재한 한 대학의 일반화학을 수강하는 9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 면담, 수업관찰, 학생들이 작성한 수필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순환적인 성분 비교 분석틀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일반화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문제 및 문제해결에 대한 사고는 학교 과학 성취도와 관련지어 인식하는 것, 학습 구성과 관련하여 인식하는 것, 문제 유형과 관련하여 인식하는것 등의 여섯 가지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특징은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화학 학습의 개념생태 내에 중요하게 자리잡고 잇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관련해서 화학 및 과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과정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변화과정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deling Ability in Argument-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vestigations)

  • 강여은;남정희;조혜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276-285
    • /
    • 2016
  • 이 연구는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과학교사들의 모델링 능력 및 이의 변화과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화학을 수강하는 사범대학 1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6개 주제에 대한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예비과학교사의 모델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에서 작성하는 보고서의 모델링 단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델의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모델링 전략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제시하는 모델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논의 기반 일반화학 실험활동이 거듭되면서 모델링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mitations of the Transition State Variation Model. Part 8. Dual Reaction Channels for Solvolyses of 3,4-Dimethoxybenzenesulfonyl Chloride

  • Koo, In-Sun;Kwon, Eun-Ju;Choi, Ho-June;Yang, Ki-Yull;Park, Jong-Keun;Lee, Jong-Pal;Lee, Ikc-Hoon;Bentley, T. Willia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2호
    • /
    • pp.2377-2381
    • /
    • 2007
  • Solvolyses of 3,4-dimethoxybenzenesulfonyl chloride (DSC) in water, D2O, CH3OD, and in aqueous binary mixtures of acetone, acetonitrile, 1,4-dioxane, ethanol, methanol, and 2,2,2-trifluoroethanol (TFE) have been investigated at 25.0 oC. Kinetic solvent isotope effects (KSIE) in water and in methanol and product selectivities in alcohol-water mixtures are also reported. The Grunwald-Winstein plot of first-order rate constants for the solvolyic reaction of DSC with YCl shows marked dispersions into separated lines for various aqueous mixtures. With use of the extended Grunwald-Winstein equation, the l and m values obtained are 1.12 and 0.58 respectively for the solvolyses of DSC. The relatively large magnitude of l is consistent with substantial nucleophilic solvent assistance. From Grunwald-Winstein plots the rate data are dissected approximately into contributions from two competing reaction channels. This interpretation is supported for alcohol-water mixtures by the trends of product selectivities, which show a maximum for ethanol-water mixtures. From the KSIE of 1.45 in methanol, it is proposed that the reaction channel favored in methanolwater mixtures and in all less polar media is general-base catalysed and/or is possibly (but less likely) an addition-elimination pathway. Also, the KISE value of 1.35 for DSC in water is expected for SN2-SN1 processes, with minimal general base catalysis, and this mechanism is proposed for solvolyses in the most polar media.

일반화학 교재에 나타난 엔트로피 정의와 설명의 고찰 (Studies of the Definition and Explanation of Entropy in the GeneralChemistry Textbook)

  • 서영진;채희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62-7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주로 채택하는 일반화학 교재를 포함한 미국에서 출판된 총 12 종의 일반화학 교재들에 있는 ‘엔트로피’의 정의와 설명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같은 저자들이 저술한 교재의 판 별 변화를 살펴본 통시적 분석이며 다른 부분은 세 가지 영역 (엔 트로피 정의와 설명방법에 쓰인 무질서, 엔트로피 정의와 설명방법에 Microstates의 수 도입, 통계학적 엔 트로피와 열역학적 엔트로피를 배울 때의 오개념 가능성)으로 살펴본 내용적 분석이다. 연구 결과, 엔트로 피를 무질서의 정도라고 정의하는 것은 지양되었고, Microstates의 수를 이용한 설명 방법으로 대체 되었 다. 또한, 두 가지 다른 엔트로피가 존재한다고 믿는 오개념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주의점을 기술한 교재도 발견되었다. 엔트로피 설명방법의 이러한 변화를 새로운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교사들을 재교육하는 것은 우리나라 화학교육의 발전에 중요한 일이다.

The Time Correlation Functions of Concentration Fluctuations in the Lotka Model near the Oscillatory Marginal Steady State

  • 김철주;이동재;고석범;신국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1호
    • /
    • pp.36-40
    • /
    • 1988
  • The time correlation functions of concentration fluctuations due to the random forces near the steady state are evaluated for a general two-component nonlinear chemical system by solving the corresponding two dimensional Fokker-Planck equation. The approximate method of solving the Fokker-Planck equation is based on the eigenfunction expansion and the corresponding eigenvalues for both the linear and nonlinear Fokker-Planck operators are obtained near the steady state. The general results are applied to the Lotka model near the oscillatory marginal steady state and the comparison is made between linear and nonlinear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