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 Technology

검색결과 3,640건 처리시간 0.033초

Growth, quality,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transgenic potato (Solanum tuberosum L.) overexpressing StMyb1R-1 under water deficit

  • Im, Ju-Sung;Cho, Kwang-Soo;Cho, Ji-Hong;Park, Young-Eun;Cheun, Chung-Gi;Kim, Hyun-Jun;Cho, Hyun-Mook;Lee, Jong-Nam;Jin, Yong-Ik;Byun, Myung-Ok;Kim, Dool-Yi;Kim, Myeong-J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54-16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growth, quality, and yields of StMyb1R-1 transgenic potato and also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ssessment guidelines of transgenic potato. Three transgenic lines (Myb 1, Myb 2, and Myb 8) were cultivated under conventional irrigation, drought condition, and severe drought condition and were analyzed by comparing with wild type, non-transgenic cv. Superior. Myb 2 showed a different flower color from wild type and Myb 1 had much bigger secondary leaflets than wild type. Myb 1 and Myb 2 showed higher $P_2O_5$ content in both top and root zone and longer shaped tubers than wild type. In yield factors, transgenic lines had more tubers than wild type, however their yield decreases were severe because of the poor enlargement of tuber under water deficit condition. This tendency was noticeable in Myb 1 and Myb 2. In TR ratio, chlorophyll content, dry matter rate, and relative water content,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transgenic lines and wild type. Meanwhile, in phenotype, growth, quality, and yield factors, substantial equivalent was confirmed between Myb 8 and wild type. Then, Myb 8 showed the highest marketable tuber yield under conventional irrigation, while showed lower level than wild type under water deficit. Judged by this result, the enhancing droughttolerance by StMyb1R-1 gene might actually not mean the enhancement of photosynthesis or starch accumulation in tuber and, furthermore, not the yield improvement. More detailed research will be required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Myb1R-1 and yield factors.

RAPD를 이용한 고추냉이의 유연관계 분석 (Intraspecific Genetic Relation of Wasabia japonica Matsum. Based on RAPD Analysis)

  • 허수정;권순배;변학수;서정식;유기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35
    • /
    • 2004
  • 국내에서 육성 또는 외국에서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는 고추냉이 (Wasabia japonica Matsum.) 7품종의 10개체와 울릉도 자생 1개체, 총 11개체에 대한 유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RAPD분석을 실시하였다. RAPD분석에 사용한 random primer는 총 50종류였으며 screen 결과 21종류만이 11품종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다. 21종류의 primer로부터 관찰된 밴드는 총 144개였으며 이중 다형화 (polymorphism)를 보이는 앤드는 68개 (47.2%)로 primer 한 개당 평균 3.2개의 다형화 밴드를 보였다. Primer별 밴드의 수는 $2{\sim}13$개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평균 밴드의 수는 6.8개였다. 유집분석 결과 phenogram은 유사도지수 $0.81{\sim}0.96$의 높은 범위 내에서 11개체들이 단계통군으로 유집되었으나 품종내 개체간에는 뚜렷하게 유집되지 않았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개체의 경우는Sayatori와 Himenisiki 품종을 제외한 나머지 8개체를 위한 자매군으로 유집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neighborjoining 분석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고추냉이의 종내 유연관계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RAPD법은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좀더 정확한 유연관계분석을 위해서는 AFLP방법이나 계통분류에 널리 이용되는 핵, 업록체 DNA의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와 같은 정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tegrative Study on PPARGC1A: Hypothalamic Expression of Ppargc1a in ob/ob Mice and Association between PPARGC1A and Obesity in Korean Population

  • Hong, Mee-Suk;Kim, Hye-Kyung;Shin, Dong-Hoon;Song, Dae-Kyu;Ban, Ju Yeon;Kim, Bum Shik;Chung, Joo-Ho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4권4호
    • /
    • pp.318-322
    • /
    • 2008
  • Obesity is an increasing worldwide health problem that is strongly related to the imbalance of food intake and energy metabolism. It was well-known that several substances in the hypothalamus regulate food intake and energy metabolism. We planned an integrative study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development of obesity. Firstly, to find candidate genes with the marvelous effect, the different expression in the hypothalamus between ob/ob and 48-h fasting mice was investigated by using DNA microarray technology. As a result, we found 3 gene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 alpha (Ppargc1a), calmodulin 1 (Calm1), and complexin 2 (Cplx2)] showing the different hypothalamic expression between ob/ob and 48-h fasting mice. Secondly, a genetic approach on PPARGC1A gene was performed, because PPARGC1A acts as a transcriptional coactivator and a metabolic regulator. Two hundred forty three obese female patients with body mass index (BMI)${\geq}$25 and 285 control female subjects with BMI 18 to<23 were recrui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Among the cod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cSNPs) of PPARGC1A, 2 missense SNPs (rs8192678, Gly482Ser; rs3736265, Thr612Met) and 1 synonymous SNP (rs3755863, Thr528Thr)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PCR-RFLP and pyrosequencing. For the analysis of genetic data, chi-square ($X^2$) test and EH program were used. The rs8192678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bese women (P<0.0006; odds ratio, 1.5327; 95% confidence interval, 1.2006-1.9568). Haplotypes also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bese women ($X^2$=33.28, P<0.0008). These results suggest that PPARGC1A might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obesity.

새로운 스트레스 단백질인 VISP의 세포내 위치 (Subcellular Localization of Novel Stress Protein VISP)

  • 문창훈;윤원준;고명석;김현주;박정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71-276
    • /
    • 2006
  • 이전의 연구 결과 어류 rhabdovirus에 감염된 세포에서 virus-inducible stress protein (VISP)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VISP의 세포내 위치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세포내 위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VISP의 부위를 확인하였다. 먼저 endogenous VISP의 세포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CHSE-214 세포를 VISP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사용하여 염색한 후 confocal microscope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VISP가 세포의 핵 주변에 점구조를 형성함이 확인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VISP에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이 붙은 fusion gene을 발현하는 plasmid를 제조하였다. EGFP-VISP를 발현하는 plasmid 벡터를 세포에 transfection 시킨 후 confocal microscope로 관찰한 결과 핵 주변에 점구조를 형성함이 확인되었다. VISP의 아미노산서열 중 핵 주변의 점구조 형성에 관여하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VISP의 다양한 deletion mutant들을 제조하였다. 이 mutant를 사용한 transfection 실험 결과 VISP의 C-terminal 부위(aa 612-710)가 핵주변의 점구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이 확인되었으며, 이 부분의 functional motif 분석결과 691-TLTSLLL-697 부위에 nuclear receptor binding motif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하면, VISP는 핵 주변에 존재하며 VISP의 C-terminal부위가 혀 주위 분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후의 연구로부터 VISP의 핵 주위 분포가 IHNV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면 IHNV 병원성의 새로운 기작을 밝혀내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수은, 6가크롬 오염토양으로부터 분리된 방선균군의 생태학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tinomycetes from Mercury and Chrome Polluted Soil)

  • 조민혜;한상미;백하주;황경숙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38-45
    • /
    • 2006
  • 경상북도내의 금속광산, 공장 및 공업지역의 토양의 오염도를 조사하고 중금속 오염토양 중에 분포하는 미생물 flora의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청정지역인 독도토양과 비교한 결과, 일반세균의 경우 $10\sim100$배 낮은 분포율을 나타내었으며, 6가크롬 오염토양 중 곰팡이는 거의 검출되지 많았다. 방선균은 수은 오염토양의 경우 $6.7X10^5\sim7.5X10^7\;cfu\;g^{-1}$, 6가크롬 오염토양 내 방선균 수는 $4.8X10^4\sim5.0X10^5\;cfu\;g^{-1}$이 측정되어 대조구 토양 내 방선균 분포와 비슷한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다. 수은 오염토양 시료를 $HgCl_2$ 50ppm과 100ppm을 각각 첨가한 배지에 접종하여 방선균수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 토양에 비해 10배 이상의 높은 수를 확인하였다. 수은 및 6가크롬의 오염토양으로부터 분리된 방선균 150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31균주가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들 방선균 중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낼 10균주를 선발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treptomyces 속, Saccharopolyspora 속, 그리고 Nocardioides 속에 속하는 3개의 계통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분리균주중에는 기지 미생물종과 97% 이하의 낮은 상동성을 나타내는 신규미생물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조사된 수은 및 6가크롬 오염토양내 중금속 내성 및 항균활성을 갖는 방선균이 높게 분포해 있음이 확인되어, 난분해성 화합물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의 유해 독성물질의 정균작용으로 인한 중금속 오염토양 내 환경의 복원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Identification of a Causal Pathogen of Watermelon Powdery Mildew in Korea and Development of a Genetic Linkage Marker for Resistance in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 Han, Bal-Kum;Rhee, Sun-Ju;Jang, Yoon Jeong;Sim, Tae Yong;Kim, Yong-Jae;Park, Tae-Sung;Lee, Gung Py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912-923
    • /
    • 2016
  • Watermelon production is often limited by powdery mildew in areas with a large daily temperature range. Development of resistant watermelon cultivars can protect against powdery mildew;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ts causal agents. Here, we identified the genus and race of a causal pathogen of powdery mildew in Ansung province of South Korea, and developed molecular markers for the generation of resistant watermelon cultivars. The causal pathogen was determined to be Podosphaera xanthii based on multiple sequence alignment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of rDNA. The physiological race was identified as 1W, and the Ansung isolate was named P. xanthii 1W-AN. Following inoculation with the identified P. xanthii 1W-AN, we found inheritance of the resistant gene fitting a single dominant Mendelian model in a segregated population ('SBA' ${\times}$ PI 254744).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linked to fungus-resistant loci,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was accomplished between DNA pooled from eight near-isogenic lines (NILs; $BC_4F_6$), originated from PI 254744 and susceptible 'SBB' watermelon. After sequencing bands from RAPD were identified in all eight NILs and PI254744, 42 sequence-characterized amplifiedregion (SCAR) markers were developed. Overall, 107 $F_2$ plants derived from $BC_4F_6$ NIL-1 ${\times}$ 'SBB' were tested, and one SCAR marker was selected. Sequence comparison between the SCAR marker and the reference watermelon genome identified three Nco I restriction enzyme sites harboring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nd codominant cleavage-amplified polymorphic site markers were subsequently developed. A CAPS marker was converted to a high-resolution melt (HRM) marker, which can discriminate C/T SNP (254PMR-HRM3). The 254PMR-HRM3 marker was evaluated in 138 $F_{2:3}$ plants of a segregating population ('SBA' ${\times}$ PI254744) and was presumed to be 4.3 cM from the resistance locus. These results could ensure P. xanthii 1W-AN resistance in watermelon germplasm and aid watermelon cultivar development in marker-assist breeding programs.

Advancement and Application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Technique in Dog

  • Oh, H.J.;Hong, S.G.;Park, J.E.;Kim, M.J.;Gomez, M.N.;Kim, M.K.;Kang, J.T.;Kim, J.E.;Jang, G.;Lee, B.C.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9년도 특별 Symposium
    • /
    • pp.49-57
    • /
    • 2009
  • The cloning of canids was succeeded in 2005, several years after the birth of Dolly the sheep and also after the cloning of numerous other laboratory and farm animal species. The delay of successful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was due to the uniqu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dogin comparison to other domestic mammals, such as ovulation of immature canine oocyte and a requirement of 25 days for the completion of meiosis within the oviduct (Holst & Phemister, 1971). When the technology for the recovery of in vivo matured oocyte was established, the application of cloning also became possible and cloned dog offspring were obtained. This report summarizes the progress of technical procedures that are required for cloning canids and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ique. The first cloned dog, Snuppy, was achieved using an in vivo-matured oocyte which was enucleated and transferred with an adult skin cell of male Afghan hound. After establishment of a criterion of well-matured oocyte for the improvement of SCNT efficiency, we obtained three cloned female Afghan hound and a toy poodle cloned from 14 year-old aged Poodle using SCNT through this factor. To date, cloned dogs appeared to be normal and those that have reached puberty have been confirmed to be fertile. Through application of canine SCNT technique, first, we demonstrated that SNCT is useful for conserving the breed of endangered animal from extinction through cloning of endangered gray wolves using inter-species SCNT and keeping the pure pedigree through the cloning of Sapsaree, a Korean natural monument. Secondly, we showed possibility of human disease model cloned dog and transgenic cloned dog production through cloning of red fluorescent protein expressing dog. Finally, SCNT can be used for the propagation of valuable genotypes for making elite seed stock and pet dog. In summary, dog cloning is a reproducible technique that offers the opportunity to preserve valuable genetics and a potential step towards the production of gene targeted transgenic cloned dogs for the study of human diseases.

  • PDF

지방세포에서 microRNA-145에 의한 Cathepsin D의 발현 제어 (Repression of Cathepsin D Expression in Adipocytes by MicroRNA-145)

  • 김현지;배인선;서강석;김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98-803
    • /
    • 2014
  • Cathepsin D (CtsD)는 아스파르트산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cytochrome C의 방출을 유도하여 apoptosis 기전을 활성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CtsD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microRNA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지방전구세포 사멸시 CtsD 발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DNA damage agent인 doxorubicin을 3T3-L1 세포주에 노출시켜 CtsD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전구세포주에서 CtsD가 과발현되면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miRanda program을 이용하여 CtsD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microRNA를 탐색하여 miR-145를 선발하였다. Luciferase reporter assay에 의해 miR-145가 CtsD 유전자의 3' UTR 부위에 결합하여 luciferase 활성을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3T3-L1 세포주에 miR-145 mimic을 도입한 결과 CtsD mRNA 발현과 단백질 수준이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주에 doxorubicin을 처리한 결과 CtsD 유전자 발현 증가와 상반되게 miR-145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외에도 miR-145 inhibitor을 세포에 도입하면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사멸에 CtsD가 관여할 수 있으며, miR-145에 의해 CtsD 발현이 직접 조절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방전구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miR-145 발현 제어가 주요한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지방세포 사멸기전 규명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TS 염기서열분석에 의한 한국산, 중국산 및 러시아산 가시오갈피의 유연관계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from Korea, China and Russia Based on the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 한효심;김두영;이갑연;박완근;조인경;정재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4-58
    • /
    • 2006
  • 한국, 중국, 러시아에서 자생하고 있는 가시오갈피에 대한 유전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Universal primer를 사용하여 PCR로 증폭시킨 후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ITS의 길이는 162 bp의 5.8S rRNA 유전자를 포함하여 한국산과 중국산은 608 bp 그리고 러시아산은 611 bp로 나타났다. ITS영역의 G+C 함량은 한국산과 중국산이 60.20%이고 러시아산이 60.06%였다. 한국산과 중국산의 ITS영역은 100% 동일하였으며, 러시아산은 한국산과 비교했을 때 3 bp의 염기삽입과 2 bp의 염기치환이 존재하여 99.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국산 가시오갈피는 러시아산보다 중국산과 유전적 유연관계가 더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동일 속내에서는 오갈피나무보다는 음나무와 ITS 염기서열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너비노이드 수용체 CB2의 신호전달작용에 미치는 RGS3의 억제적 효과 (RGS3 Suppresses cAMP Response Element (CRE) Activity Mediated by CB2 Cannabinoid Receptor in HEK293 Cells)

  • 김성대;이휘민;메하리 엔델;조재열;박화진;오재욱;이만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06-1513
    • /
    • 2009
  • RGS단백질은 G 단백질 신호전달작용에 있어서 신호를 억제하는 조절단백질로서 G 단백질 매개수용체(GPCR)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캐너비노이드 수용체 CB2의 활성에 있어서 RGS 단백질의 조절효과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우리는 RGS2, 3, 4, 5와 캐너비노이드 수용체 CB2 cDNA를 동시에 HEK293 세포주에 발현시킨 후 각 RGS 단백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CB2 단백질을 발현하는 HEK293 세포주(CB2-HEK293)에서 CB2 효현제인 WIN55,212-2는 폴스콜린으로 유도된 cAMP response element (CRE)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WIN55,212-2의 CRE 억제 활성은 RGS3에 의하여 차단되었지만 RGS2, 4, 및 RGS5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RGS3 small interference RNA (siRNA)를 사용하여 내인성 RGS3 단백질의 발현을 저하시키면 WIN55,212-2에 의한 폴스콜린 유도 CRE 억제활성은 더욱 증강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캐너비노이드 수용체 CB2 신호전달작용에 있어서 RGS 단백질의 기능적 역할과 특히 내인성 RGS3의 캐너비노이드 수용체 CB2에 대한 선택적 작용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