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 Content

검색결과 963건 처리시간 0.036초

New weighting agent for water-based mud, um-bogma area, central Sinai, Egypt

  • Abdou, Mahmoud I.;Ahmed, Hany El Sayed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6권3호
    • /
    • pp.159-171
    • /
    • 2017
  • A successful oil well drilling depends largely on a good mud Program. During drilling, mud provides sufficient hydrostatic pressure, removes drill cuttings and cools drill bits. Mud additives are always required to provide sufficient hydrostatic pressure to ensure borehole stability. Barium Sulphate ($BaSO_4$) also known as barite is the prevalent weighting material but there is needed to develop local materials to augment the use of Barite. The present search is concerned on the early Carboniferous succession exposed in Um Bogma Formation, west central Sinai, Egypt as a new weighting agent in drilling fluids. The increases in the cost of drilling fluids and a shortage of using barite have introduced the locale dolomite as alternative weighting materials.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mud drilling samples weighted by local dolomite samples are being examined and investigated to know its potential to be used as a weighting material in drilling mud. Two mud samples were prepared which comprised of fresh water, caustic soda, bentonite and the weighting material. The weighting materials are added to achieve the required density. The first sample: Water-based mud with commercial barite of density between 10.00 lb/gm and 18.00 lb/gm. The second sample: Water-based mud with dolomite of density between 10.00 lb/gm and 18.00 lb/gm. These samples were analyzed and the density, rheological properties, aging of barite and dolomite and solid contents were investigated. At 10.00 lb/gm, the yield point of dolomite was $20.00lb/100ft^2$ and barite $22.00lb/100ft^2$ while the 10 second gel strength of dolomite was $30.00lb/100ft^2$ and $22.00lb/100ft^2$ for barite. Similarly, little difference was observed in plastic and apparent viscosities. At 10.00 lb/gm, the plastic and apparent viscosities of dolomite were 8.00 cp and 20.00 cp while barite was 8.00 cp and 24.00 cp. The result show that dolomite mud sample gave a little higher yield point and gel strength than barite mud sample. Therefore, dolomite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weighting material in drilling mud in place of barite thereby enhancing the local content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When dolomite is sourced locally and used it will reduce overall mud and drilling costs.

붕어 및 가물치의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 (Compositions of Protein and Amino Acid in Crucian Carp and Snakehead)

  • 최진호;임채환;최영준;김창목;오성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338
    • /
    • 1986
  • 우리 나라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붕어와 가물치의 영양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백질,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하고, 육단백질중 근형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은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하여 그 구성 sub-unit를 검토하였다. 가물치는 붕어에 비하여 조단백질의 함량이 $3\%$가량 높았으며 Ex 분의 함량 또한 월등히 많았다. 육 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 조성은 붕어의 경우 근형질 단백질이 $32.6\%$, 근원섬유 단백질이 $62.0\%$, 알칼리가용성 단백질이 $4.9\%$, 기질 단백질이 $0.6\%$이었으며, 가물치는 근형질 단백질이 $30.7\%$, 근원섬유 단백질이 $64.1\%$, 알칼리가용성 단백질이 $4.7\%$, 기질 단백질이 $0.4\%$를 차지하고 있었다. 근형질 단백질과 근원섬유 단백질 분획의 일부에 대하여 구성 subunit를 분석한 결과, 붕어의 근형질단백질은 10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고, 가물치는 12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근원직유 단백질은 붕어가 19개의 subunit이었으며, 가물치는 18개 subunit로 이루어져 있었다. 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lysine과 glutamic acid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붕어와 가물치가 비슷한 편이었으며,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및 arginine이 전체 구성아미노산의 약 $46\%$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유리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 붕어는 histidine이 전체유리아미노산의 $52.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물치는 glutamic acid, glycine와 taurine이 전체유리아미노산의 약 $84.5\%$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총 유리아미노산의 양에 있어서 가물치는 붕어의 약 6.2배에 달하였다.

  • PDF

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에서 분리한 화합물의 함량분석 및 간세포 보호 효과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etabolites from Scrophularia buergeriana and their hepatoprotective effects against HepG2 Cells)

  • 나현선;오선민;신우철;황보전;김형근;윤다혜;양승환;이영섭;김금숙;백남인;이문순;이대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99-406
    • /
    • 2019
  • 현삼(Scrophularia buergeriana) 뿌리를 80% Methanol수용액으로 추출한 뒤, 감압 농축한 추출물을 EtOAc, n-BuOH과 H2O층으로 계통 분획을 실시하였다. n-BuOH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ctadecyl SiO2 column chromatograph 및 중압분취(MPLC) 장비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phenylethanoid glycoside 및 iridoid glycoside계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NMR 및 Mass데이터를 해석하여, harpagoside (1), angoroside C (2), aucubin (3) 및 acetoside (4)로 구조 동정하였다. 분리한 4종의 화합물에 대하여 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정량분석한 결과, 11.5 mg/g (1), 7.6 mg/g (2), 41.2 mg/g (3), 및 4.8 mg/g (4) 이 현삼 뿌리에 함유된 것을 확인하였다. 현삼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중 angoroside C 및 acetoside는 에탄올에 의해 저해된 세포 성장률을 검증한 결과, 간암세포종인 HepG2세포에 대해서 간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식 어류껍질 젤라틴의 원료로서 연근해산 수산물껍질의 검색 (Screening for raw material of modified gelatin in marine animal skins caught in coastal offshore water in Korea)

  • 조순영;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34-139
    • /
    • 1996
  • 연근해산 수산물중 부산물의 양이 많은 붕장어껍질, 말쥐치껍질 및 화살오징어껍질을 대상으로 수산 연제품의 품질개선제로 사용하기 적절한 수산물껍질 젤라틴의 원료를 검색하였다. 콜라겐함량은 붕장어껍질(24.69%)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말쥐치껍질(20.03%)이었으며 화살오징어껍질은 12.62%에 불과하였다. 콜라겐의 조성은 어류껍질의 경우 가용성획분$(67.4%{\sim}72.3%)$이 불용성획분보다 높았으나, 화살오징어껍질의 경우 불용성획분(69.6%)이 가용성획분보다 높았고, 아미노산조성은 가용성획분 및 불용성획분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근해산 수산물껍질의 콜라겐은 ${\alpha}$ chain과 ${\beta}$ chain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alpha}$ chain은 동일종이 아닌 hetero형 이었다. Imino acid 조성비, proline의 수산화정도 및 열변성온도는 붕장어껍질 콜라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말쥐치껍질 콜라겐 및 화살오징어껍질 콜라겐의 순이었고 또한 이들 껍질로부터 추출한 젤라틴의 물리적 특성도 열변성온도의 경향과 같았다.

  • PDF

고분자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의료.식품용 멸균제 이산화염소의 전기화학분해 발생 (Electrochemical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Using Polymer Ion Exchange Resin)

  • 노승백;김상섭
    • 공업화학
    • /
    • 제23권1호
    • /
    • pp.86-92
    • /
    • 2012
  • 이온교환수지(ion exchange resin; IER)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ClO_2$)의 전구체 용액인 아염소산나트륨($NaClO_2$) 용액으로부터 아염소산이온($ClO_2^-$)을 흡착시킨 후 전기분해장치(electrolysis system)에 의한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온교환수지는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전극으로는 Ru, Ir이 코팅된 Ti plate를 사용하였다. 반응조의 교반속도, 온도, 아염소산 제조농도, 이온교환수지의 투입량과 형태에 따라 이온교환수지의 아염소산이온($ClO_2^-$) 흡착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는 이온교환수지를 도출하였다. 전기분해장치에 의한 이산화염소의 발생 추이를 관찰하고 발생 목표값에 최적화된 조건을 실험계획법인 반응표면분석(response surface design)으로 선정하였다.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는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는 SAR-20 (TRILITE Gel type II형)이며 그 흡착량은 약 110 mg/IER (g)으로 관찰되었으며, 전기분해장치의 이산화염소 발생 최적조건은 멸균 목표값인 900~1000 ppm, 1 h에서 정전류는 전류인가 전극의 면적을 기준으로 $A/dm^2$, $N_2$ gas 유량은 4.7 L/min이었다.

홍화종자에서 항산화성 Serotonin계 화합물,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oylserotonin의 분리 및 정량분석 (Determina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Serotonin Derivatives, N-(p-Coumaroyl)serotonin and N-feruoylserotonin from Safflower Seeds)

  • 이강수;김윤희;정남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71-178
    • /
    • 2008
  • 홍화종자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preparative HPLC($\mu$-Bondapak $C_{18}$ column($7.8{\times}300mm$) 분석을 통하여 DPPH radical 소거 활성도가 높은 두 종류의 항산화 물질(CA와 CB)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항산화물질의 대량 추출을 위하여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그리고 butanol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였으며 이 중 ethyl acetate 분획에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은 물질이 추출되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hlomatography하여 CA와 CB를 분리하였고, $^1H$-NMR과 $^{13}C$-NMR 분석에 의하여 CA는 N-(p-Coumaroyl) serotonin, 그리고 CB는 N-feruoylserotonin으로 동정되었다. 홍화종자에서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oylserotonin의 함량을 $\mu$-Bondapak $C_{18}$ column($3.9{\times}300\;mm$)으로 300nm에서 acetonitrile의 용매로 10%에서 분석을 시작하여 30분 동안 50%까지 기울기 모드로 분석한 결과 N-(p-Coumaroyl)serotonin의 함량은 4.11 mg/gDW, N-feruoylserotonin의 함량은 7.29 mg/gDW이었으며, 이 두 가지 항산화 물질은 모두 종자껍질에서만 추출되었다.

수용성 아크릴 변성 알키드 수지의 합성과 물성 2. MA 및 TMPTA 공중합체에 의한 변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crylic-Modified Water-Reducible Alkyd Resin 2. Modification by MA and TMPTA Graft Copolymerization)

  • 조영호;강기준;노시태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698-705
    • /
    • 1994
  • Linseed oil fatty acid(LOFA), phthalic anhydride(PAA) 및 maleic anhydride(MA), trimethylol propane(TMP)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유장(oil length) 50%의 중유성 기본 알키드를 합성하고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TMPTA)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였다. 수지의 산가는 MA 첨가량으로 제어하였으며, 수용화에는 N,N-dimethylethanol amine(DMEA)를 사용하였다. TMPTA의 첨가량 변화에 의한 분자량, 유리 전이온도, 수용화 후의 점성도 및 그라프트율을 측정하였으며, 가교도막의 경화온도별 겔분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멜라민 수지 경화 도막의 내열성, 내자외선성, 내수성 및 저장 안정성을 측정하고, T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의 물성과 비교하였다. TMPTA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용화 후의 점성도, 겔분율, 그라프트율 및 분자량이 증가하였으며, 유리 전이온도(Tg)는 감소하였다. 고형분 함량에 따른 점성도 변화는 고형분 30%일 때보다 40%일 때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중화도에 따른 점성도 변화는 중화도가 높을수록 낮은 점성도를 나타내썼다. 내열성, 내자외선성, 내수성은 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가 T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보다 우수하였으나, 저장 안정성은 T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감나무 잎으로 부터 분리한 tyrosinase 억제물질의 응용 (Application of Isolated Tyrosinase Inhibitory Compounds from Persimmon Leaves)

  • 조영제;안봉전;김정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76-984
    • /
    • 2011
  • 감잎으로부터 tyrosinase 억제물질의 추출을 위하여 60% 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 추출물의 phenol성물질 함량이 21.91 mg/g로 가장 높았고, tyrosinase 억제효과도 37%의 억제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잎 추출물로부터 tyrosinase 저해 활성 물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Sephadex LH-20 column과 MCI-gel CHP-20 column을 이용하여 gradient로 용출한 결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을 가지는 2가지 순수한 compound를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2가지 compound를 구조 동정한 결과, (+)-gallocatechin과 prodelphinidin B-3이었다. 정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gallocatechin과 prodelphinidin B-3는 29.5, 40.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elanoma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gallocatechin과 prodelphinidin B-3는 각각 32.5, 46.7%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멜라닌생성억제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정제된 미백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essence 제품의 안정성을 살펴본 결과, 미백 essence제품의 pH는 10,000 ppm의 농도에서 4.90~4.95였으며, 점도는 23,000~26,000 cP로 60일 동안의 저장기간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일반적 보존 시험인 온도에 따른 안정성과 광안정성(인공광, 자연광) 검사에서도 안정하였으며, 특수, 가혹 보존 시험인 온도순환에 따른 안정성 검사에서도 상의 분리와 변색, 변취 없이 모두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토리와 밤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orn and Chestnut Starches)

  • 이혜성;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3호통권12호
    • /
    • pp.1-7
    • /
    • 1990
  • 도토리와 밤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비교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전분입자의 표면구조는 도토리와 밤전분이 모두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이나 타원형 모양이었으며 밤전분이 다소 더 각진 형태였다. 2) 물결합능력은 도토리가 191%, 밤이 200%로 밤전분이 약간 높았다. 3) gel 부피는 도토리보다 밤전분이 먼저 $55^{\circ}C$부터 늘기 시작하여 계속 높은 값을 보였고 amylose용출양은 $90^{\circ}C$이전에서는 밤전분이, 이 이후에는 도토리전분이 더 많은 양을 나타내었고 청가와 amylose함량은 도토리가 0.464, 24.8%, 밤이 0.440, 22.5%로 도토리가 약간 높았다. 4) amylogram양상은 도토리는 최고점도에 도달한 후 약간 정체를 보이다가 다시 계속 증가하였고, 밤은 급격히 최고점도에 도달한 다음 빠른 속도로 점도가 감소한 후 아주 서서히 증가하였다. 5) DSC thermogram에 의한 peak temp.와 호화 enthalpy는 도토리가 $67.0^{\circ}C$, 3.64 cal/g, 밤이 $66.0^{\circ}C$, 2.82 cal/g으로 도토리가 결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X-선 회절도는 두 전분 모두 A형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으나 밤전분은 약간 B형의 경향도 보였다.

  • PDF

해조류 효소가수분해물질로부터 정제한 저분자 Peptide의 기능성 (Functional Activities of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Purified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Seaweeds)

  • 이정민;유상권;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24-1129
    • /
    • 2005
  • 동해안 특산 해조류의 식품 또는 의약품재료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소화효소(pepsin)로 가수분해한 다음 저분자peptide를 정제하여 여러 가지 기능성을 연구하였다. 쇠 미역, 파래 및 지누아리의 효소가수분해물은 Bio-Rad P2 gel chromatography 상에서 3개의 peptide peak를 나타내었으나 김은 2개의 peak를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은 김 peak 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김 peak 2 및 쇠미역 peak 2 순으로 높았다. ACE 저해활성은 김 peak 1, 파래 peak 3 및 peak 2순으로 높았으며, 항갈변활성은 김 peak 1 및 2, 파래 peak 2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파래 peak 3이 높았다. 항암(종양)활성은 파래 Peak 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쇠미역 peak 2, 파래 peak 3, 지누아리 peak 3 순으로 높았다. 전반적으로는 김의 기능성이 가장 뛰어났으며, 이는 가장 높은 단백질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도 한 이유라고 판단되며, 앞으로 저분자 peptide의 구조분석 및 아미노산 sequence의 규명도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