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trointestinal bleeding.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2초

중환자실로 입원한 폐결핵 환자의 임상 양상과 예후 인자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 강지영;김명숙;김주상;강현희;김승수;김용현;김진우;이상학;김석찬;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5호
    • /
    • pp.259-266
    • /
    • 2010
  • Background: Pulmonary tuberculosis (TB), requiring the intensive care unit (ICU) care, has been a high-mortality condition until now.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clinical features and parameters associated with TB mortality. Methods: From August 2003 to December 2008,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or histologically confirmed pulmonary TB then admitted to the ICU,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into the study. Upon enrollment,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sults: Forty three patients (30 males, 13 females) were included and their mean age was 63.8 years (range: 17~87 years). Twelve patients died, an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of 27.8%. The main reason for the ICU care was dyspnea or hypoxemia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n=17). Other diagnoses for ICU care were hemoptysis, monitoring after procedures, neurologic dysfunction, shock, and gastrointestinal bleeding. On univariate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mortality were malnutrition-related parameters including low body mass index, hypoalbuminemia, lymphocytopenia, and hypocholersterolemia, as well as severity-related variables such as high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score, number of involved lobes, and high C-reactive protein. In addition, respiratory failure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ontributed to patient fatality. It was shown on multivariate analysis that respiratory failure and hypoalbuminemia were significantly independent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mortality. Conclusion: Acute respiratory failure is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ICU care and also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poor outcome. In addition, our data suggest that the parameters associated with malnutrition could be possible factors contributing to mortality.

다발성 손상을 가진 정신지체 환자에서 치료 우선순위로 구강출혈의 조절 (ORAL HEMORRHAGE CONTROL AS TREATMENT PRIORITY IN A MENTALLY RETARDED PATIENT WITH MULTIPLE TRAUMA)

  • 오지현;김지훈;유재하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26
    • /
    • 2016
  • 저자 들은 뺑소니 차량에 다발성 손상을 입고 응급실로 내원된 정신지체 장애환자에서, 초기 평가와 관리의 단계에서부터 다발성 외상환자 진료우선 순위에 따라 먼저 경척수를 안정시키고, 구강출혈부 지혈위한 구개횡단 강선결찰술과 비강출혈부 바셀린 거즈 전색 압박술 및 구강주위 개방 창상내 습윤거즈 전색 압박술 등을 신속하게 시행하여 기도폐쇄를 방지하고서, 임상 병리검사와 방사선 사진검사를 시행한 다음에, 기관내 삽관술, 비위장관 삽입술, 전신상태 모니터링 장비 활용, 수액 약물요법 등을 시행하였고, 보호자와 뒤늦게 연락이 되어서 체계적인 관련의학과적 관리를 장기간 시행해서,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관찰할 수 있었다.

Clinical Significance of Preoperative Embolization for Non-Hypervascular Metastatic Spine Tumors

  • Yoo, Sung-Lim;Kim, Young-Hoon;Park, Hyung-Youl;Kim, Sang-Il;Ha, Kee-Yong;Min, Hyung-Ki;Seo, Jun-Yeong;Oh, In-Soo;Chang, Dong-Gune;Ahn, Joo-Hyun;Kim, Yong-W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1호
    • /
    • pp.106-113
    • /
    • 2019
  • Objective : The efficacy of preoperative embolization for hypervascular metastatic spine disease (MSD) such as renal cell and thyroid cancers has been reported. However, the debate on the efficacy of preoperative embolization for non-hypervascular MSD still remains unsett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preoperative embolization for non-hypervascular MSD decreases perioperative blood loss. Methods : A total of 79 patients (36 cases of preoperative embolization and 43 cases of non-embolization) who underwent surgery for metastatic spine lesions were included. Representative hypervascular tumors such as renal cell and thyroid cancers were excluded. Intraoperative and perioperative estimated blood losses (EBL), total number of transfusion and calibrated EBL were recorded in the embolization and non-embolization groups. The differences in EBL were also compared along with the type of surgery. In addition, the incidence of Adamkiewicz artery and complications of embolization were assessed. Results : The average age of 50 males and 29 females was $57.6{\pm}13.5$ years. Lung (30), hepatocellular (14), gastrointestinal (nine) and others (26) were the primary cancers. The demographic dat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mbolization and the non-embolization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aoperative EBL, perioperative EBL, total transfusion and calibrated EBL between two groups. However, intraoperative EBL and total transfusion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emboliz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non-embolization in the corpectomy group (1645.5 vs. 892.6 mL, p=0.017 for intraoperative EBL and 6.1 vs. 3.9, p=0.018 for number of transfusion). In addition, the presence of Adamkiewicz artery at the index level was noted in two patients. Disruption of this major feeder artery resulted in significant changes in intraoperative neuromonitoring. Conclusion : Preoperative embolization for non-hypervascular MSD did not reduce perioperative blood loss. However, the embolization significantly reduced intraoperative bleeding and total transfusion in corpectomy group. Moreover, the procedure provided insights into the anatomy of tumor and spinal cord vasculature.

카무트밀 효소 식이가 Dextran Sulfate Sodium으로 유발한 대장염 마우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mut Wheat Enzyme Diet on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Mice)

  • 길범주;백채윤;이준이;황예슬;최여진;손주희;유미애;이동훈;이동헌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1-38
    • /
    • 2024
  • Objectives : Ulcerative colitis is a chronic recurrent inflammatory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However, there are some drawbacks to long-term drug therapy such as the risk of opportunistic infections. Recently, there was an increasing interest on the use of khorasan Kamut wheat because of their higher value of selenium and fiber than modern whea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amut brand wheat enzyme (Kamut WE) diet on colon health in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colitis mice. Methods : Female C57BL/6J mice were divided into 6 groups. (1) normal (Water and AIN-93G diet), (2) control (1.25% DSS and AIN-93G diet), (3) Kamut WE (1.25% DSS and Kamut WE diet), (4) normal (Water and AIN-93G diet), (5) control (2.50% DSS and AIN-93G diet), (6) Kamut WE (2.50% DSS and Kamut WE diet). Dietary intake, body weight change, disease activity index (DAI), colon length and spleen weight were monitored. Results : Kamut WE group alleviated colitis symptom, including dietary intake loss, DAI (weight loss, loose stools, bleeding), colon length shortening and spleen swelling. Further, Kamut WE die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against pathological damage by the increased colon length, decreased DAI and spleen weight in DSS 1.25% as well as DSS 2.50%. Conclusions : Our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Kamut WE diet increased colon length, decreased DAI and spleen weight in intestinal inflammation.

경경정맥 간내 문맥 정맥 단락술 후 드물게 발생하는 동맥-담관루: 증례 보고 (Arterio-Biliary Fistula as a Rare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A Case Report)

  • 고지수;권려민;김한면;김민정;하홍일;박지원;우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705-711
    • /
    • 2022
  • 46세 남자 환자가 알코올성 간경화와 동반된 지속되는 복수로 인해 경경정맥 간내 문맥 정맥 단락술을 시행 받았다. 시술 후 9일째 흑색변 및 헤모글로빈 수치의 감소로 혈관조영 컴퓨터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혈액담즙증 및 우간동맥과 우간내담관 사이의 동맥-담관루가 의심되었다. 혈관조영술에서 분절간동맥의 작은 분지와 우간내담관의 동맥-담관루가 확인되었다. 분절8 간동맥에 대해 코일로, 분절5 간동맥에 대해 글루-리피오돌 혼합물로, 우전 간동맥에 대해 젤폼으로 색전술을 시행하였고, 시술 후 혈관조영술에서 동맥-담관루는 소실되었다. 그러나 색전술 시행 2일 후 환자는 진행하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로 인해 사망하였다. 경경정맥 간내 문맥 정맥 단락술 이후 위장관 출혈이 있을 경우 혈액담즙증의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하여 가능한 빠른 시기에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구불창자간막 혈종으로 발현한 회충증: 증례 보고 (Ascariasis Presenting as Hematoma in the Sigmoid Mesocolon: A Case Report)

  • 김지은;배경은;김현정;배병노;이지혜;강미진;김지영;김재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1013-1018
    • /
    • 2020
  • 회충증은 Ascaris lumbricoides에 의하여 유발되는 장 질환이다. 대부분의 회충증 환자는 무증상이지만 장내 유충이 많은 경우에는 장 폐색, 폐쇄성 황달, 담관염, 담낭염, 췌장염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저자들은 컴퓨터단층촬영(이하 CT)에서 구불창자간막에 혈종과 활동성 출혈이 발생하여 회충증으로 진단된 74세 남자의 사례를 경험하였다. 이후에 환자가 시행한 CT에서는 이와 더불어 구불창자의 천공 발생이 확인되었다. 복강경을 통한 저위전방절제술이 시행되었고 구불창자간막에 큰 혈종이 있었으며 장간막 지방 조직에서 현미경적으로 회충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회충증의 드문 임상적, 영상의학적 소견은 기생충이 장관의 내강 안에서 복강 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순차적인 합병증들을 보여준다.

Efficacy of the pocket-creation method with a traction device i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residual or recurrent colorectal lesions

  • Daisuke Ide;Tomohiko Richard Ohya;Mitsuaki Ishioka;Yuri Enomoto;Eisuke Nakao;Yuki Mitsuyoshi;Junki Tokura;Keigo Suzuki;Seiichi Yakabi;Chihiro Yasue;Akiko Chino;Masahiro Igarashi;Akio Nakashima;Masayuki Saruta;Shoichi Saito;Junko Fujisaki
    • Clinical Endoscopy
    • /
    • 제55권5호
    • /
    • pp.655-664
    • /
    • 2022
  •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for residual or recurrent colorectal lesions after incomplete resection is challenging because of severe fibrosi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 pocket-creation method (PCM) with a traction device (TD) with that of conventional ESD for residual or recurrent colorectal lesions.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72 patients with residual or recurrent colorectal lesions resected using ESD. Overall, 31 and 41 lesions were resected using PCM with TD and conventional ESD methods, respectively. We compared patient background and treatment outcomes between the PCM with TD and conventional ESD groups, respectively. The primary endpoints were en bloc resection and R0 resection rates. The secondary endpoints were the dissection speed and incidence of adverse events. Results: En bloc resection was feasible in all cases with PCM with TD, but failed in 22% of cases of conventional ESD. The R0 resection rates for PCM with TD and conventional ESD were 97% and 66%, respectively. Dissection was significantly faster in the PCM with TD group (13.0 vs. 7.9 mm2/min). Perforation and postoperative bleeding were observed in one patient in each group. Conclusions: PCM with TD is an effective method for treating residual or recurrent colorectal lesions after incomplete resection.

대동맥판 치환술의 임상 성적 (Clinical Results of Aortic Valve Replacement)

  • 나국주;오정우;안병희;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52-157
    • /
    • 1997
  • 전남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6년 8월 부터 1995년 7월 까지 65례의 대동맥판치환술을 경험하였다. 48명이 남자였고 17명의 환자가 여자였으며 19세에서 68세의 연령분포를 보였다. 판막질환의 원인은 류마티성 질환이 29례 (44.6%), 선천성 판막질환이 6례 (6.2%), 심내막염이 6례 (6.2%) 등을 보였다 동반된 수술은 10례에서 있었는데 5례가 선천성 심장 질환의 교정술이었고심막절제술 1례,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 1례, 발살바 동맥동 수술 2례, 대동맥 판막하막 절제술이 1례 등이었다. 사용된 판막은 St. Jude-Medical판이 42개, Duromedics판막이 22개, Bjork-Shiley판막이 2개, Carpentier-Edward판막 이 1개 있었다. 병원내 사망은 3례(4.6%)있었고 만기사망이 2례(3.2%)있었다. 수술후 사망례를 제외하고 100%의 환자에서 추적 관리가 되었고 10년 생존율은 85.3%를 보였다. 술후 합병증은 저심박출증이 8례, 부정맥이 5례, 기계판막과 관련된 용혈이 1례 있었다. 수술후NYHA기능분류는 수술전 2.79$\pm$ 0.66에서 수술후 1.25 $\pm$ 0.49로 개선되었고 단기 및 중장기 추적 조사 결과 우수한 기계판의 혈역학적 동태를 보였고 혈전증의 발생율은 아주 낮았다.

  • PDF

위종양성 병변에 대한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Availability of Endoscopic Incision and Submucosal Dissection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Neoplasms)

  • 정윤호;은수훈;조수영;정인섭;유창범;이준성;이문성;김부성;심찬섭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2호
    • /
    • pp.76-83
    • /
    • 2006
  • 목적: 최근 위선종 및 조기위암에 대해 새로운 내시경적 치료법인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은 기존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보다 더 넓은 적응증을 가지고 있지만 시술의 난이도가 높고 합병증의 위험이 있어 보편적으로 시술되고 있지 않다. 이에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으로 치료한 위의 종양성 병변의 치료 성적을 바탕으로 그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을 시행한 164명의 환자들의 179개의 위종양성 병변에 대하여 완전절제 및 일괄절제 여부, 합병증, 재발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179개의 병변은 조기위암 126예(70.3%), 선종 42예 (23.4%)였다. 병변의 침윤 깊이를 확인할 수 있었던 조기위암 420예는 각각 점막1층(sm1) 0.8% (1/120), 점막2층(m2) 38.3% (46/120), 점막3층(m3) 25% (57/120), 점막하1층(sm1) 11.7% (14/120), 점막하2층(sm2) 1.6% (2/120)이었다. 종양의 일괄절제율과 완전절제율은 각각 96.0%, 85.2%였다. 합병증은 천공 8예(4.4%), 출혈 38예(21.2%)가 발생하였으나, 천공 1예를 제외한 나머지는 비수술적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은 위종양성 병변의 근치적 치료에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술기이고, 향후 보다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통해 그 유용성이 검증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주기관지 폐색환자에서 종양내 ETHANOL 주입치료 효과 (Direct Intratumoral Injection of Ethanol in the Patients with Obstruction of Major Bronchus)

  • 이봉춘;염호기;최수전;김동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495-500
    • /
    • 1993
  • 연구배경 : 수술이 불가능한 주기도의 종양성 병변에 의한 기도 폐쇄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Yag-laser 치료, 체외부 방사선치료나 기관지내 방사선치료법 등이 있다. 최근 조기 간암 환자들에서 직접 ethanol을 암조직내로 투입해서 좋은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저자들도 주기도 폐쇄를 일으킨 폐암환자 11명을 대상으로 기관지경을 통해 직접 암종괴내로 ethanol을 주입하여 기도폐쇄를 호전시킬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 지속적인 산소 주입하에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경기관지 흡입침을 이용하여 종양내로 직접 ethanol을 0.5~1.0ml씩을 수회 주입한 후 생검 겸자로 종양을 제거하였으며 필요시는 3~4일후 이 조작을 되풀이하였다. 결과 : ethanol 주입 직후 점막이 창백해지고 출혈이 즉시 멎었으며 지연 효과로서 종양의 괴사가 발생하였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2~3회 치료후 기간지가 개방되었고 증상 및 흉부 X-선 사진의 호전을 보였다. 11명 환자들에서 폐기능 검사상 FVC가 $2.1{\pm}0.84L$에서 $2.44{\pm}0.92L$$FEV_{1.0}$$1.48{\pm}0.69L$에서 $1.80{\pm}0.64L$로 증가하였고, $PaO_2$$68.1{\pm}9.2$ mmHg에서 $83.9{\pm}8.1$ mmHg로 (p<0.005), $SaO_2$$94{\pm}8.5%$에서 $96.6{\pm}1.1%$(p<0.005)로 증가하였으며, $AaDO_2$$26.5{\pm}8.5$mmHg에서 $10.9{\pm}9.1$mmHg(p<0.005)로 감소하였다. 결론 : 종양에 의한 주기관지 폐색환자에서 ethanol을 종양 조직내 직접 주입하는 것은 주기도 폐쇄를 치료하는데 빠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