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

검색결과 3,062건 처리시간 0.043초

Isolation of Gibberellins-Producing Fungi from the Root of Several Sesamum indicum Plants

  • CHOI, WHA-YOUL;RIM, SOON-OK;LEE, JIN-HYUNG;LEE, JIN-MAN;LEE, IN-JUNG;CHO, KANG-JIN;RHEE, IN-KOO;KWON, JUNG-BAE;KIM, JONG-G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22-28
    • /
    • 2005
  • Gibberellins (GAs) play important roles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Fifty-four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4 kinds of Sesamum indicum plants, and the production of GAs was spectrophotometrically examined. The number of GA-producing fungi was two strains from S. indicum, four strains from Gold S. indicum, and five strains from Brown S. indicum. Eleven fungi with GAs-producing activity were incubated for seven days in 40 ml of Czapek's liquid medium at $25^{\circ}C$ and 120 rpm, and the amount of each GA in the medium wa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y (GC-MS). Penicillium commune KNU5379 produced more $GA_3$, $GA_4$, and $GA_7$ than Gibberella fujikuroi, Fusarium proliferatum, and Neurospora crassa which are known as GAs-producing fungi. GAs-producing activity of the P. commune KNU5379 was shown to produce 71.69 ng of $GA_1$, 252.42 ng of $GA_3$, 612.00 ng of $GA_4$, 259.00 ng of $GA_7$, and 202.69 ng of $GA_9$ in 25 ml of liquid medium. Bioassay of culture fluid of GA-producing fungi was also performed on rice sprout.

35 ㎓ MMIC 2단 전력 증폭기 설계 (Design of MMIC 2 Stage Power amplifiers for 35 ㎓)

  • 이일형;채연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7-640
    • /
    • 1998
  • A 35 ㎓ GaAs MMIC power amplifier was designed using a monolithic technology with AlGaAs/InGaAs/GaAs power PM-HEMTs, rectangualr spiral inductors and Si3N4 MIM capacitors. The GaAs power MESFETs in the input and output stages have total gate widths of 120 um and 320 um, respectively. Total S21 gain of 10.82dB and S11 of -16.26 dB were obtained from the designed MMIC power amplifier at 35 ㎓. And the chip size of the MMIC amplifier was 1.4$\times$0.8 $\textrm{mm}^2$

  • PDF

고속 신호처리를 위한 GaAs MESFET's 스위치드 커패시터 필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GaAs MESFET's Switched Capacitor Filter Using GaAs MESFETs for High-Speed Signal Processing)

  • 김학선;임명호;김경월;이형재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7호
    • /
    • pp.42-49
    • /
    • 1993
  • In this paper, switched-capacitor building block presented which are suitable for implementation in GaAs MESFET technology. They include a current source, a gain stage,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Switched-capacitor design techniques are discussed that minimize filter sentsitivity to finite gain of the GaAs operational amplifier.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on third-order elliptic lowpass ladder filter at a sampling rate of 5GHz.

  • PDF

$Ga_2S_3$: Er 단결정의 Photoluminescence 특성 연구 (Photoluminescence of $Ga_2S_3$: Er Single Crystals)

  • 진문석;김화택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6-71
    • /
    • 1998
  • 두가지 종류의 Ga2S3:Er(A형 및 B형) 단결성을 iodine을 수송매체로 사용하는 화학 수송법으로 성장 시켰다. 성장된 단결정은 모두 단사정계 결정구조를 갖고 있었다. 광흡수 측정으로부터 구한 광학적 에너지띠 간격은 13K에서 A형 단결정이 3.375$\pm$0.001cV, B형 단 결정이 3.365$\pm$0.001eV로 주어졌다. 이들 $Ga_2S_3:Er$:Er단결정을 Cd-He 레이저의 325nm-선으로 여기하여 측정한 photoluminescence 스펙트럼에서, A형 단결정은 444nm에 피크가 위치하는 강한 청색발광띠가 나타났다. B형 단결정은 513nm과 695nm에 피크가 위치하는 녹색발광띠 및 적색발광띠 및 적색발광띠만이 나타났다. 두가지 종류의 단결정 모두에서 525nm과 695nm에 피크가 위치하는 녹색발광띠 및 적색발광띠만이 나타났다. 두가지 종류의 단결정 모두에서 525nm, 553nm, 664nm, 812nm, 986nm, 1540nm 파장 영역 부근에 위치하는 예리 한 발광피크들이 나타났으며, 이들 예리한 발광피크는 $Er^{3+}$ 이온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전자 전이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Binary Vector System을 이용한 당근 (Daucus carota) 세포의 형질전환 (Transformation of Carrot (Daucus carota) Cells Using Binary Vector System)

  • 양덕조;이성택
    • KSBB Journal
    • /
    • 제5권3호
    • /
    • pp.247-253
    • /
    • 1990
  • 고등식물의 형질전환용 유전자운반체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Ti-plasmid를 이용해서 당근세포를 형질 전환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Agrobacterium spp를 helper로 이용하여 NPT II gene를 함유하고 있는 binary vector GA472를 당근세포에 삽입시켜 kanamycin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세포주를 선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토양에서 선발한 A.tumefaciens 2종과 disarmes된 PC2760 그리고 hypervirulent균주인 A281에 tri-parental mating 방법에 의해서 binary vector인 pGA472을 도입하여 transconjungants인 A. tumefaciens c-23-1/pGA472,K29-1/pGA472, PC2760/PGA472 그리고 A281/pGA472를 획득하였다. Transconjungants는 plasmid의 분리, 정제방법에 의해서 추출한 후 0.7% agarose gel 상에서 관찰해 본 결과 4균주 공히 NTPII gene이 삽입된 pGA472와 Ti-plasmid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확인된 conjugant와 당근정상조직을 동시배양방법에 의해서 형질전환을 유도한 후 정상조직은 전혀 생존이 되지않은 kanamycin에 대해서 저항을 나타내는 callus를 선발할 수 있었다.

  • PDF

InGaN LED에서 칩 구조 및 칩마운트 구조에 따른 광추출효율에 관한 연구 (Photon Extraction Efficiency in InGaN Light-emitting Diodes Depending on Chip Structures and Chip-mount Schemes)

  • 이성재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5-286
    • /
    • 2005
  • InGaN LED에서 칩 구조 및 칩마운트 구조에 따른 광추출효율의 변화를 Monte Calo 기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Simulation을 통해 얻은 중요한 결론의 하나는, InGaAlP 또는 InGaN/SiC LED의 경우에서는 달리, InGaN/sapphire LED의 경우 칩의 측 벽면 기울임 기법의 광추출효율 개선효과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는 점이다. InGaN/SiC LED의 경우와는 달리, 기판으로 사용되는 sapphire의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생성된 광자들이 기판으로 넘어가는데 전반사장벽을 만나게 되어, 많은 광자들이 기판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두께가 매우 얇은 반도체 결정층에 갇히는 현상 때문이다. 동일한 현상은 epi-down 구조의 칩 마운트에서 광추출효율이 크게 개선되지 못하는 원인으로도 작용하게 된다. 광추출효율 관점에서의 epi-down 구조의 InGaN/sapphire LED가 갖고 있는 잠재력을 살리기 위한 방법의 하나는 기판-에피택시 계면을 texturing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생성된 광자들이 다량기판으로 넘어갈 수 있게 되어 광추출효율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계면 흡착에 의한 InAs/GaSb 초격자의 응력변조 효과 (Effects of Interface Soaking on Strain Modulation in InAs/GaSb Strained-Layer Superlattices)

  • 신현욱;최정우;김준오;이상준;김창수;노삼규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InAs/GaSb 응력초격자(SLS)의 계면 흡착(soaking)에 의한 응력변조 효과를 X선회절(XRD)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As과 Sb 흡착에 의하여 유도된 응력의 변화는 XRD 곡선의 기판피크과 0차 위성피크 사이의 분리각으로부터 조사하였으며, As/InAs 흡착은 약간의 GaAs-like 계면층을 유발하는 반면, Sb/GaSb 흡착은 InSb-like 계면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endellosung 간섭진동의 Fourier 변환 곡선을 이용하여, [InAs/GaSb]-SLS 성장에서 결정성이 가장 우수한 최적 As/InAs와 Sb/GaSb의 흡착시간은 각각 2 sec와 10 sec임을 밝혔다. InAs${\rightarrow}$GaSb 계면에 As과 Sb를 동시에 흡착시킨 SLS에서 XRD 위성피크가 2개로 분할되는 특이한 쌍정현상이 관측되었는데, 이것은 계면에서 In${\leftrightarrow}$Ga 및 Sb${\leftrightarrow}$As 상호혼합에 의한 InSbAs와 GaAsSb의 2종의 결정상이 공존함으로써 발생한 현상으로 추정된다.

GaN 전력반도체 글로벌 연구개발 현황 및 미래 발전방향 (GaN Power Devices-global R&D status and forecasts)

  • 문재경;배성범;이형석;정동윤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1권6호
    • /
    • pp.1-12
    • /
    • 2016
  • GaN 전력반도체는 와이드 밴드갭(Eg=3.4eV)과 높은 이동도 및 낮은 온-저항 특성으로 인하여 차세대 고속/저손실 고효율 전력반도체 소자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GaN 전력반도체 기술개발과 상용화는 초기단계로 선진업체 캐치업과 추월이 가능한 분야이다. GaN 반도체의 재료적 장점과 현재 상용화된 200V 이하급과 650V급 GaN 전력반도체 소자의 글로벌 시장동향으로 볼 때 고속 스위칭과 전력모듈 소형화 및 시스템의 고효율화를 요구하는 제품응용에 특화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기존 Si 전력반도체 대비 고성능 GaN 제품의 저가격화뿐만 아니라 선진기업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6인치 기반 Au-free CMOS 호환 공정 개발을 통한 GaN 전력반도체 기술의 국산화와 신시장 선점을 위한 조기 상용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Effective Channel Mobility of AlGaN/GaN-on-Si Recessed-MOS-HFETs

  • Kim, Hyun-Seop;Heo, Seoweon;Cha, Ho-Young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6권6호
    • /
    • pp.867-872
    • /
    • 2016
  • We have investigated the channel mobility of AlGaN/GaN-on-Si recessed-metal-oxide-semiconductor-hetero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recessed-MOS-HFET) with $SiO_2$ gate oxide. Both field-effect mobility and effective mobility for the recessed-MOS channel region were extracted as a function of the effective transverse electric field. The maximum field effect mobility was $380cm^2/V{\cdot}s$ near the threshold voltage. The effective channel mobility at the on-state bias condition was $115cm^2/V{\cdot}s$ at which the effective transverse electric field was 340 kV/cm. The influence of the recessed-MOS region on the overall channel mobility of AlGaN/GaN recessed-MOS-HFETs was also investigated.

Si과 Mg Doping된 GaN 나노막대의 모양과 PL 특성 변화

  • 김경진;이상태;박병권;최효석;김문덕;김송강;오재응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59-459
    • /
    • 2013
  • Si (111) 기판 위에 plasma assisted molecular beam epitaxy 법으로 Si과 Mg doping된 GaN 나노막대를 각 각 성장하고 나노막대의 모양과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i이 doping된 GaN 나노막대는 biaxial m-plane 방향의 변화로 별 모양을 갖는 것을 관찰하였고 Mg doping된 GaN 나노막대의 지름은 줄어드는 것을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stress 때문으로 보고 x-ray diffraction과 raman scattering 측정을 통하여 구조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stress에 의한 GaN 나노막대의광학적 특성 변화를 photoluminescence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Doping한 GaN 나노막대의 특성조사를 통해 GaN 나노막대 성장 시 발생되는 stress의 영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