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A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난백분말과 카제인으로 만든 젖산균 발효식품에서 생육촉진물질의 효과 (Effect of Growth Stimulating Agent in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Prepared from Egg White Powder and Casein)

  • 고영태;이은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09-51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난백분말과 카제인을 기질로 한 시료에 생육촉진물질(growth stimulating agent: GSA)을 첨가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및 젖산균 발효식품의 관능성과 점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GSA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촉진되었으며, 0.3%보다 1%에서 그 효과가 더 높았다. 시료에 따라서는 GSA 첨가시료의 산도가 우유시료와 차이가 없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GSA의 첨가로 인한 생균수의 증가는 뚜렷하지 않았다. 세 균주 중에서 L. acidophilus로 발효시킨 시료의 산도가 다른 균주보다 대체적으로 높았다. GSA 첨가농도는 1%가 가장 적합하였다. 발효시간을 달리하여 실시한 시료의 관능검사 결과 18 hr시료의 관능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한편 우유시료에 비하여 GSA 첨가시료는 유청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많고, GSA 특유의 맛과 냄새가 있어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이 다소 저조하였다. 우유시료와 control 시료의 점도가 GSA 첨가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GSA를 첨가한 4시료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모든 시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현상, 즉 thixotopic flow의 특성을 나타냈다.

  • PDF

Tc-99m Galactosylated Serum Albumin (GSA)을 이용한 정량적 간수용체 영상술 (Quantitative Evaluation of Liver Function with Hepatic Receptor Scintigraphy using Tc-99m Galactosylated Serum Albumin (GSA))

  • 이재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5-313
    • /
    • 1998
  •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asialoglycoprotein (ASGP) receptor, which resides exclusively on the plasma membrane of functioning mammalian hepatocytes, as a consequence of hepato-cellular damage has been demonstrated in various pathologic conditions of the liver. Galac-tosylated human serum albumin (GSA) is a newly developed receptor-binding agent, specific for the ASGP receptor. Tc-99m GSA binds quantitatively to liver ASGP receptors and the rate of accumulation in the liver is dependent on hepatic function represented as the amount of receptor, as well as the amount of ligand injected, its affinity to the receptor and the hepatic blood flow. The findings of Tc-99m GSA scintigraphy were reported to reflect the hepatic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large hepatic tumors, obstructive jaundice, acute and chronic liver disease. Tc-99m GSA scintigraphy is an easy and reliable test and has the clinical potentials to evaluate the liver function in the patients with hepatic disorders.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Two Gene Set Analysis Methods for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Results: GSA-SNP vs i-GSEA4GWAS

  • Kwon, Ji-Sun;Kim, Ji-Hye;Nam, Doug-U;Kim, Sang-Soo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0권2호
    • /
    • pp.123-127
    • /
    • 2012
  • Gene set analysis (GSA) is useful in interpreting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result in terms of biological mechanism.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wo different GSA implementations that accept GWAS p-values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r gene-by-gene summaries thereof, GSA-SNP and i-GSEA4GWAS, under the same settings of inputs and parameters. GSA runs were made with two sets of p-values from a Korean type 2 diabetes mellitus GWAS study: 259,188 and 1,152,947 SNPs of the original and imputed genotype datasets, respectively. When Gene Ontology terms were used as gene sets, i-GSEA4GWAS produced 283 and 1,070 hits for the unimputed and imputed dataset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GSA-SNP reported 94 and 38 hits, respectively, for both datasets. Similar, but to a lesser degree, trends were observed with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gene sets as well. The huge number of hits by i-GSEA4GWAS for the imputed dataset was probably an artifact due to the scaling step in the algorithm. The decrease in hits by GSA-SNP for the imputed datase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it relies on Z-statistics, which is sensitive to variations in the background level of associations. Judicious evaluation of the GSA outcomes, perhaps based on multiple programs, is recommended.

소맥겹의 Glutamine Synthetase 활성도에 관한 연구 I. 엽위별 GS활성도의 차이 및 출수후 "V"자형 변화현상 (Studies on the Activity of Glutamine Synthetase(GSA) in Wheat Leaves I. Variation of GSA by Different Leaf Position and its Depression Phenomenon after Inflorescence Emerged)

  • 손상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8-105
    • /
    • 1989
  • 소맥생육기간중의 GS활성도의 경시적 변이진상을 알고저 소맥품종 Kolibri의 시비수준별, 엽위별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1. 각엽에 있어서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엽분화 초기에 극히 낮으나 엽의 전개, 신장에 따라 수배까지 증가하며 엽의 노화 진전과 더불어 하락하였다. 2.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엽의 분화초기를 제외하면 아래로부터 상위엽 차순으로 높았으며, 최고의 활성도는 지엽에서 나타났다. 3. 최상위 2개엽은 최하위엽(제 1-4엽)보다 활성도와 활성 peak가 전 처리구에서 모두 2-3배 높았다. 4.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제 1-4엽에서 1회의 활성 peak를 보인 반면 제6-지엽에서는 2회의 peak를 나타냈다. 5. GS활성도는 출tnrlRK지 증가하여 첫 번째 활성 peak에 이르고 그 이후 개화후 7일의 유숙기까지 급락하였다가 다시 증가하여 개화후 22일인 호숙기에 두 번찌 peak에 이르는 V자형 함몰현상을 나타냈다.

  • PDF

Application of a support vector machine for prediction of piping and internal stability of soils

  • Xue, Xinhu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8권5호
    • /
    • pp.493-502
    • /
    • 2019
  • Internal stability is an important safety issue for levees, embankments, and other earthen structures. Since a large part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s near oceans, lakes and rivers, floods resulting from breaching of dams can lead to devastating disasters with tremendous loss of life and property, especially in densely populated areas. There are som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nal stability of dams, levees and other earthen structures, such as the erodibility of the soil, the water velocity inside the soil mass and the geometry of the earthen structure, etc. Thus, the mechanism of internal erosion and stability of soils is very complicated and it is vital to investigate the assessment methods of internal stability of soils in embankment dams and their foundations.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d support vector machine (SVM) model to predict the internal stability of soils. The grid search algorithm (GSA) is employed to find the optimal parameters of SVM firstly, and then the cross - validation (CV) method is employed to estimat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GSA-SVM model. Two examples of internal stability of soils are presented to validate the predictive capability of the proposed GSA-SVM model. In addi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GSA-SVM model, the predictions from the proposed GSA-SVM model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traditional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BPN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GSA-SVM model is a feasible and efficient tool for assessing the internal stability of soils with high accuracy.

버섯 중독 환자에서의 $^{99m}Tc-galactosyl$ human serum albumin (GSA) scintigraphy 소견 : 간초음파 소견과의 비교 ($^{99m}Tc-DTPA$ Galactosyl Human Serum Albumin Scintigyaphy in Mushiroom Poisoning Patient : Comparison with Liver Ultrasonography)

  • 정신영;이재태;배진호;천경아;안병철;강영모;정재민;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4-259
    • /
    • 2003
  • 광대버섯과 같은 독버섯 중독시 간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어 간 기능의 이상을 유발할수 있다. 저자들은 개나리광대버섯을 섭취한 3명의 환자에서 간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간세포에 선택적으로 섭취되어 간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는 $^{99m}Tc-galactosyl$ human serum albumin (Tc-GSA)을 이용한 간 스캔을 시행하였고 간 초음파 검사와 비교하여 보았다. Tc-GSA 185MBq (3mg of GSA)을 정맥주사후 30분동안 동적 영상과 간과 심장 부위의 시간 방사능 곡선을 얻었다. 간기능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Tc-GSA의 간섭취 정도와 혈중 정체정도를 시각적인 평가와 간과 심장 부위의 시간 방사능 곡선을 이용한 반정량적인 평가를 시행하여 간섭취지수와 혈중제거지수를 구하였다. 시각적인 평가에서 2명의 환자에서 Tc-GSA의 경미한 정도의 간섭취 감소와 혈중 정체를 보였고 1명에서는 중등도의 간섭취 감소와 혈중 정체를 보였다. 반정량적인 평가에서는 2명의 환자에서 경미한 정도의 간섭취지수의 감소와 혈중제거지수의 증가를 보였고 1명에서 중등도의 간섭취지수의 감소와 혈중제거지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간초음파상에서는 1명의 환자는 지방침윤이 관찰되었으며 1명의 환자에서는 미약한 정도의 지방간이 관찰되어 급성 간기능 장애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저자들은 간초음파 검사가 특이한 소견을 나타내지 못하여 간세포에 영향을 주는 독소나 약물 중독시에 간 영상화에는 Tc-GSA 간스캔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밀의 Glutamine Synthetase 활성도와 질소함량 및 수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lutamine Synthetase Activity and Nitrogen Content and Grain Yield in Wheat)

  • 손상목;체맥 에버하르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45-553
    • /
    • 1991
  • 육종선발 기준 및 적정 질소시비의 새로운 생화학적 지표로서 GS 활성도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소맥을 대상으로 Pot시험을 실시하여 in vitro 상태하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1. GS의 일주변화는 인공조명후 8-14 시간대에 거의 안정적인 활성도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액체질소로 급속동결시켜 -2$0^{\circ}C$에 밀폐보관할 경우 12주까지 약 4% 내외의 활성도 저하만을 나타냈다. 2, 식물체내 NO3- 함량은 질소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GS 활성도와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유기체질소함유랑은 생육진전과 더불어 증가하였으나 개화후 일시 하락하였는데 완숙기의 유기체질소함유랑은 0.5-0.5-0.5g N/pot 처리구에서 69.0mg/Plant로 가장 높았고 0.5-0-0g N/Pot 처리구에서 24.9mg/Plant로 가장 낮았다. 4. GS 활성도는 질소시비량의 다소에 따라 크게 차이를 보였는데, 완숙기의 적산 GS 활성도는 0.5-0.5-0.5g N/Pot 처리구에서 222054 U$10^{-4}$Plant로 제일 높았고 0.5-0-0g N/Pot 처리구에서 10996 U$10^{-4}$Plant로 제일 낮았다. 적산 GS 활성도는 유기체질소함유랑의 함량과 각각 개화기 이후부터 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종실수량, 종실내 단백질함량, 총건물중과 적산 GS 활성도와 각각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아리랑 2호/3호 영상을 이용한 영상융합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 fusion results by using KOMPSAT-2/3 images)

  • 오관영;정형섭;정남기;이광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3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사용되는 센서의 특성, 특히 밴드 간 분광 응답함수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영상융합 기법의 성능 차이에 대한 상대적 비교 분석을 주된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CS 기반의 대표적 영상융합 기법인 GIHS, GS1, GSA, GSA-CA을 선정하였고, 거의 동일 시기/동일 지역을 촬영한 KOMPSAT-2/3 위성영상을 이용하였다. 또한, 융합 영상의 성능 평가는 정량적/정성적 방법을 혼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KOMPSAT-2/3 영상 모두에서 GSA 기법과 GSA-CA 기법이 다른 기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품질을 나타냈다. 이는 다른 위성영상 및 문헌을 통해 제시된 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선형 회귀식을 통해 전정색 영상과 intensity 영상 간 스펙트럴 불일치를 최소화한 기존 방법론의 효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 조건을 적용하였을 때, KOMPSAT-2와 KOMPSAT-3에서 나타내는 융합 성능은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는 두 위성 센서 내 밴드별 분광응답함수가 서로 다른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KOMPSAT-2의 경우, blue 밴드와 green 밴드의 분광 응답비가 전정색 밴드를 초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영상 융합 과정에서 과도한 저주파 요소를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제작된 융합 영상에서의 색상 왜곡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KOMPSAT-3에서는 KOMPSAT-2에서 발생되었던 상당부분의 관련 문제들을 보완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도 상대적으로 향상된 융합 결과를 나타냈다.

소맥엽의 Glutamine Synthetase 활성도에 관한 연구 제3보 GAS와 $NO_3=N$ 함량과의 관계 및 적산GAS와 유기태 질소함량, 종실내단백질 함량, 수량과의 상호관계 (Studies on Glutamine Synthetase Activity (GSA) in Wheat Leaves. III. Relationship between GSA and Content of $NO_3^=N$, and between Integral GSA and Content of Organic Nitrogen, Seed-Protein Content, and Yield)

  • 손상목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87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54-55
    • /
    • 1987
  • PDF

1990~1995 서울ㆍ수도권 지역의 광화학 오염현상 (Indication of Photochemical Air Pollution in the Greater Seoul Area, 1990 to 1995)

  • 김영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49
    • /
    • 1997
  • Status of photochemical air pollution in the Greater Seoul Area (GSA) between 1990 and 1995 was assessed in terms of frequency distributions, number of days exceeding standards, average concentration and meteorological effects. In Seoul compared with other areas in Korea, daily maximum concentration was higher but average concentration was not so high due to lower daily minimum from April to October. The top 5th percentile was high especially in summer season. Average number of days exceeding 100 ppb at monitoring stations in GSA was highest in 1994, the hottest year, but it was only 4 days a year. Mean meteorological pattern of high ozone days could be summarized as low wind speeds, high temperatures, strong solar radiation, and low precipitation. Westerlies were more frequent on high ozone days and at Pangi station located in the eastside of GSA, both number of high ozone days and average concentration were high. Effect of precursor transport on the rise of ozone concentration was, however, not consistently important on the whole in GS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