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FIRE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7초

소방(消防)서비스 사각지대(死角地帶) 해소대책(解消對策) - 서산소방서관내 및 소규모 근린생활시설을 중심으로 - (Methods of Solving Dead Ground of Fire Fighting Service - With Seosan Fire Station and Small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

  • 강대훈;권혜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9-212
    • /
    • 2003
  • Fire is a disaster of uncertainty, but since it is an artificial disaster essentially,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at prevention and suppression of fire should be done more efficiently to develop the national love and trust of fire fighting. And it examines small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which can be the typical dead ground of fire fighting based on researcher's experiences, intuition and related materials. The main course of the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fire fighting administration, dead ground and small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compares and analyzes fire fighting at small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and the whole fire fighting cases and divides the causes of dead ground of fire fighting into preventive administration and suppressive administration sides. Those causes were resulted from discrepancies of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but some of them can be improved depending on firemen's efforts. In addition, the means available for preventing the dead ground of fire fighting based on analyzed causes are suggested. Institutional approaches should be consulted with related agencies and legalized, but most managerial approaches can be introduced easily. Other means are approached for PR.

  • PDF

EMTP 시뮬레이션을 통한 배전선로의 1선 지락 사고시 화재 조사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Investigation Technique For Single Line to Ground Faults in Distribution Line Using EMTP Simulation)

  • 유정현;김희식;이훈기;조용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26
    • /
    • 2018
  • Approximately 20% of the total fire is electrical fire, and electrical energy is a potential source of heat. Large-scale fault currents that occur during a line ground fault flow into electric utility poles, electric power equipment, or electric appliances of the customer, and cause simultaneous electrical fir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fire through the change of fault current flowing in faulty and sound feeder in case of 1 line ground fault in 22.9 kV distribution line. We propose a fire investigation analysis method for simultaneous multiple electrical fire such as evidence analysis method, and fault current occurrence confirmation method in case of fire accident by analyzing the fault current occurring in the ground fault in the distribution line using EMTP, electric power system analysis program.

야영장 화재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easures of Camping Ground Fire)

  • 최지훈;최돈묵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64
    • /
    • 2016
  • The leisure life pattern of people is changing to a familial and enthusiastic way that eventually develops the camping culture. Thus, the number of campers and the size of camping market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due to significant expansion of camping people. However, many camp grounds and facilities are operating without a proper registration by government rules and regulations. In addition, many of electronic and gas equipment and tools are not used in a safe way and in a safety regulatory boundary. Therefore, campers at the camping ground is situated in a fire and safety hazard. In addition, there is limitation in rules and regulations associated with camping ground safety and fire. This study analyzed the fire and hazard guidelines and rules regulations of developed countries of campground and compared them to the current situation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velop a safety and fire hazard guidelines and rules and regulations related to camp ground operation, gas and electronic equipment operation and management. The study will eventually reduce the future fire and safety incidents in a campground in South Korea.

산불현장 지상진화 행동매뉴얼 구축 방안 -국유림관리소 지상진화대원 업무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Plan of Ground Fire Fighter Conduct Manual on Forest Fire Occurrence Site -Case Study on Ground Fire Fighter Team of National Forest Office-)

  • 이시영;이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8-14
    • /
    • 2007
  • 산불현장에서 산불진화 단계에 따라 조치하여야 할 국유림관리소의 개인별 임무 역할 수행내용에 대한 행동매뉴얼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매뉴얼의 적용범위는 (1) 헬기 도착 전에 초기산불 진화에 활용, 2) 헬기 투입 후 지상진화지원 활동에 활용, (3) 헬기 철수 후 뒷불진화에 활용, (4) 헬기진화 불가능한 야간진화에 활용에 두었다. 또한, 본 매뉴얼은 주로 현장진화 지휘자 또는 담당자의 임무를 산불대응 단계에 따라 제1단계인 산불접수단계에서 10단계 철수단계에 이르기까지 총 10단계로 구별하여 정리하였으며, 진화대원들이 평상시 이를 숙지하여 진화대원의 안전은 물론이고 체계적이고 신속한 현장 대응을 통해 산불로부터 인명, 재산피해 및 산림피해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고자 개발하였다.

뒷불 특성에 관한 실험방법 연구 (The Study on Experimental Method of Smoldering Ground Fire in Forest Fire)

  • 김동현;김장환;김응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6
    • /
    • 2010
  • 산불 형태 중에서 뒷불은 지표층 내부의 발화점 이상 온도가 분해층에서 부식층으로 전이되어 뒷불이 발생 할 수 있는 형태로 잠재적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뒷불의 현장과 유사한 지표층 구조로 설정하여 실험을 통해 뒷불의 잠재적 위험성과 연소특성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시료는 침엽수종 소나무 낙엽층과 활엽수종 굴참나무 낙엽층으로, 실제 산림내의 지표층 구조인 낙엽층, 분해층, 부식층로 구분하여 재현하였다. 8개의 열전대(K-type)를 층별 경계면과 그 사이에 배치하여 전이온도, 지속시간, 전파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F-H층으로 전이되는 경우와 전이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는 L층과 F층 경계면의 발화조건이며, 유기물층의 뒷불 전이 임계습도는 35~44% 사이에 존재하며, 온도는 $350^{\circ}C$ 이상시 뒷불 전이가 일어날 확률이 아주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구조의 뒷불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훈소의 층간 전이현상, 함수율에 따른 발화여부, 전파속도 및 시간에 따른 경계면의 온도변화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뒷불의 연소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확립하였다.

소방용수시설의 공설소화전 종류에 따른 사용 준비시간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Ready to Use Time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Fire Hydrant of Fire-fighting Water Facility)

  • 전재인;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87-92
    • /
    • 2019
  • 이 연구는 공설소화전에 대한 지상식 및 지하식 소화전의 소방용수 사용 준비시간을 분석하였다. 1단계인 장비 준비시간은 지상식은 20.50초, 지하식은 24.67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준비시간이 다소 차이가 난 것은 지하식 소화전은 맨홀 뚜껑을 개방하는 빠루와 지하식 소화전 본체 관구에 연결하기 위하여 스탠드 파이프가 추가로 필요했기 때문이다. 2단계인 물탱크차의 보수구에 숫커플링의 수관결합은 지상식은 48.50초, 지하식은 49.00초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물탱크차 보수구에 소방호스를 연결하는 동작이 같기 때문이다. 3단계인 본체 관구에 수관 결합은 지상식은 43초, 지하식은 174.33초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이 수관을 소화전 관구에 연결하는 시간이 큰 차이가 난 것은 지하식 소화전은 맨홀 뚜껑을 개방한 후 소화전 본체 관구에 스텐드 파이프를 연결한 후에, 스텐드 파이프 관구에 수관을 결합하는 추가 과정이 필요하여 소요시간을 크게 올린 것으로 판단된다. 4단계인 제수 밸브와 스핀들 개방은 지상식은 66.50초, 지하식은 78.83초 소요되었다. 이 같은 차이가 난 것은 지상식 소화전의 스핀들은 본체 관구위에 위치하여 쉽게 개방이 가능하지만, 지하식은 맨홀 아래 관구 옆에 위치하여 개방 장비인 복스퍼너를 연결하는 추가시간이 필요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CDMA 데이터망을 이용한 Mobile GIS 시스템 개발 - 산불발생시 지상진화대원 업무를 사례로 - (Developing the Mobile GIS System Using CDMA Networking - Case Study of Forest Fire Ground Fighting Team -)

  • 조명희;이명보;조윤원;김동현;신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0-68
    • /
    • 2007
  • 산불 발생 시 산불현장에 투입되는 지상진화대의 안전한 작업유도와 산불 현장 정보를 신속히 파악하기 위해 진화업무를 수행하는 지상진화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GPS로부터 수신되는 지상진화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지상진화대의 정확한 위치탐지와 이동경로를 모니터링 함으로서 안전한 진화작업 유도와 산불 현장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기철도 전원계통에서의 화재사고 사례 분석 (Analysis of Fire Accident on Power Line for DC Electric Traction Vehicles)

  • 송재용;조영진;남정우;김진표;박남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23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a cause of fire accidents on power system fire DC electric traction vehicles. We investigated fire scene of power line for DC electric traction vehicles. From analysis results, the cause of fire on power line turned out line to ground fault between a feeder of electric power services(pantagraph) and DC electric traction vehicle roof. Fire accident of DC electric traction vehicles be assumed that electric sparks had been produced between the pantagraph and the power line conductor by repetitively making contact and separation, maybe if some material like branches get in between connecting rod it makes progress line to ground fault. ZnO arresters are widely used to protect DC electric traction vehicles against overvoltages caused by lightning or switching surges. However, the arresters are deteriorated by commercial overvoltages and/or lightning one. The deteriorated arresters could lead power failures, such as line to ground fault by a thermal runaway resulting from the increases in leakage current even in a nominal power system voltage. Finally, the power failures would be causative of the fire accident.

건축물 지하 구조부재의 내화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Survey of Building Structural Elements located at Underground for Improvement of Fire Resistant Performance)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6-84
    • /
    • 2008
  • 건축물의 지상층 주요구조부인 기둥, 보 및 바닥에 대한 내화성능의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모든 구조적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지하층의 기둥을 비롯한 주요 구조부의 내화성능에 관한 자료 및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개구부율이 낮은 지하층에서의 화재크기는 지상층 화재보다 열에너지량이 크므로 구조적 붕괴의 위험성은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하에 위치된 구조부재에 대한 내화성능의 적정성 평가를 위한 기본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국내외 지하 구조물의 내화법규정을 조사하고, 국내의 기시공된 건축물의 지하층의 구조형식, 구조재료 및 내화피복 현황을 분석하였다.

헬기에 의한 지상 물투하 형태 및 범위 실험 (Study on Ground Water Drop Pattern and Coverage Level by Helicopter)

  • 배택훈;이시영;손정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54-61
    • /
    • 2013
  • 항공기에 의한 산불공중진화는 지상진화 보다 진화의 효과성이 좋다. 따라서 공중진화는 산불의 대형화를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고정익항공기 및 회전익항공기(헬리콥터)가 합동으로 공중진화를 하나 우리나라는 회전익항공기만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헬리콥터에 의한 공중진화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중진화의 효과성은 투하되는 물의 분포형태와 범위에 따라서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청에서 운용하는 S-64E, Ka-32T, AS350B2의 3개 기종으로 물투하 실험을 실시하여 유효 분포형태와 범위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 조종사들이 공중진화의 효과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