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QOL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재활승마가 노인의 균형과 노인 삶의 질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habilitation Horse Riding on the Balance and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 of the Elderly)

  • 김은자;김명준;이문하;김대훈
    • 신경치료
    • /
    • 제22권3호
    • /
    • pp.1-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horse riding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 (GQOL) of the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were 14 elderly males who consisted of 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7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ed performed rehabilitation horse riding exercise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balance measurements, leftright and anteriorposterior weight bearing, and BBS were tested using GymPlate. In addition, the GQOL was evalua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ability and GQOL after the rehabilitation horse riding exercise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P>0.05).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ability and GQOL (P<0.01). Conclusion Rehabilitation horse riding exercis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lance ability of the elderly, which also had an effect on the GQOL.

정상노인의 삼킴관련 삶의 질(SWAL-QOL)이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SWAL-QOL on Overall Quality of Life in Normal Elderly People: Focusing on Jeonbuk Province)

  • 김세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88-297
    • /
    • 2014
  • 본 연구는 정상 노인들의 삼킴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 삼킴관련 삶의 질이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전라북도 지역의 만 60세 이상 노인 140명을 대상으로 SWAL-QOL, SF-36, GQOL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F=7.76, p<.01)과 사레 유무(t=-4.44, p<.01)는 집단간 삼킴관련 삶의 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사레유무만이 삼킴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SWAL-QOL은 SF-36(r=.39, p<.01)과 GQOL(r=.33, p<.01)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WAL-QOL은 SF-36(F=70.62, p<0.000)와 GQOL(F=46.44, p<0.000)에 각각 36%와 25% 정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삼킴관련 삶의 질과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개 보건소 한의약 경도인지장애 관리프로그램의 효과분석 (The Effect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anagement Program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a Public Health Center)

  • 김경한;이수인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6-118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management program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CI management program, we investigated MCI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MCI patients were treated with Jodeung-san (JDS) or Dangguijagyag-san (DGJYS) for 6 weeks.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 (GQOL-D), 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GDS-K), and biochemical examination of blood were conducted at intervals of 6 weeks. A satisfaction survey was collected after this program. Results: MMSE-DS mean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4.09 (p=0.000) in the JDS group and by 4.15 (p=0.000) in the DGJYS group. GQOL-D mean scor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by 5.90 (p=0.000) in the JDS group and by 5.07 (p=0.000) in the DGJYS group. GDS-K mean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10.63 (p=0.000) in the JDS group and by 9.69 (p=0.000) in the DGJYS group. MMSE-DS, GDS-K and GQOL-D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JDS and DGJYS group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90%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a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gain. Conclusions: Both Jodeung-san and Dangguijagyag-san treatment showed improvement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is program. Additional studies with more subjects will be required to prove credibility and validity more clearly.

경도인지장애노인 대상 융복합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신체 인지 기반 복합 인지-운동 중심 (The Effect of Combined Cognitive-Motor Learning Program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Elderly Patients)

  • 김수연;백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87-595
    • /
    • 2015
  • 본 연구는 경도인지 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 지각에 기반한 BF 활동과 PNF 활동을 결합한 인지-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서 신체 지각 기반 인지-운동 활동이 향후 치매 예방 프로그램으로 적용이 가능할지 현장 활용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검증을 위해 치매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16일부터 2014년 8월 1일까지 12주 동안 20명을 선정하여 인지-운동 학습군(이하 CC군)과 작업 치료 학습군(이하 OT군)을 대조군으로 각각 10명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C군과 OT군으로 나누어 해당 프로그램을 60분씩 12주간 참여하였으며, 인지 기능 검사(MMSE-K), 신체 균형 능력 검사(Time up & go test(이하 TUG), Tandem gait test(이하 TA)), 노인 삶의 질 검사(GQOL-D)를 실험 전(0주), 실험 후(12주)에 측정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 기능 검사(MMSE-K)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사한 학습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TA & GQOL-D 검사에서는 CC군이 OT 군보다 향상된 학습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 인지-운동 학습 유형이 작업 치료 학습 유형보다 균형능력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향후 기억 장애 개선 프로그램으로 복합 인지 운동 활동이 고려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 based Reminiscence Therapy on Early Dementia Patient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 박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758-764
    • /
    • 2018
  • 본 연구는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 그리고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도 치매 노인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총 8주 동안 주 1회, 각 회기 당 40분의 작업 중심 회상치료를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대상자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서 한국형 몬트리올 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orean Version:MoCA-K), 우울정도 측정을 위해 단축형 한국판 노인우울척도검사(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SGDS-K), 그리고 대상자들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해 치매노인 대상 삶의 질 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GQOL-D)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작업 중심 회상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MoCA-K 점수는 중재 전 $14.62{\pm}5.07$에서 중재 후 $16.88{\pm}4.55$로, SGDS-K 점수는 중재 전 $7.28{\pm}4.28$에서 중재 후 $6.10{\pm}4.09$로, 마지막으로 GQOL-D 점수는 중재 전 $26.05{\pm}5.45$에서 중재 후 $28.55{\pm}5.74$로 변화하여 측정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작업 중심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 노인 환자들의 인지기능, 우울 그리고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혈관성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 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ving Index in the Vascular Dementia Elders)

  • 조성현;김승준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33-644
    • /
    • 2010
  •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scular dementia elders's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index and to determine how much vascular dementia elders is influenced by the 12 weeks combined exercise program with aerobic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Methods : Thirty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over 65 in B geriatrics hospital were recruited this study.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measured by I-ADL(instrumental-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B-ADL(basic-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dex was measured by GQOL-D(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dementia).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repeated one-way ANOVA to test mean difference by using SPSS 12.0 for windows. Results : After compar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xperimental group that of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eriod of exercis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ADL, B-ADL score test and GQOL-D index test of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ng the results of 12 weeks exercise of the groups. Conclusion : 12 weeks combined exercise program had a good influence on vascular dementia elders'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dex.

인공지능 동작 인식을 활용한 전산화인지훈련이 코로나-19 기간 동안 경도 인지장애 고령자의 인지 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예비 연구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tion Capture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During COVID-19: Pilot Study)

  • 박지현;이경아;이지연;박영욱;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2호
    • /
    • pp.85-98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 고령자에게 인공지능 동작 인식 기술을 활용한 전산화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인지 기능, 우울감,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참여자는 총 7명(실험군 = 4명, 대조군 = 3명)이며 코로나-19 발생 기간인 2021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시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직접 개발한 인공지능 동작 인식 기술을 활용한 전산화 프로그램 "MOOVE Brain"을 활용했으며 실험군은 한 달 동안 주 3회 30분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치료의 전후 평가는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2,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for Daily Life Evaluation, Korean version of the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 그리고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 (GQOL)을 이용하였다. 결과 : 치료 전후로 실험군의 주의력 지표인 Stroop Color Test에서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고(p = .068), 그룹 간 비교를 했을 때는 실험군의 실행 기능 평가 지표인 Stroop Color/Word Test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p = .057). 그룹 간의 변화량을 비교했을 때는 실험군의 삶의 질 측정 도구인 GQOL (p = .057)과 우울증 지표인 SGDS-K (p = .057)의 평균 점수가 개선되었다. 하지만 각 영역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로 인해 격리되어 있거나 의료 서비스를 받기 힘든 경도인지장애 고령자의 인지 및 심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 of Alternative Medicine on Quality-of-Life Outcomes for Dementia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So Young, Lee;In Chul, Jung;Eun, Cho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1-424
    • /
    • 2022
  • Objectives: As effective treatments for dementia are lacking in Western medicin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is considered a useful option. While the quality of life (QoL) is a vital outcome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e QoL of patients receiving CAM for dementia remains ambiguou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M on QoL outcomes in dementia patients. Methods: A search was performed using the keywords "dementia," "Alzheimer's," "cognitive impairment," "Chinese," "Korean," "oriental," "herbal," "acupuncture," and "quality of life". All quantitative data were synthesized using R version 4.1.1. Results: Twenty-f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16 pre-post trials, and two cohort studies were selected for the systematic review. QoL in Alzheimer's disease (QOL-AD) (n=11, 25.6%) and geriatric QoL in dementia (GQOL-D, n=9, 20.9%) were the most utilized QoL instruments. Significant benefits in QoL were observed after receiving mind, body, combined mind and body, nursing, oriental medicine, and acupuncture therapies. In the meta-analysis, the combined effect was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QOL-AD compared to before CAM interventions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0.507; 95% confidence interval (CI), 0.191~0.824; p<0.01). The overall synthesized estimates in the GQOL-D showed a significantly improved QoL (SMD: 0.537, 95% CI: 0.238~0.837 p<0.01; one group; SMD: 1.465, 95% CI: 0.934~1.996, p<0.01). The seven studies assessing the cost-effectiveness of CAM reported uncertain outcome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CAM interventions benefited patients with dementia by improving their QoL. While additional standardized research is required, CAMs are suggested as effective clinical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ey are also suggested as complementing therapies for these patients.

노인의 구강 입체인지와 인지, 수단적 일상생활, 삶의 질과의 관계 : 예비연구 (The Correlation of Oral Stereognosis, Cogni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A Pilot Study)

  • 박은정;정민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89-196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 입체인지 검사를 시행한 후 그 특징을 알아보고 인지, 수단적 일상생활,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75세 이상의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구강 입체인지를 평가하고, 인지는 MoCA-K, 수단적 일상생활수준은 K-IADL, 삶의 질은 GQOL을 사용하여 평가 하였다. 구강 입체인지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정확성이 감소되며, 교육수준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여러 가지 도형 중 모서리가 명확하고 면적이 넓은 도형이 인식하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 입체인지는 인지, 수단적 일상생활, 삶의 질과 관련성이 있어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구강 입체인지는 인지를 포함한 노인의 기능 수준과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강을 통한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대규모의 대상자를 통한 노인용 구강 입체인지 평가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정건강관리를 위한 커뮤니티케어 작업치료프로그램 적용 효과 (Effect of Implementing a Community-Car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Home Health Management)

  • 김고운;오혜원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1-150
    • /
    • 2022
  • Purpose : Community care occupational therapy is an integrated mediation method such as evaluating and mediating daily life activities, evaluating and modifying the environment, and providing information by visiting the home where the client reside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implementing a community-car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the levels of depress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Methods : Among the users of organizations C and D located in City B, province A, South Korea, a total of 32 elderly citizens aged above 65 were chosen as the study subjects and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total of 24 sessions, each lasting 60 minutes, comprising a community-car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nd each organization's own program, were conducted, with each session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2 weeks.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existing programs of their organizations. Changes in the levels of depress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using the GDSSF-K, GQOL, and GQOL. Results : Overall, the levels of depress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were found to improv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In a between-group comparison of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exhibit a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onfirm that community-car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s of depress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This implies that such programs may represent an effective solution for the problems of these individ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