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M food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2초

PCR 방법과 면역학적 분석법을 이용한 두부와 비지에서 GM 콩의 검출법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in Tofu and Biji using PCR and Immunological Methods)

  • 김묘영;김재환;김해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77-81
    • /
    • 2005
  • GM 콩으로 제조된 두부와 비지 등 콩 가공제품들의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GM 콩이 0%, 1%, 3%, 5%, 100% 함유된 두부와 비지를 제조하여 이들의 삽입유전자인 5-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epsps)를 검출하기 위한 PCR 방법과 EPSPS 발현 단백질 검출을 위한 western blotting과 lateral flow strip을 사용하여 검출 감도를 비교하였다. PCR 결과 산물의 크기가 큰 600 bp의 증폭에서 두부의 경우에는 100% GM으로 제조된 두부에서만 확인이 가능하였고, 비지에서는 5%, 100%에서 확인이 되었다. 크기가 작은 123 bp가 생성되는 실험에서는 0%를 제외한 모든 두부와 비지에서 검출되었다. Western blot 결과는 100% 두부, 비지에서만 검출이 되었고, lateral flow strip test에서는 100% 비지에서만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M 콩 가공식품 검출은 면역학적 방법보다는 PCR이 더 높은 민감도가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가공식품에서 효율적인 GMO 검출을 위해서는 100 bp 정도의 작은 크기의 PCR 산물을 이용해야 민감한 검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지도 및 수용도에 대한 연차별 비교 (A Three-year Survey on Korean Consumer's Awarenes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Genetically-modified Foods; Years 2000-2002)

  • 김명희;김재욱;채경연;박세원;김연순;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55-1161
    • /
    • 2003
  •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국민의 의식을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 동안 각각 750명, 979명과 14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평균 65.4%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는 90% 이상의 응답자가 표시하기를 바랐으며 구입하여 먹겠다는 사람은 18.5% 이었고 기다려보겠다는 관망형이 46.8%를 넘어서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많았다. 한편, 유전자재조합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제초제 내성 콩에 대한 적절한 설명으로는 제초제에 견디는 유전자가 있지만 인체에 무해하다라고 답한 비율이 약 37.3%로 약 1/3정도 만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을 중시하지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먹는 생물 유래의 식품에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바르게 알고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39% 정도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극히 적어서 응답자의 4%정도를 유지하였다.

국내 유전자변형식품 안전성 심사 규정 및 승인현황 (Safety evaluation and approval status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Korea)

  • 강윤숙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2권2호
    • /
    • pp.130-139
    • /
    • 2019
  • 식약처는 유전자변형식품의 사전 안전관리를 위하여 "식품위생법"에 따라 안전성 심사를 거쳐 안전성이 입증된 식품만 수입 유통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승인받지 않은 품목은 수입통관단계에서 검사를 실시하여 국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유전자변형식품등의 안전성 심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제출된 안전성 자료에 대해 '유전자변형 식품등 안전성 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하고, 국민 의견을 수렴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안전성 승인이 되었더라도 10년이 경과된 유전자변형식품은 다시 안전성 심사를 하여 안전성을 재확인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안전성심사를 시작하여 2000년에 최초로 유전자변형 콩을 승인하였으며, '19년 4월 현재 안전성 심사를 통해 승인된 유전자변형식품은 총 199건이다(농산물 169건, 미생물 6건, 식품첨가물 24건). 앞으로도 식약처에서는 최초 안전성 심사 뿐 아니라, 승인 후 10년이 경과되는 유전자변형식품 품목에 대한 안전성 재심사를 통해 안전성을 재확인할 계획이며, 기존에 개발된 제초제내성,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식품 외에 새로운 특성을 부여한 유전자변형식품의 개발 증가에 따라 이들 품목의 안전성 심사를 위하여 CODEX, OECD 등 국제적인 규제 조화를 바탕으로 심사항목 정비 등 사전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Assessment of the Potential Allergenicity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s and Soy-based Products

  • Kim, Jae-Hwan;Lieu, Hae-Youn;Kim, Tae-Woon;Kim, Dae-Ok;Shon, Dong-Hwa;Ahn, Kang-Mo;Lee, Sang-Il;Kim, Hae-Ye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954-958
    • /
    • 2006
  • A comprehensive safety evaluation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tential allergenicity of newly introduced proteins in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We assessed the allergenicity of CP4 5-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 (EPSPS) in GM soybeans. This assessment was performed by IgE immunoblotting with soy-allergic children's sera,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known allergens, and the digestibility of CP4 EPSPS. No differences in IgE-antigen binding by immunoblotting were found between GM soy samples and the corresponding non-GM samples. Based on the comparison of EPSPS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current allergen databases, no known allergen was found. In addition, CP4 EPSPS protein was rapidly digested by simulated gastric fluid (SGF).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M soybeans have no allergenicity in children and are as safe as conventional soybeans.

GMO 표시제 강화로 인한 물가 상승시 소비자의 지불 의향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Price Increases by the Expansion of GMO Labeling)

  • 한재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8-344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price increases to avoid the purchase of GM foods by the expansion of GMO labeling.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their knowledge of GM, concerns of potential hazards, and sources of obtained GM information. The logit model was employed and marginal effects were calculated to interpret th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ho perceived the safety of GM technology were less likely to pay for price increases, while consumers who had concerns about GM foods were more likely to pay. In addition, the study demonstrated that consumers residing in urban areas and with low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were also less likely to pay for price increases.

Market Power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s Trad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 Son, Eun-Ae;Lim, Song Soo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6호
    • /
    • pp.131-144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rket power of soybeans exported by the United States to Korea. Particularly, this paper considered dichotomous characteristics of genetically modified (GM) soybeans and non-GM soybeans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f these two segregated soybean markets to understand key tenets of market power in international soybean trade. Design/methodology - The difference in market power between GM and non-GM soybeans was analyzed using Residual Demand Elasticity (RDE) and Residual Supply Elasticity (RSE) models over the period of 2008~2018. RDE and RSE models under an imperfect competition condition were used to estimate market margins and determine whether GM and non-GM exporters or importers exercised market power in the destination market. Findings - Empirical results suggested that the U.S. had a market power on both GM and non-GM soybean exports. GM exports had greater market power than non-GM exports (14% vs. 9%). By contrast, Korea showed an inability to grab market margin or exert market power in soybean imports. Both export supply by the U.S. and import demand by Korea were found to be more responsive to price changes of GM soybeans than to prices changes of non-GM soybeans. This might be due to a self-interested, profit-seeking strategy by the exporter and many concerned consumers regarding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GMOs in the importing country. Originality/value - This paper fills the literature gap by exploiting market power in both GM and non-GM markets with explicit consideration of price correlations between GM and non-GM soybeans in Korea. A number of existing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 for market power broadly embedded in international commodity trade. However, studies focusing on Korean markets are limited. No study has explored the country's soybean trade. Furthermore, the majority of prior studies have almost exclusively focused on the market power from a standpoint of exporting countries without discussing importers' market structure. This paper also sought to understand potentially distinguished patterns of market power between GM and non-GM markets.

유전자변형 베타-카로틴 강화 쌀의 주요 영양성분 분석 (Analyses of Nutrient Composition in Genetically Modified β-Carotene Biofortified Rice)

  • 이영택;김재광;하선화;조현석;서석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5-109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베타-카로틴 강화 유전자변형 벼(GM 벼)와 그 모종 벼인 낙동벼(non-GM 벼)로부터 쌀(현미, 백미)의 일반성분, 베타-카로틴, 지방산, 아미노산,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여 유전자변형 쌀에서 주요 영양성분 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M 쌀은 non-GM 모종 쌀과 일반성분 함량이 유사하였고 GM 쌀 100 g당 약 0.2 mg의 베타-카로틴을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GM 쌀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가 지방산 전체의 94% 이상으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non-GM 쌀과 전체적인 지방산 조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GM 쌀의 아미노산은 Asp>Arg>Leu>Ala>Ser>Val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무기질 함량은 P>K>Mg>Na>Ca>Zn>Fe의 순이었으며, non-GM 쌀에 비해 대부분의 아미노산과 무기질 함량이 약간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베타-카로틴 강화 유전자변형 쌀은 의도한 바의 베타-카로틴이 쌀의 종실에 생합성 됨과 함께 쌀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및 무기질 함량에는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영양실태 조사 (Nutrition Survey of College Freshmen)

  • 이기열;이양자;김숙영;박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2호
    • /
    • pp.73-80
    • /
    • 1980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study nutritional status of college students related to food habit,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The survey was conducted at Yonsei University from January 10 to February 15 in 1979 (35days). The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find out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 status for 1, 051 and 215 freshmen respectively. The height and weigh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1,962 freshme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verage nutrient intake of male and female freshmen per day. For male student, calorie intake was 2,500 Kcal. This was composed of carbohydrate 426gm (68%), protein 91gm (15%), and fat 48gm (17%). For female student, calorie intake was 1,946 Kcal. This was composed of carbohydrate 354gm (73%), protein 77gm (16%), and fat 29gm (11%). Other nutrients, such as calcium (507gm), iron (11mg), vitamin A (432RE), and riboflavin (0.78mg), were lower than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The percentage of animal protein to total protein was 29% in male student, and 31% in female student. 2)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freshmen were found to be increased for 5 years, from 1975 to 1979. For male student, the height was increased by 2.1cm and weight by 2.5kg for 5 years. For female student, the height was increased by 1.5cm and weight by 1.6kg for 5 years.

  • PDF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by Multiplex PCR Method

  • 허문석;김재환;박선희;우근조;김혜용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1150-1156
    • /
    • 2004
  • The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labeling system on raw materials has been in Korea since March 2001, an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derived foods since July 2001. Therefore, we designed a multiplex PCR method to ascertain the validity of the labeling system and to monitor the status of circulation for genetically modified maize (GM Maize). Five lines of GM Maize (GA21, TC1507, Mon810, NK603, and Bt176) were used, and specific primer pairs were designed to detect each line. Using this method, the different lines of GM Maize were monitored from raw products and processed foods in Korean market. Some of the maize processed foods and raw materials were shown to contain more than one foreign gene. This method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detecting five different GM Maize in a single reaction.

식품안전관리를 위한 제초제 glufosinate 특이적 GM 작물 검출마커 개발 (Development of glufosinate-tolerant GMO detection markers for food safety management)

  • 송민지;친양;조윤성;박태성;임명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0-45
    • /
    • 2020
  • 1996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개발된 GM 작물은 520여종에 이르며,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캐나다, 인도 등을 포함해 26개국에서 GM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특히, 제1세대 GM 작물로 구분되는 제초제 내성 GM 작물은 전체 GM 작물의 67%를 차지하며, 그 중 제초제 glufosinate에 내성을 나타내는 pat 또는 bar 유전자를 지닌 작물은 44%를 차지한다. 하지만 GM 작물이 같은 형질을 지녔더라도 유전자의 기원, 식물의 종 및 개발자에 따라 그 유전자의 서열은 매우 가변적이기 때문에 이를 식별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 GM 작물의 44%, 국내 승인 GM 작물의 약 53%를 차지하는 제초제 glufosinate 내성 유전자에 특이적이면서도 보편적인 마커를 개발하고자, 여러 GM 작물의 pat 또는 bar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PCR 프라이머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GM 작물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정성 및 정량적 PCR 실험을 통해 pat 유전자에 특이적인 PCR 프라이머를 개발하였다. 또한 pat과 bar 유전자를 동시에 검출 할 수 있는 PCR 프라이머도 개발하였으며, 정량적 PCR 분석을 통해 0.1% 함량의 수준까지도 검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수행 결과로 확인된 PCR 마커 및 분석법이 향후 GM 작물의 안전한 유통관리 및 GM 식품의 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저비용 고효율적 검출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