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 기반 공간 분석

Search Result 71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Demand Analysis of Locational, Morphological Information for Informative Construction Technology Based on u-GIS (u-GIS기반 건설정보화를 위한 위치, 형상 정보 수요 분석)

  • Jeong, Tae-Ung;Park, Jae-Seon;Kim, Jong-Hwa;Kim, Nam-Gyun;Gang, Nam-Gi;Pyeon, Mu-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78-282
    • /
    • 2008
  • U-국토 및 U-도시의 건설 및 관리를 위해 정밀 국토공간정보의 수요가 점증하고 있고 보다 신속한 갱신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유비쿼터스 기술들과 융복합된 u-GIS기술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건설 분야에 있어서의 이러한 수요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건설공사 표준품셈 등을 이용하여 건설공사 공종/공정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수요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u-GIS 기술을 필요로 하는 건설 현장에 위치/형상 정보 수요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건설 인력, 자재, 장비의 u-GIS 기술의 적용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 PDF

Optimal Path Finding based on Raster GIS in Indoor Spaces (건물내부공간에서의 Raster GIS기반 최적경로 탐색)

  • Kim, Byung-Hwa;Jun, Chul-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5 no.1
    • /
    • pp.1-8
    • /
    • 2007
  • People tend to spend more time in indoor spaces than before such as shopping malls and subway stations. As buildings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people feel difficulty in finding their ways to destinations. Consequently, a means to provide better paths can aid people in reducing time for finding ways. Routing information in large indoor spaces is especially required in emergency cases as fire, power failure and terror. This study suggests to compute optimal paths using $A^*$ algorithm based on raster GIS data structure. The suggested method can be used either in daily lives for path provision or in emergency cases for evacuation, and is illustrated on a campus building.

GeoVideo :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오 비디오 : 비디오 지리정보시스템)

  • 김경호;김성수;이성호;이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23-625
    • /
    • 2003
  • 공간정보와 멀티미디어가 긴밀히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지리정보 환경이 미디어 지리정보시스템(MediaGIS)이다. 비디오 지리정보시스템(VideoGIS)은 미디어 지리정보시스템의 한 예로서 공간정보와 비디오와의 결합과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오 비디오(GeoVideo)는 비디오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의 조회, 검색, 분석 등이 가능한 최초의 비디오 지리정보시스템이다. 지오 비디오는 기존의 인위적이고 함축적이고 그래픽적인 패러다임에서 자연적이고 사실적이고 이미지적인 패러다임으로의 변화의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와 공간정보의 결합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고 시스템 구성 방법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등에 관해서 논의하기로 한다.

  • PDF

Analysis of Temporal River Change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a GIS (항공사진과 GIS기반의 하천 시계열 분석)

  • Park, Eun-Ji;Kim, Ky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7-12
    • /
    • 2008
  • 근래에 들어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하천 고유의 특성을 간과한 채 개발 위주의 하천 정비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하천의 인공화 및 생태계의 교란 등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및 하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할 뿐만 아니라 홍수 피해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치수 위주의 하천 정비를 벗어나 친환경적인 하천으로의 복원 사업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는 새로운 하천 관리 기술의 도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과 GIS기반의 하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새로운 하천 관리 기술 도입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댐 하류의 하천교란 및 적응현장 시범지역을 선정한 후 대상 지역의 항공사진을 GIS화하여 하천 교란 실태를 분석하는 데에 필요한 저수로와 제방 및 기타 자료를 shape 파일 형태로 생성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의 사행도 및 유로 변동 현황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하천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대상 하천의 사행도 및 저수의 구체적인 제반 수치를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하천의 정비 및 복원 사업이 하천의 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예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경년별 하천 형태의 변화 추세와 하천 부지의 물리적 특성 변화 양상을 기본 자료로 한다면 하천 관리에 있어 수리 수문학적 분석이 용이하리라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GIS기반의 하천 관리 방안 수립에 대한 심층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Effective 3D Inner Model Visualization for GIS Web Service (GIS 표준 웹 서비스 적용을 위한 3차원 실내모델의 효율적 시각화)

  • Jeong, Jang-Yoon;Yo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1
    • /
    • pp.701-711
    • /
    • 2009
  • The inner space of building is increasingly becoming complex as urban activities increase in variety, and the actual space size also increases. This trend necessitate the utilization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within the inner space of buildings. Standard GIS web service technology and visualization technology are applied to 3D inner space building data to share these information for better decision making in building related applications such as fire evacuation, facilities management and market analysis. This study aims to effectively model and visualize the three dimensional space of building interiors in the GIS aspect, and to be able to share the information through standard GIS web service. The various elements of inner model was assigned and stored into pre-designed spatial database tables respectively. GIS web server was then configured to service the database which was populated with 3D inner model data. On the client side, 3D visualization modules was developed using a 3D graphic rendering S/W engine.

A 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Approach to Urban Quality of Life Assessment (공간적 다기준평가 기법을 이용한 도시의 삶의 질 분석)

  • Jun, Byong-W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4
    • /
    • pp.122-138
    • /
    • 2008
  • A pixel-based approach to urban quality of life assessment can be regarded as a spatial decision problem under the condition of complexity because it searches the urban space for evidence of hot spots of quality of life based on multiple and differentially weighted evaluation criteria. Such an assessment involves inappropriate scaling of several incommensurate criteria, much unstructured subjectivity in the decision maker's judgment, and the large data handling in a raster GIS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identifying alternative approaches to tackle the ill-structured problem in urba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proposes and implements a 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approach to evaluate urban quality of life in a raster GIS environment. The implementation of this methodology is illustrated with a case study of the Atlanta metropolitan area.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may provide an alternative approach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 in an urban environment.

  • PDF

A Study on the Regional Differences in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Policy Agendas in Korea (우리나라 지리정보기반의 지역간 격차현황과 정책과제)

  • 박종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409-420
    • /
    • 2003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re the crucial means in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diverse internal operations or service to citizens. A eat number of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GIS. However in spite of the rapid spread of GIS projects in local governments there are severe level differences of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between medium or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or counties(Gun), especially in non-capital area. The differences are one of the main reasons of regional inequalities in local governments'administrative services. Thus this article suggest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lace policy emphasis on improving the levels of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small cities, counties(Gun) and especially non-capital areas.

  • PDF

The Design of Scene Modeler Component for 3D GIS Software (3차원 GIS 소프트웨어를 위한 장면 모델러 컴포넌트 설계)

  • Kim, Sung-Soo;Choe, Seung-Keol;Lee, Jong-Hun;Yang, Young-Kyu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1.10a
    • /
    • pp.81-84
    • /
    • 2001
  • 3 차원 GIS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기술로는 공간데이터처리 및 공간분석기술, 컴퓨터그래픽스 및 가상현실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지리정보 가시화(Visualization)에 관한 연구는 여러 GIS 응용분야에서 주요한 부분이 된다. 현재 2 차원 기 구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가시화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재사용 및 비용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 데이터와 최소한의 3차원 부가정보(빌딩높이, 도로폭등)를 이용하여 규칙기반 모델링(Rule-Based Modeling)을 통해 3 차원으로 모델링 해 낼 수 있는 3 차원 장면 모델러 컴포넌트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시설물의 다양한 상세도 제어가 가능한 LOD(level-of detail) 모델러와 3 차원 장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장면 그래프(scene graph) 컴포넌트 설계 기술을 소개한다. 장면 모델러 컴포넌트 분석을 위해 처리하는 입력 데이터, 수작업 3 차원 모델링 여부, 소프트웨어 재사용성, 상호운용성, 구축 비용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Korea Metadata Standard's Trend and XML Application In GIS (국내 메타데이터 표준 동향 및 XML 실응용사례 연구)

  • Kim, Myung-Gu;Cha, Jung-Sook;Park, Sun-Ho;Kim, Sung-Ryo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29-37
    • /
    • 2002
  • 지난 수십년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광대한 양의 공간데이터 구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공간데이터는 분산되어 있으며 지리정보 응용시스템의 특정 포맷으로 동일한 지역과 데이터로 중복 구축되어 비용의 낭비뿐만 아니라 신규 구축 시 필요한 시간 및 인력의 낭비를 가져오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기종간 분산되어 있는 공간데이터를 공유 및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어 국제표준단체(ISO/TC 211)를 통한 메타데이터 표준이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한국전산원을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 표준화 동향에 발맞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메타데이터 표준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국내 표준 DTD 및 XML을 이용한 실제 응용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분산된 공간데이터의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효율적인 구축을 할 수 있다.

  • PDF

Design of Geothermal Resource Information System (지열자원 정보시스템의 설계)

  • Baek, Seung-Gyun;Kim, Hyoung-Chan;Park, Jeong-M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646-649
    • /
    • 2008
  • 최근 유가 폭등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청정 재생에너지인 지열자원의 효과적인 개발 및 활용을 위하여 그동안 축적된 지열조사 및 연구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관리, 도시할 수 있는GIS기반의 지열자원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열물성, 지온경사, 지열류량, 열생산율, 열부존량 등 지열조사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공간적 특성과 역할에 따라 기본정보, 참조정보, 분석정보, 부가정보의 4개 자료군, 39개 단위데이터로 분류하였고, 각 단위데이터의 속성 선정과 연계를 위한 GIS 데이터 모델링을 통하여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다. 지열자원 정보시스템은 도면표시, 자료조회, 분석/통계등 전반적인 GIS 기능을 이용하여 지열자료의 조회 및 분석이 용이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