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 기반 공간 분석

Search Result 71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GIS-Based Method for Delineating Spatial Clusters: A Modified AMOEBA Technique (공간 클러스터의 범역 설정을 위한 GIS-기반 방법론 연구 -수정 AMOEBA 기법-)

  • Lee, Sang-Il;Cho, Dae-Heon;Sohn, Hak-Gi;Chae, Mi-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4
    • /
    • pp.502-520
    • /
    • 2010
  • The main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develop a GIS-based method for delineating spatial clusters. Major tasks are: (i) to devise a sustainable algorithm with reference to various methods developed in the fields of geographic boundary analysis and cluster detection; (ii) to develop a GIS-based program to implement the algorith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cognized that the AMOEBA technique utilizing LISA is the best candidate. Second, a modified version of the AMOEBA technique is proposed and implemented in a GIS environment. Third,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modified AMOEBA algorithm is assured by its applications to test and real data sets.

A Study on the applying of GI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GIS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Kim, Chang-Shi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6.11a
    • /
    • pp.309-312
    • /
    • 2006
  • In order to highly applying for the GIS. it is necessary to the SDSS that is possible to the systematic spatial analysis with spatial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I studied it for SDSS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and I brought up the phase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through the case study.

  • PDF

공간 연관규칙을 이용한 도시성장 확률모형의 구현

  • 조성휘;박수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11a
    • /
    • pp.40-47
    • /
    • 2003
  • GIS는 공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좋은 도구가 되며 도시성장 예측과 같은 문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내에 위치한 수원지역을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도시성장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도시의 물리적인 확산에 초점을 맞추어 모형의 핵심이 되는 공간 연관규칙을 추출하였다. 공간 연관규칙의 추출을 위해 GIS 공간 분석 기능과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규칙을 기반으로 모형을 작성하여 도시성장을 분석 및 예측하고 UGM(Urban Growth Model)과 비교하였다.

  • PDF

Campus Spacial Information System using Spatial DBMS (공간데이터베이스기반 3차원 모델 비교)

  • Kim, Hye-Young;Kim, Geun-Han;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317-318
    • /
    • 2009
  • 3차원 모델링 기술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는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이를 실제로 구현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3차원 모델은 가시화에 초점을 두고 있어 토폴로지 구조를 갖고 있지 않는다. 따라서 3차원 공간 분석이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공간 DBMS를 이용함으로써 토폴로지 기반의 모델을 생성하고 다양한 공간 분석 및 가시화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데이터베이스 기반의 4가지 3차원 데이터모델을 제시하고 이들의 쿼리 수행능력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분석 및 가시화에 적합한 모델을 제안한다.

  • PDF

GIS 공간분석기술을 이용한 산불취약지역 분석

  • 한종규;연영광;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2.03b
    • /
    • pp.49-59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시를 대상으로 산불취약지역 분석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분석모델을 기반으로 산불취약지역을 표출하였으며, 이를 위한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산불취약지역 공간분석자료로는 NGIS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천 축척의 수치지형도, 수치임상도 그리고 과거 산불발화위치자료를 사용하였다. 산불발화위치에 대한 공간적 분포특성(지형, 임상, 접근성)을 기반으로 모델을 설정하였으며, 공간분석은 간단하면서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Conditional probability, Likelihood ratio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모델에 대한 검증(cross validation)을 실시하였다. 모델 검증방법으로는 과거 산불발화위치자료를 발생시기에 따라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하나는 예측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검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모델별 예측성능은 prediction rate curve를 비교·분석하여 판단하였다. 삼척시를 대상으로 한 예측성능에서 Likelihood ratio 모델이 Conditional probability 모델보다 더 낳은 결과를 보였다. 산불취약지역 분석기술로 작성된 상세 산불취약지역지도와 현재 산림청에서 예보하고 있는 전국단위의 산불발생위험지수와 함께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한다면 산불취약지역에 대한 산불감시인력 및 감시시설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하여 일선 시군 또는 읍면 산불예방업무의 효율성이 한층 더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tructure of Object-based Seamless Digital Map IDentifier and Its Managing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식별자(OSID) 구조 몇 관리유형 분석)

  • Kwon, Chan-O;Lee, Sang-Jun;Shin, Sang-Cheol;Jin, Heui-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346-347
    • /
    • 2010
  • 최근 공간정보의 짧은 갱신주기와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공간정보참조체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식별자 관리를 위한 각 기관별 공간정보참조체계현황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식별자의 구조분석과 수명주기에 따른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식별자의 관리유형을 구분하였다.

  • PDF

An Open Source GIS Based Planning Support System for Abandoned,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유휴공간 분석을 위한 오픈소스 GIS 기반의 계획지원체계)

  • KIM, D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4
    • /
    • pp.1-16
    • /
    • 2016
  • After entering a more stable growth phase since the 2000s, new urban development has become smaller and fragmented and interiors of existing cities are aging and becoming underutilized. Therefore, using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in urban area has high value in national urban policies in terms of compact urban development and circular land use management. To do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ientific research methods and tools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of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The main goa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pilot system for analysis and assessment of abandoned, vacant, and underutilized space. The pilot system will act as a scientific policy support measure to systematically identify vacant and underutilized space. Busan Metropolitan City, with a variety of vacant and underutilized space, was selected as the case study area. The second goal is to develop a planning support system for abandoned,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using open source GIS software, uDig. GIS based decision support systems or planning support systems to resolve spatial problem is not a new innovation, but using open source GIS provides new opportunities and potential. To conclude, the research will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work.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ology for GIS Applications -With a focus on GIS Development Process (GIS 특성을 고려한 개발방법론 연구 - GIS 개발 프로세스 중심으로 -)

  • Kim, Eun-Hyung;Park, Jun-Gu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6a
    • /
    • pp.157-177
    • /
    • 2000
  • GIS도 다른 정보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복잡화, 대형화, 전략정보시스템화로 발전해 가면서 개발방식 체계화가 요구되었다. 그러므로 계획에서부터 철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의 분석과 설계가 요구되었으며 결국 GIS 개발방법론 적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GIS 개발방법론은 기존의 정보시스템 개발방법론에 빠져있는 공간정보 구축 및 검증절차를 다루기 위한 계획 및 절차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여러 GIS 특성을 반영하여 프로젝트 수행시 보다 유용성 있는 성과물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GIS 개발방법론을 도출하기 위한 기반연구로서 새로운 개발방법론을 창출하기보다는 기존의 정보시스템 개발방법론에서 GIS의 특성을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의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 GIS 개발방법론의 기본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GIS 프로젝트의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개발방법론의 GIS 프로젝트 적용시 문제점을 분석하여 GIS 개발방법론의 기본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GIS 개발방법론의 완성을 위해선 태스크 및 산출물의 정의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하고 실질적인 검증과 표준화 과정이 남아 있으므로 본 연구는 향후의 GIS 개발방법론 정립을 위한 시작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Design of OLE/COM-based OpenGIS Middleware (OLE/COM을 기반으로 한 OpenGIS 미들웨어 설계)

  • Yun, Woo-Jin;Han, Sung-Ryong;Cho, Dae-Soo;Hong, Bong-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95-106
    • /
    • 1999
  • 많은 지리자료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검색 및 다양한 지리자료 데이터 포맷에 대한 데이터 변환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리자료의 공유, 즉 상호운용(Interoperability)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위한 표준의 하나로 OpenGIS라는 표준이 만들어지고 있다. OpenGIS는 기존의 표준과는 다른 광범위하고 미래지향적인 특징으로 인해 실질적인 GIS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실정이지만, 국내에서는 OpenGIS 구현명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및 여러 GIS 서버를 대상으로 한 실제구현 사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의 분산환경에 가장 근접해 있는 OpenGIS OLE/COM 구현명세에 대한 분석을 통해 Gothic, MGE, Oracle에 적용하기 위한 OGIS 데이터 제공자의 설계 및 이를 바탕으로 상호운용을 달성하기 위한 OpenGIS 미들웨어의 설계를 제시한다.

  • PDF

Trends of u-GIS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u-GIS 공간정보 기술 동향)

  • Lee, Chung-Ho;An, Gyeong-Hwan;Lee, Mun-Su;Kim, Ju-Wa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3 s.105
    • /
    • pp.110-123
    • /
    • 2007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가 사람, 사물, 환경 속으로 스며들고, 이들이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인간의 삶을 도와주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은 모두 국토 공간을 근간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국토에 대한 공간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u-GIS 공간정보 기술은 미래 유비쿼터스 환경의 핵심 기반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u-GIS 공간정보 기술을 구성하는 핵심 기술인 GeoSensor와 GIS 데이터 처리 기술, u-GIS 통합정보 처리기술과 모바일 GeoSensing 기술을 중심으로 최신 동향 및 이슈들을 소개하고, 향후연구 개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