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 기반 공간 분석

Search Result 71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alysis of needs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GIS/LBS system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의 기반기술 분석 및 GIS/LBS 활용방안 연구)

  • Kim, Tae-Hoon;Koo, Jee-Hee;Lee, Sang-Hoon;Hong, Chang-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435-440
    • /
    • 2005
  • 언제, 어디서나, 어느 기기로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컴퓨팅이 가능한 환경을 의미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차세대 기술혁명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으며, 중요한 국가 전략 산업으로서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시점에서 우리는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에 대해 GIS/LBS 분야의 기술적 대응을 점검하고, 향후 미래 환경에서의 발전 방향을 예측해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시점의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을 조사 분석하고 분류하였으며, 향후 전망되는 기술지도(Technical RoadMap)를 작성하였다. 또한 GIS/LBS 분야별 최신 현황을 분석하고, 분류된 유비쿼터스 기술과의 연계 활용 요소 및 중요도를 도출해 보았다 미래의 구체적인 활용 모습을 예측하기 위해 GIS/LBS 분야별 유비쿼터스 기술 활용 시나리오를 제시하였으며,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GIS/LBS 미래상을 그려보았다.

  • PDF

Design of 3D GIS Supporting Complex Features (복합 피쳐 지원 3차원 GIS의 설계)

  • Kim, Kyong-Ho;Choe, Sung-Kul;Lee, Jong-Hun;Yang, Young-Kyu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0.10b
    • /
    • pp.1309-1312
    • /
    • 2000
  •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은 시스템의 규모가 크고 구성이 복잡한 지리정보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개방형 GIS를 위한 설계와 구현 방법에도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 피쳐를 지원하는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의 컴포넌트 기반 설계 사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OpenGIS 규격과의 호환성을 고려하고 복합 피쳐 및 복합 지리요소를 지원하며 객체 지향 분석 설계 방법론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은 3차원 지리요소의 모델링, 가시화, 공간분석 기능과 4차원 공간 데이터에 대한 질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향 후 복잡한 도심 건물 지역을 대상으로 층별 시공간 관리 분석 시스템 등으로 응용될 전망이다.

  • PDF

Multi-Buffer Zone Analysis of Geo-Based Integrated Thematic Mappable Information by Using GIS (GIS를 이용한 지질자료 기반 통합 주제정보의 다중 버퍼 영역분석)

  • 이기원;박노욱;권병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7 no.2
    • /
    • pp.159-173
    • /
    • 1999
  • GIS has been regarded as one of important tools or methodologies for various geoscience applications. Recently, spatial data integration schemes for site-specific or field-specific thematic mapping are newly developed and utilized. However, these kinds of approaches are somewhat insufficient quantitative assessment of integrated layers towards known targets in-detailed . Moreover, GIS analysis scheme is rarely extended to scientific approaches. In this study, simple approach of Multi-Buffer Zone Analysis , related to GIS analystical aspect, is addressed and an actual application for predicting or favorable mapping of mineral occurrences, one of GIS-based geoscientific approaches, is performed, As for geo-processing in GIS itself, this scheme can be regarded as extension or adaptiation of cell-based buffering or proximity analysis to geoscientific data interpretation. This study is based on rationale that surface geological pattern around primitives such as a point, a line, or a polygon in GIS, representing significant geological features, can be efficiently utilized to delineate complex geological behaviors or events, especially handling multiple dta sets originate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airborne geophysical/radiometric exploration, field survey, and even a classified image of remote sensing. Conclusively, this methodology associated wit GIS is though to be helpful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 of multiple data, pointing given sources, and is expected to effectively utilize for exploratory analysis of cell-based resultant layer integrated with complex or different data sources.

  • PDF

A Study on GIS-based Construction of the Climate-Environment Database (GIS기반의 기후-환경 분석 지원을 위한 통합DB 구축 방안)

  • Nam, Gi-Beom;Kim, Kye-Hyun;Lee, Chol-Young;Song, Hyun-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87-93
    • /
    • 2010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파괴, 해빙, 해수면 상승 등의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코펜하겐에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간의 온실가스 감축 논의를 위한 총회가 개최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기후변화가 지구환경시스템과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 따라,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의 변화를 함께 고려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기후-환경 통합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산재되어 있고, 필요한 자료의 확보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원활한 연구 진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환경 분야의 분석 지원을 위한 통합DB의 구축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통합DB의 구축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고, GIS의 적용에 필요한 위치체계의 정의, 데이터 포맷에 따른 관리 방안과 통합 DB 구축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법을 이용하여 GIS기반 기후 환경 통합DB 구축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구축되는 통합DB는 기후-환경 데이터의 원활한 공유를 통해 기후 환경 상호작용의 분석 기반을 마련하고, GIS기반의 공간분석에 지원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나아가 기후-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 모의를 통해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for NGIS (국가GIS사업 평가체계 구축방안 연구)

  • Chung, Moon-Sub;Kim, Dong-Ha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5 no.2 s.10
    • /
    • pp.105-115
    • /
    • 2003
  •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NGIS) started from 1995 has greatly contributed to building GIS infrastructures and developing GIS industries. To evaluate effectiveness and achievement of NGIS, it is required to build a policy evaluation model for NGIS. This study examined prior research works on GIS policy evaluation system and analyzed limitations of them. Then, it established a model for NGIS evaluation system.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removing unnecessary and duplicate efforts in NGIS project by providing an efficient mean for relict evaluation. It will also heir successful implementations of NGIS.

  • PDF

A Local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Survey on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의 국내외 표준화 연구)

  • 정영식;오행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372-377
    • /
    • 2000
  • GIS is a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at is designed for collect, store, renovate, space analysis, representation effectiveley of information which was formed by space information of features such as mountain, pavement, building , river, communiction, power, gas line, natural resource. the core technology of CIS are the open GIS component technology, spae information circulation, advanced GIS application technology and space data forming technology. In this study, GIS core technology development, market and standization are represented.

  • PDF

공간정보산업 기술동향 - ETRI 연구과제 중심으로

  • Kim,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86-186
    • /
    • 2010
  • 최근 들어, 2차원/3차원의 랩 또는 항공/위성 영상의 공간정보를 웹 상에서 서비스 하고 이러한 공간정보에 다양한 정보들을 융 복합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예를들어, Microsoft사의 경우는 사용자 참여형(Participatory) 센서 웹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SenseWeb 관련 기술 개발 및 시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데, SenseWeb 시스템에서는 전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센서들을 연계하여 웹 상에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SenseWeb 시스템을 이용하여 센싱정보와 Bing Map의 공간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ensorMap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SensorWeb/SensorMap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범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Google사의 경우는 기존에 서비스 되고 Google Eearth/Map을 기반으로 실시간 센싱정보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와 다양한 사용자들의 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연계 및 융합하여 제공하기 위한 Google Fusion Table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Oracle사의 경우는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정보들에 대하여 이벤트 처리, 패턴 분석, 그리고 상황인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EP(Complex Event Processing)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Nokia사의 경우는 기존의 고정 센서노드들 이외에 모든 모바일 폰을 이동이 가능한 센서노드로 가정하고 이러한 모바일 센서노드들로부터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공간정보 기반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꾸준히 추진해 오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공간정보와 센싱정보 또는 기타 사용자 정보와의 융 복합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기술들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로 다양한 공간정보와 센싱정보의 융 복합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GIS 융합 엔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u-GIS 융합 엔진에서는 구체적으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다양한 센싱정보의 효율적 수집, 분석, 관리를 위한 GeoSensor 데이터 저장/관리 기술과 센싱정보-공간정보의 실시간 융합 분석 기술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 한다. 둘째로, 이러한 공간정보, 센싱정보 그리고 기타 사용자 정보들을 웹 상에서 효율적으로 매쉬업하여 2차원 및 3차원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공간정보 센싱정보 그리고 기타 사용자 정보와의 연계를 위한 매쉬업 엔진 기술 그리고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제공 기술 등에 대하여 소개를 하고자 한다. 끝으로, 영상 기반의 효율적인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멀티센서 데이터 처리 기술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를 하고, 앞에서 설명된 핵심기술들 이외에도 향후 추가로 요구되는 기술개발 내용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을 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Scheme of PostgreSQL-PostGIS Server Engine based on Open Source for GIS Portal Building (GIS 포털 구축을 위한 공개 소스 기반 PostgreSQL-PostGIS 서버 엔진의 응용 설계)

  • Han, Sun-Mook;Lee, Ki-W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34-138
    • /
    • 2009
  • 최근 GIS 포털에 대한 수요자 요구 사항이 증가하고 있고 기존의 웹 GIS 응용 프로그램 개발 기법과의 연계와 통합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 소스인 PostgreSQL - PostGIS를 이용하여 GIS 포털 구축을 위한 응용 설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PostgreSQL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하여 공간 질의 및 분석 기능 등 GIS 기능을 연동시키는 PostGIS는 서버 GIS 엔진으로 점점 활용 가치가 증가하고 있으나 GIS 포털에서 이를 적용한 사례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응용 설계는 전체 시스템 설계 보다는 주로 포털에서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주로 다루고자 하며 시험 구현 프로그램의 라이브러리는 PostGIS의 C Language Interface(LIBPQ)와 OGC library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에 대한 기본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글, 다음, 네이버 등과 같은 일반 검색 엔진에서 경쟁적으로 제공하는 웹 맵핑 수준에서 위성영상정보와 지도정보 서비스가 보다 체계적으로 웹 GIS 기술과 연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Web Based Wal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웹 기반 GIS 보행환경측정 시스템 개발)

  • Joo, Yong-Jin;Lee, Soo-Il;Kim, Tae-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3-11
    • /
    • 2011
  •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web based GIS system which is able to evaluate and visualize the overall degree (in terms of pleasantness and aesthetics) of pedestrian friendliness of the environment, as well as pedestrians' convenience through a Walkability Indicators that simplify pedestrian environment elements into a quantitative index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space. To make this goal come true, we developed and applied Walkability index which can measure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reflecting quantitative Indicators based on GIS supplementing the limit of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index we utilize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we displayed measurement result on study area through web GIS Services. The proposed pedestrian measurement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in the visualization of pedestrian movements and the evaluation of convenience levels of pedestria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