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MSD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32초

보리차 제조시 수돗물 중 염소소독부산물의 제거 여부 및 보리차.옥수수차.결명차 중 Maillard 반응 생성물 동정 (Effect of Barley Tea on the Reduction of the Tap Water Chlorination By-Products in Top Water and Identification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in the Extracts of Barley Tea, Corn Tea, and Cassia tora Seed Tea Using GC/MSD)

  • 이수형;김희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56-261
    • /
    • 1999
  • 볶은 보리 알과 보리 티백으로부터 일상적인 차를 만드는 과정에 따라 보리차를 제조할 때 염소로 소독된 물로부터 염소소독부산물의 수준이 감소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았다. 수돗물과 두 종류의 보리차 중의 여덟가지 염소소독부산물 중에서 여섯 가지의 휘발성화합물들은 10분 동안의 가열한 후에 검출한계 이하가 되었으므로, 비휘발성 화합물인 dichloroacetic acid, trichloroacetic acid 및 총잔류염소에 대해 서로 비교하였다. 가열전후의 상대적인 양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세 항목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원래의 물 중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봉우리들이 기체크로마토그래프/전자포획검출기 (GC/ECD)의 총이온크로마토그램(TIC)상에 나타났다. 증류되고 탈이온화된 물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보리차(알곡과 티백), 옥수수차와 결명차를 제조한 후 액-액 추출법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선택검출(GC/MSD)을 이용하여 phenol류, furan류, pyrrole류 등 33종의 유기화합물을 분리 확인하였다.

  • PDF

오미자 씨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유효성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as a Cosmetic Material of Oil Extrac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Seed)

  • 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1-237
    • /
    • 2012
  • 오미자 씨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GC와 GC/MSD를 사용하여 안정성 평가 및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요성분은 팔미틱산과 올레익산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씨 오일은 열에 의한 성분변화가 없고, 소재 자체의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통하여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 오미자 씨 오일이 마카다미아 오일과 올리브 오일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콜라겐 합성능 또한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씨 오일은 화장품 소재용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GC-ECD와 GC-MSD를 이용한 유니코나졸 잔류실태조사 (Monitoring of Uniconazole by Using GC-ECD and GC-MSD)

  • 김은정;홍채규;최수정;이윤정;황인숙;김무상;채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82-3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2년 1월부터 8월까지 농산물 중 엽채류에 대하여 GC-ECD 및 GC-MSD를 이용하여 uniconazole의 잔류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겨자채에 표준용액을 0.05, 0.5 mg/kg 농도로 하여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98.9%에서 109.4%까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012년 1월부터 8월까지 서울지역에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중 엽채류 3,632건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14건에서 uniconazole이 검출되었다. Uniconazole의 검출양은 0.098 mg/kg에서 2.2 mg/kg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시분석법으로 보다 효율적인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son o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ultivated and Wild Pimpinella brachycarpa

  • Choi, Nam-Soon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2권2호
    • /
    • pp.67-72
    • /
    • 2008
  •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wild and cultivated chamnamul (Pimpinella brachycarpa), an aromatic medicinal plant, were isolated via the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analyzed by GC and GC-MSD. From the oils of the wild chamnamul, 56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and the major constituents were found to be sabinene (58.37 ppm) and germacrene-D (45.73 ppm). From the oils of cultivated chamnamul, 36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the major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as $\beta$-selinene (38.41 ppm) and myrcene (12.76 ppm).

  • PDF

GC/AED를 이용한 HFC-134a의 미량 불순물 분석 (Determination of trace impurities of HFC-134a by gas chromatograph with atomic emission detector (GC/AED))

  • 김명자;임정식;이진복;이정순
    • 분석과학
    • /
    • 제30권5호
    • /
    • pp.240-251
    • /
    • 2017
  • 1,1,1,2-수소불화탄소(HFC-134a)는 에어컨에 주로 사용되는 냉매로, 최근 온실가스로 규제되어 정제를 통한 재사용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폐냉매의 재사용 기준 평가를 위해서는 폐냉매에 존재하는 미량 성분의 정량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물질이 없어서 정량화하기 어려웠던 C, H, Cl, F가 포함된 미량 성분들을 GC/AED (gas chromatograph-atomic emission detector)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GC/MSD (mass selective detector)를 통한 정성분석을 선행하였다. 또한 성분의 원자 수와 비례하여 반응하는 AED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탄화수소 혼합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선형성을 확인하였다. 시료 중 C, H, Cl, F가 포함된 미량 성분의 정성 분석 결과, 주성분인 HFC-134a와 유사 냉매류들을 포함한 총 15 개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MSD 결과를 토대로 AED를 이용한 미량 성분들을 정량 분석한 결과, 한 시료는 $CHClF_2$ 성분($45438.38{\mu}mol/mol$), 또 다른 시료는 $C_2H_2ClF_3$ 성분($1311.47{\mu}mol/mol$)이 가장 높은 몰분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분석법을 기반으로 하여, 표준 물질이 존재하지 않아 정량화하기 어려운 복합 성분들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의 확장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고려팔만대장경 경판의 옻칠 (Lacquer Coatings on the Koryo Buddhist Canon Printing Wood Blocks)

  • 도춘호;이태녕
    • 보존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39
    • /
    • 1999
  •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있는 고려팔만대장경 경판이 지금까지 750여년간 잘 보전되어오고 있는 여러 가지 이유중에는 경판에 칠해진 옻칠에도그 연유가 있을 것이다. 이 대장경 경판에 칠해진 옻칠을 자연산 옻칠과 IR및 UV분광학적 방법, 열분해/GC/MSD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비교분석하고 확인하였다.

  • PDF

대구성서산업단지 발생원부지경계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농도수준 (Concentration level of Volitile Organic Compounds about the Air of Source Boundary Site in Seongseo Industrial Complex)

  • 안상영;최성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3-60
    • /
    • 2005
  •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in the ambient air were measured at various point(Source, source boundary) in Seongseo industrial complex during May to November 2003. Air samples were collected in Silcocan canister $(1{\ell},\;6{\ell})$ and analyzed using a cryogenic preconcentration system and GC/MSD. We identified 37 species by the US EPA(TO-14 method). The result showed a variety distribution of the con­centration, Higher concentrations of BTX, Styrene, 1,3,5-Trimethylbenzene, 1,2,4-Trimethylbenzene were observed at the sampling sites. They seemed to be emitted from the facility of wastewater treatment, reaction tank of chemistry factory and facility of Tenter. The concentrations of VOCs contents in Seongseo industrial complex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in Yeosu complex and Ulsan complex, although those were similar in Sihwa­Banwol complex.

Likens-Nickerson 장치로 추출한 솔가지의 휘발성 성분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from Twigs of Pinus densiflora with Likens-Nickerson Apparatus)

  • 이양봉;이미정;양지영;권혜순;윤정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68-573
    • /
    • 1998
  • Volatile compounds in Pinus densiflora were extracted with Likens-Nickerson apparatus for three hours, and were separate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GC) and mass selective detector(MSD). Twenty six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Pinus densiflora, identified by GC-MSD and twelve compounds were confirmed by matching retention times of the pure comounds. The main valatile compounds were terpenoids such as limonene(36.2%), $\beta$-pinene(16.9%), $\beta$-myrcene(12.6%) and $\alpha$-pinene(10.9%), and the total amount of these main compounds was 367.9$\mu\textrm{g}$ per 1g of pine twigs.

  • PDF

Identification of Homoserine Lactone Derivatives Using the Methionine Functionalized Solid Phase Synthesi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Moon, Hong-S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25-30
    • /
    • 2004
  • Combinatorial homoserine lactone mixtures and individual products were obtained from the methionine-functionalized resin in solid-phase synthesis. The four-step process consisting of a coupling step of an N-Fmoc-L-methionine, deprotection of N-Fmoc group, N-coupling with a carboxylic acid, and cleavage reaction through a polymer supported strategy is described.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techniques provide the most powerful methods for identifying both the combinatorial mixtures and individual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