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MS/FID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장미 정유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표: 중국산 쿠스이형 장미유에 대한 재현정밀도 시험 (Gas chromatographic profiles of rose essential oils: a round-robin test on oil of rose, Chinese Kushui type (Rosa sertata × Rosa rugosa))

  • 손현화;이동선
    • 분석과학
    • /
    • 제25권4호
    • /
    • pp.207-213
    • /
    • 2012
  • 이 연구는 ISO/TC54 전문위원회(Shanghai, Sep. 14-15, 2010)의 결정에 따라 국제규격 초안으로 제안된 ISO/DIS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25157-resolution 385 중국산 쿠스이(苦水)형 장미(Rosa sertata ${\times}$ Rosa rugosa) 정유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표에 대한 국제 6개국 전문가 실험실간 재현정밀도 시험 (round-robin test: RRT)의 하나로 수행되었다. GC-FID로 분석할 때 비극성인 SPB-1 컬럼에서는 총 179개 성분, 중간 극성의 DB-624 컬럼에서는 165개 성분, 극성 Supelcowax-10 컬럼에서는 총 162개 성분을 분리하였다. ${\beta}$-Citronellol (41.6~46.7%)과 geraniol (9.7~11.0%) 및 nerol (3.4~4.5%)이 쿠스이형 장미 정유의 주성분이었다. SPB-1 컬럼과 DB-624 컬럼에서는 ${\beta}$-citronellol과 nerol성분 피크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중첩하였으나, Supelcowax-10 컬럼에서는 두 성분을 분리할 수 있었다. Phenethyl alcohol의 경우 정지상 극성이 커질수록 머무름 시간이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거의 대부분의 특성 성분들의 머무름 시간은 중국측이 ISO/DIS 25157에서 제시한 것과 일치하였으나 극성 컬럼으로 분리한 phenethyl alcohol의 머무름 시간의 경우 중국측이 제시한 것 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동시에 불가리아산 장미(Rosa damascena Miller) 정유와 향수에 대한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표도 비교 분석하였다. 불가리아 장미 정유의 특성 아로마 성분 함량이 중국산 쿠스이형의 함량보다 더 많았다.

사과의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Apple (Molus pumila M.))

  • 이해정;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7-605
    • /
    • 2000
  • 사 과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후지, 쓰가루, 홍로, 홍옥(조나단) 등 4가지 품목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고, GC-FID와 GC/MS로 분석, 동 정하였다. 후지, 쓰가루, 홍로, 홍옥(조나단)에서 각각 100종, 68종, 85종, 94종의 화합물의 동 정되었으며, alcohol류, aldehyde류 , esterfb가 사과의 전체적 향기에 영향ㅇ르 미치는 것으 로 여겨진다. 주요 휘발성 향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요 위발성 향기성분으 로 hexanal, butanol, (E)-2-hexenal, 3-methyl-1-butanol, hexanol이 모든 품종에서 확인되 었으며, 그외 품종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ethy1 acetyl2-methylbutyate,hexyl, aceteate, (E,E)-$\alpha$-facetate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사과 품종별로 분리,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을 정량한 결과, 후지 17.18mg/kg, 쓰가루 7.74mg/kg, 홍로 16.71 mg/kg, 홍옥(조나단) 15.81 mg/kg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GC/MS를 이용한 잎담배 중 알칼로이드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Nicotine and Other Minor Alkaloids in Tobacco Leaves by GC/MS)

  • 이정민;민혜정;김용하;이문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0-106
    • /
    • 2005
  • To obtain the optimum condition for analysis of 10 alkaloids in tobacco leaves, such as nicotine, nornicotine, anatabine, anabasine, myosmine, cotinine, 2,3'-dipyridyl, $\beta-nicotyrine,\;\beta-nornicotyrine\;and\;\beta-formylnornicotin$, 5 types of extraction method were investigated by GC-FID and GC/MS. The optimum condition of alkaloid extraction was achieved by using methanol:dichloromethane(1:3, v/v) after NaOH treatment. The use of mass selective detector (MSD) provided unambiguous nicotine related alkaloid analysis. Alkaloids in various tobacco leaves were extracted with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and quantified by GC/MS/SIM mode. Compared with concentrations of alkaloids among the various tobacco leaves, the concentration of alkaloids was generally in the order burley > flue-cured > oriental tobacco. In flue-cured tobacco leaves, the order of concentration of alkaloids was nicotine > anatabine > nornicotine > $\beta-nicotyrine\;>\;\beta-formylnornicotine\; >\;myosmine\;>\;2,3'-dipyridyl\;>\;cotinine\;>\;anabasine\;>\;\beta-nornicotyrine$. However, in the case of burley and oriental tobacco leaves, the concentration of nornicotine was higher than that of anatabine.

GC-DID에 의한 극미량 ppb BTEX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race level ppb BTEX by GC-DID)

  • 김용두;김병문;오상협;김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3-314
    • /
    • 2000
  • 최근들어 유해한 작업환경의 대기나 공장의 배기 가스, 또는 주변 주거 지역의 대기에서 검출되는 인체 유해 물질들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들 물질 중 휘발성 유기오염물(VOC)은 대기 중에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의 측정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분석 방법에는 GC-MS 또는 GC-FID에서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저온 농축법을 이용한 분석방법이 있으며 이들 두 가지 방법은 각각의 저온 농축시스템은 조절이 어렵고 작동하기가 복잡하다. (중략)

  • PDF

GC-AED에 의한 ppb 수준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ppb level VOCs by GC-AED)

  • 문동민;김광섭;이진복;배현길;허귀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5-316
    • /
    • 2000
  • 유해한 작업 환경지역, 공장밀집 지역 또는 주변 주거 지역의 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성분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은 환경규제 물질로 분류되고 국내적으로도 이들의 검출 및 정확한 정량적 분석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성분들은 대기중에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흡착관 및 canister등에 의한 시료의 포집을 행하고 이들 분석시료를 실험실에서 저온농축과정을 거쳐 GC/FID 혹은 GC/MS등을 사용하여 정량분석을 실시한다. (중략)

  • PDF

청소년의 뇨 중에서 nicotine과 톨루엔의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s of Nicotine and Toluene in Teenagers' Urine)

  • 박성우;서배석;유재훈;김남이;신호상;한완수;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10권1호
    • /
    • pp.1-8
    • /
    • 1997
  • 우리 나라 고교생 지원자들의 뇨 중에서 nicotine, cotinine 및 toluene을 GC/NPD, GC/FID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분포도를 보았다. Nicotine과 cotinine은 뇨를 diethylether로 추출하고 원심분리한 뒤 그 유기층을 GC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흡연 군에서 nicotine의 농도 분포는 $4{\sim}630{\mu}g/L$이었고, cotinine은 $63{\sim}1,602{\mu}g/L$로 나타났다. 또한 톨루엔의 분석은 뇨 1mL에 citrium dextrose solution을 가해 $55^{\circ}C$에서 20분간 가열한 뒤 증기상 $250{\mu}L$를 GC에 주입하는 head space법을 이용하였다. 본 지원자들의 뇨에서 모두 톨루엔은 검출되지(검출한계 : 0.1mg/L) 않았다. 그러나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의뢰되는 본드류 흡입자들의 뇨 중에서 톨루엔의 농도 분포는 0.1~28.0mg/L이었다.

  • PDF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채취 및 분석 방법 비교 (Comparison of Sampling and Analysis Method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 나광삼;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7-518
    • /
    • 1998
  • A field comparison study was carried out to quantify differences among various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t a site in Vlsan in June 1997. Air sampling containers (SUMMA canisters) were us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and adsorption tubes (carbotrap) were used by Yeungnam University (YN Univ.) for sampling ambient air. Duplicate samples obtained by KIST were analyzed by KIST with a GC-MS system for aromatics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and by Atm AA with a GC -FID system for C2∼C9 hydrocarbons, respectively. The adsorption tube samples were analyzed by YN Univ. with a GC-FID system for aromatics. VOC levels for the duplicate canister sampls analyzed by KIST and Atm AA were in good agreement. Concentrations of aromatics by the adsroption tube method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by the canister sampling method by factor of 1.5 to 2.0.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ampling methods were discussed.

  • PDF

광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휘발성 방향족 화합물의 분해 (Decomposition of volatile aromatic compounds by photochemical treatment)

  • 김종향
    • 청정기술
    • /
    • 제4권1호
    • /
    • pp.35-44
    • /
    • 1998
  • 휘발성 유기화합물(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의 광분해를 단순 UV조사와 $TiO_2$ 광촉매하의 UV조사를 이용하여 연구하였고 또한 여러 가지 반응조건에 따른 분해효율에 대해 고찰하였다. 광분해반응기는 중압 수은램프가 부착된 석영 annular 반응기를 이용하였다. UV조사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분해정도는 톨루엔 92% ${\geq}$ 에틸벤젠 92% > 벤젠 83% > 크실렌 82% 였고, $TiO_2$ 광촉매하의 UV조사를 이용한 유기물의 분해정도는 톨루엔 92% > 크실렌 82% > 에틸벤젠 80% > 벤젠 53% 였다. 반응물의 분석은 Purge & Trap 농축기를 이용하여 FID가 부착된 GC로 분석하였고, GC-MS로 반응물의 중간생성물을 확인하였다.

  • PDF

일반 복분자주와 버섯 추줄물을 함유한 복분자주의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Wines With and Without Mushroom Extracts)

  • 신현재;남형근;임익재;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10-413
    • /
    • 2006
  • 복분자주의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국내에서 생산되는 복분자주 (시료 A)와 버섯 추출물 첨가 복분자주 (시료 B)의 일반성분 분석과 향기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 성분분석의 결과, 복분자주 시료 A와 복분자주 시료 B 중의 용해성 고형분은 10.5%, 7.4%로 분석되었고, 산도는 1.36%, 0.54%로 측정되었다. 수분은 83.27%, 87.62% 조회분은 0.45%, 0.31% 조 단백질은 0.05%, 0.22%였으며 조지방과 조섬유는 검출되지 않았다. 향기 성분의 확인을 위하여 두 시료의 향기 성분을 ethylether로 추출하고 methanol에 녹여 GC/FID와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두 시료에서 모두 1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에서 alcohol류가 6종, ketone류가 3종, ester/acid/anhydride류가 각각 1종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는 2,3-butanediol, 2,5-furanedione, phenylethyl alcohol, butanedioic acid 등이 있었으며, 이들 성분이 복분자주의 전체적 향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부추(Allium tuberosum Rottler)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Leek(Allium tuberosum Rottler))

  • 김경수;박은령;조정옥;김선민;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63-567
    • /
    • 1998
  •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edible portion of leek(Allium tuberosum R.) were extracted by SDE(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using the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ether (1 : 1, v/v) as an extract solvent and analyzed by GC-FID and GC/MS. Identificati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as mostly based on the RI of GC and mass spectrum of GC/MS. A total of sixty-five components from leek extract were classified as 28 sulfur-containing compounds, 12 aldehydes, 9 alcohols, 4 lactones and esters, 3 acids and hydrocarbons, and 2 miscellaneous compouds. The sulfur-containing compounds were predominant in leek extract. Dimethyl disulfide(19.47%) and dimethyl trisulfide(17.38%) were the main compounds and trans-1-propenyl methyl disulfide, trans-2-hexenal and methyl allyl disulfide were also detected large amounts in lee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