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MS spectrometry

검색결과 749건 처리시간 0.026초

토양에서 분리한 Hansenula saturnus var. saturnus에 의한 휘발성 방향성분의 생성 (Aroma Compounds Produced by the Yeast Hansenula saturnus var. saturnus Isolated from Soil)

  • 안병학;강훈승;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18-723
    • /
    • 1988
  • 미생물에 의한 방향성 화합물의 생성을 목적으로 토양으로부터 꽃향, 또는 과일향의 생성능력이 강한 효모를 분리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Hansenula saturnus var. saturnus로 동정되었다. 방향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조성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는 포도당이 질소원으로는 질산 나트륨과 페닐알라닌이 가장 좋은 방향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액의 농축물로부터 GC 또는 GC-MS를 이용하여 17개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중 ethyl alcohol, iso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과 이들의 acetate 에스터 및 ethyl caprylate가 주된 성분으로 밝혀졌다. 또한 미생물에 의한 생성물로 보고된 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된 dibutyl disulfide, 3-methyl pentanoic acid 및 methyl pentanoate가 분리, 동정되었다.

  • PDF

파슬리의 잎과 씨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arsley Leaf and Seed (Petroselinum crispum))

  • 김영희;김근수;홍종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62-67
    • /
    • 1990
  • 파슬리의 잎과 씨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잎과 씨에서 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각각 0.06 %와 3.11 %이었다. 잎에서는 mass spectrum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된 15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58종 그리고 씨에서는 23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 중 43종의 terpene화합물이 잎에서 분리한 휘발성 성분의 약 46.4 %를 차지하였고 씨에서는 49.3 %를 차지하였다 잎에서 양적으로 많이 함유된 terpene 화합물은 myrcene(3.01 %), 4-isopropenyl-1-methyl benzene(4.52 %), ${\rho}-1$, 3, 8-menthatriene(10.49 %)인 반면 씨에서는 ${\alpha}-pinene$(22.28 %)와 ${\beta}-pinene$(16.20%)이었다. 한편 두 oil에서 가장 풍부하게 함유된 성분은 myristicin으로서 잎과 씨에서 각각 전체 향기성분의 21.80 % 및 47.54 %를 차지하였다.

  • PDF

국내산 수박(Citrullus vulgaris S.) 과 참외(Cucumis melo L.) 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atermelon(Citrullus vulgaris S.) and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 김경수;이해정;김선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2-328
    • /
    • 1999
  • 동시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획득한 수박(Citrullus vulgaris S.)과 참외(Cucumis melo L.)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질량분석법으로 동정하였다. 수박에서 분리동정된 37종의 화합물로는 16종의 alcohol 류, 15종의 aldehyde 류, 2종의 ester류, 2종의 ketone 류와 기타 2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전체 상대적 농도의 68.66%를 차지한 alcohol 류가 수박의 주요 향기성분이었으며, 불포화 $C_{9}$ 화합물인 (Z)-3-nonen-1-ol, (Z,Z)-nonadien-1-ol, (E,Z)-2,6-nonadienal, (E)-2-nonenal이 특징적 향기성분으로 나타났다. 참외에서 분리동정된 55종의 화합물로는 26종의 ester 류, 16종의 alcohol 류, 10종의 aldehyde 류와 기타 3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상대적 농도의 63.8%를 차지한 ester류가 참외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Z)-3-nonenyl acetate, (Z)-6-nonenyl acetate와 (Z,Z)-3,6-nonadienyl acetate, $C_{9}$-불포화 ester 류가 중요한 향기성분이었으며, 황함유 ester 류인 ethyl (methylthio)acetate, ethyl 3-(methylthio) propanoate 또한 참외의 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었다.

  • PDF

Analyzing of the Essential Oil Chemical Constituents in Artemisia lavandulaefolia and its Pharmacological Property on Antibacterial Activity

  • Kim, Kyong-Heon;Kim, Baek-Cheol;Lee, Hwa-Jung;Jeong, Seung-Il;Kim, Hong-Jun;Ju, Young-Sung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32
    • /
    • 2004
  • Objective: The aim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btained from Artemisia lavandulaefolia (A. lavandulaefolia), as the development of microbial resistance to antibiotics make it essential to constantly look for new and active compounds effectiv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Method: The aerial parts of A. lavandulaefolia (1 kg) were subjected to steam distillation for 3 h, using a modified Clevenger type apparatus in order to obtain essential oil. Diethyl ether was the extracting solvent kept at 25?. The essential oil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essential oil and the composition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15 different genera of oral bacteria. Ninety-nine compounds accounting for 94.74$\%$</TEX> of the oil were identified. The main compounds in the oil were 1,8-cineole (5.63$\%$), yomogi alcohol (4.49$\%$), camphor (4.92$\%$), a-caryophyllene (16.10$\%$), trans-a-famesene (5.09$\%$), a-terpineol (3.91$\%$), borneol (5.27$\%$), cis-chrysanthenol (6.98$\%$), and a-humulene oxide (3.33$\%$). The essential oil and its compound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10 different genera of oral bacteria. Conclusion: The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exhibited considerable inhibitory effects against all obligate anaerobic bacteria (MICs, 0.025 - 0.05 ㎎/ml) tested, while their major compounds demonstrated various degrees of growth inhibition

  • PDF

박하의 재배조건 및 수확시기에 따른 정유성분의 변화 (Changes of Essential Oils from Mentha piperita L. Influenced by Various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ing Time)

  • 신경은;박홍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12-519
    • /
    • 1994
  • 박하를 대상으로 재배조건 및 수확시기에 빠른 방향 성분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박하의 생육은 비닐보온시험구에서 초기에 왕성한 생육을 보였지만, 수확기가 가까와 짐에 따라 다른 시험구와 유사하게 성장하였으며, 강유량과 일조시간에 따라 줄기와 잎의 성장속도에서 매우 많은 차이를 보였다. 수확시기에 따른 조성분의 변화는 l-menthone의 l-menthol로의 환원과정이 일조시간의 차이에 따라 그 진행속도가 빨라졌으며, 수확말기에 가서는 특히 menthofuran의 함량이 급속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정유 조성분의 비율이 가장 양호한 시험구는 7월 5일과 7월 7일 수확분으로서, 이 시기가 수확 적기임을 알 수 있었고 정유의 우율도 이 시기에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Produced during the Growth Stages of the Shiitake Mushrooms (Lentinus edodes)

  • Cho, Duk-Bong;Seo, Hye-Young;Kim, Kyong-S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06-314
    • /
    • 2003
  • Volatile flavor components, produced during the young (P-1), immature (P-2), mature (P-3) and old (P-4) growth stages, of shiitake mushrooms (Lentinus edodes),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using a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 ether (1:1, v/v) as the extraction solvent. Analyses of the concentrates,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129, 129, 111 and 120 components in the P-1, 2, 3 and 4 stages, respectively.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l-octen-3-o1, 3-octanol, 3-octanone and 4-octen-3-one. Ethanol and ethyl acetate were also detected in large amounts. The characteristic volatile compounds found in shiitake mushrooms, such as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and 1, 2, 4-thiolane, were at low concentrations in all samples. The amount of l-octen-3-o1 decreased as growth progressed, but concentrations of 3-octanone increased. The amount of 4-octen-3-ol decreased from P-1 to P-3, but was at a high concentrations in P-4. The concentration of 3-octanol gradually increased and reached its highest concentration in P-3, but decreased in P-4. The C8-compounds comprised 70.91, 64.09, 64.29 and 60.01 % in the P-1, 2, 3 and 4 stages, respectively, so decreased gradually with growth. The S-compounds were found in the highest concentrations in P-3.

Analysis of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fresh Panax ginseng root and identification of novel phenylalkenal compounds

  • Dae-Woon Kim;Young-Hoi Kim;Tae-Young Kim;Han-Suk Choi;Myung-Kon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44-959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fresh Panax ginseng root and identified novel compounds from ginseng oil. The oil was divided into five fractions (neutral, basic, phenolic, acidic, and aldehydic). In total, 149 constituents, including 29, 19, and 38 compounds in the basic, phenolic, and aldehydic fractions, respectively,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MS). The primary constituents of the total ginseng volatile oil were α-humulene (13.91% as a peak area), bicyclogermacrene (13.59%), β-caryophyllene (8.24%), α-neoclovene (7.78%), and α- and β-panasinsenes (5.14% and 7.53%). The primary constituents of the basic fraction were 2-isopropyl-3-methoxypyrazine (35.51%), 3-sec-butyl-2-methoxy-5-methylpyrazine (31.54%), 2-isobutyl-3-methoxypyrazine (8.64%), and 2-methoxy-3-methylpyrazine (8.40%), whereas in the phenolic fraction, these were benzoic (25.40%), octanoic (11.57%), nonanoic (9.16%), propionic (6.35%), and decanoic acids (6.16%). The primary constituents of the aldehydic fraction were 4-(2-furyl)-3-buten-2-one (23.41%), benzaldehyde (10.18%), cis-2-heptanal (9.42%), 3-(α-furyl)-propenal (8.51%), and 2-phenyl-2-butenal (7.28%). Among these, the phenylalkenal compounds, including 2-phenyl-2-butenal, 2-methyl-3-phenyl-2-propenal, 5-methyl-2-phenyl-2-pentenal, 5-methyl-2-phenyl-2-hexenals, 2-phenyl-2-octenal, and 2-phenyl-2-nonenal, were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as ginseng volatile constituents. Furthermore, 2-phenyl-2-nonenal was identified as a plant-based volatile constituent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질량분석법에 의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분석과 막 여과에 의한 제거 (Analysis of EDCs by Mass Spectrometry and their Removal by Membrane Filtrations)

  • 김태욱;연경호;조재원;문승현
    • 멤브레인
    • /
    • 제15권4호
    • /
    • pp.297-309
    • /
    • 2005
  • 다수의 잠재적인 내분비계장애물질이 환경에 방출됨으로써 새로운 환경문제로 세계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을 측정하고 감시하기 위한 고감도이며 신뢰성 있는 분석방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체크 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과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이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의 분석을 위해 이용되었으며 두 가지 분석방법들이 DEHP, BBP, PCP, BPA에 대해 비교 및 평가되었다 그 결과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이 더 낮은 검출 한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은 대부분의 순수한 분자들로서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을 측정 가능함이 판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음용수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유기막과 세라믹막을 제시하였으며 십자류 나노여과 방식이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을 $100\%$ 제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분획분자량 250 나노여과는 내분비계장애물질을 제거함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나노여과, 고속한외여과, 저속한외여과의 투과플럭스와 물질전달계수와의 비는 0.67, 3.4, 그리고 0.44였으며 나노여과와 저속한외여과는 확산이 주요한 조건에서 운전되며 고속한외여과는 대류가 주요한 조건에서 운전된다. 더욱이, 확산이 주요한 나노여과와 저속한외여과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제거율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외여과에 의한 제거는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의 분자량에 의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은 확산이 주요한 수리동역학적 조건에서 제거됨이 판명되었다.

미성숙 감귤 과피 초임계 추출물의 성분 분석과 자궁암세포 성장억제효능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Supercritical Extract of Immature Citrus Peel in human cervical carcinoma HeLa cells)

  • 문정용;송연우;현호봉;김소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836-884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재래감귤인 팔삭과 이예감 초임계 추출물에 대한 인간 자궁암 세포인 HeLa 세포에서의 성장억제 효능을 탐색하고, 각 추출물에서의 유효 활성 성분을 분석하는데 있다. HeLa 세포에서의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 효능을 탐색하기 위해 MTT assay와 Hoechst 33342 염색을 수행하였으며, 성분분석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였다. 두 종류의 미성숙 감귤 과육,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 대한 HeLa 세포의 성장 억제 효능을 비교해 본 결과, 과피 추출물은 팔삭과 이예감 모두 비슷한 세포사멸 효능을 나타냈다. 과피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성장률이 억제되었으며, 처리 농도 $400{\mu}g/mL$에서 팔삭과 이예감 추출물이 각각 87.16%와 92.95%의 세포사멸 효능을 나타냈으나, 과육 추출물의 세포 성장 억제 효능은 처리 농도 $400{\mu}g/mL$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Hoechst 33342 염색을 통해 apoptotic body 형성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100, $200{\mu}g/mL$ 과육 초임계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apoptpotic body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동일한 농도의 과피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경우에서는 apoptotic body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GC/MS 분석을 통해 미성숙 팔삭 과육과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서 각각 27개와 31개의 화합물을 검출하였으며, 미성숙 이예감 과육과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서는 각각 27개와 29개의 화합물을 검출하였다. 팔삭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는 1,1,4,4-Tetramethyl-2-tetralone(20.86%), alloimperatorin(8.15%), limonene (11.23%), auraptene(7.29%) 등이 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예감 과피 초임계 추출물에는 limonene(22.19%), linalool(11.23%), ${\gamma}$-sitosterol(9.12%) 등이 주로 함유되어 있었다.

식품 중 oxidized polyethylene wax 분석법 연구 및 함유량 실태 조사 (Study on the Analytical Method and Monitoring of the Oxidized Polyethylene Wax in Foods)

  • 최승현;김재민;최선일;정태동;조봉연;이진하;이근영;임호수;윤상순;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4-289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미지정 피막제인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방법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확립된 최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시중 유통되는 과일 및 견과류에서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의 사용여부를 모니터링 하였다. 최적 분석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산가, HT-GPC, MALDI-TOF/MS, GC-FID, FT-IR 등을 비교하였다. 산가측정 결과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를 첨가한 시료와 첨가하지 않은 시료 모두 산가가 1.12 mg KOH/g로 산가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산가를 이용한 식품 중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의 분석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HT-GPC분석은 표준물질의 분산도 값이 약 3.4로 확인되었으며, GPC를 이용한 분석은 실험실간 낮은 재현성과 컬럼 등 분석조건에 따른 결과 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분자량의 분산도만으로 식품 중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의 분석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MALDI-TOF/MS 분석은 700~2,000 m/z에 peak가 관찰되었지만,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 성적서에 적혀있는 분자량 범위인 2,700~2,800 m/z와 큰 차이를 보여, MALDI-TOF/MS를 이용한 분석 역시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GC-FID를 이용한 지방산 분석결과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 표준물질에서 과일 및 견과류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지방산인 C11:0, C15:1 지방산이 검출되었지만, 제외국 허용기준으로 첨가하여 분석하였을 때 관찰되지 않고, 고농도를 첨가할 경우에만 피크가 관찰되어 GC-FID를 이용한 분석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FT-IR 분석결과 코팅된 견과류 시료와 코팅되지 않은 견과류 시료를 비교하였을 때 코팅된 시료에서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 표준물질의 spectrum과 일치하는 spectrum을 나타내어, 식품 중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의 분석은 FT-IR로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확립된 FT-IR 분석법을 이용하여 국내외 대형마트에서 구입한 111건의 과일 및 견과류를 분석한 결과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한 시료가 없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