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B21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3초

Using Ultrasonography Measurements to Determine the Depth of the GB 21 Acupoint to Prevent Pneumothorax

  • Chen, Hsiao-Neng;Chang, Chau-Yi;Chen, Lian-Zen;Chang, Yu-Jun;Lin, Jaung-Geng
    • Journal of Acupuncture & Meridian Studies
    • /
    • 제11권6호
    • /
    • pp.355-360
    • /
    • 2018
  • Introductions: Pneumothorax is the most frequent severe acupuncture-related adverse event occurring at the GB 21 acupoint. This study used ultrasonography (US) to measure the depth of the GB 21 acupoint in adults and assessed its applicability for ensuring safe acupuncture practices. Materials and methods: A US probe was used to measure the vertical depth from the skin to the pleural line of the apex of the lungs at the right and left GB 21 acupoints. The sex, age, body weight, height, and body mass index of each person were recorded. Student t test an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ixty women and 41 men with a median age of 29 yea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epth of GB 21 increased with body weight, height, and body mass index (p < 0.001). The mean depth of GB 21 in men (17.4 mm) was greater than that in women (14.6 mm; p < 0.001). The depth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houlders was significant in men (p < 0.001) but not in women. Conclusions: US can be used to measure GB 21 acupoint depth. Further control studies on its use to ensure safe clinical practices, including preventing acupuncture-related pneumothorax, are warranted.

미용침(cosmetic acupuncture)에 응용되는 경혈과 근육에 대한 고찰 (A study on acupoints and muscles used for cosmetic acupuncture)

  • 양미성;신미숙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3호
    • /
    • pp.13-25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cupoints and muscles used for cosmetic acupuncture. We want most clinicians practicing cosmetic acupuncture to understand theoretical background well and to treat cosmetic diseases more diversely by this paper. Methods : We collected useful informations from some books and websites about cosmetic acupuncture and thus could select major acupoints and muscles. Conculsions :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oints for cosmetic acupoints are as follows ; LI20, ST1, ST2, ST3, ST4, ST5, ST6, ST7, ST8, SI18, SI19, BL1, BL2, BL3, BL4, TE17, TE18, TE19, TE20, TE21, TE22, TE23, GB1, GB2, GB3, GB4, GB5, GB6, GB7, GB8, GB13, GB14, GV20, GV21, GV22, GV23, GV24, GV25, GV26 and CV24. And head and neck muscles including SCM muscle, plastyma, frontalis, corrugator supercilii, orbicularis oculi, auricularis, temporalis, masseter, pterygoid, zygomaticus and risorius can be used for cosmetic acupuncture. Most acupoints and muscles are located in face and head, which seemed to be concerned with formation of face wrinkles.

  • PDF

유치와 영구치에서 치과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THE SHEAR BOND STRENGTH OF DENTAL ADHESIVES ON PRIMARY AND PERMANENT TEETH)

  • 최진영;최남기;박영준;최충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79-58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치과용 접착제를 대상으로 유치와 영구치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을 비교 평가하여 임상에서 상아질 접착제를 적절하게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실험재료로 Adper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Adhesive (SM; 3M ESPE, USA), Adper Single bond 2 (SB; 3M ESPE, USA), Clearfil SE Bond (SE; Kuraray Medical Inc., Japan), Adper Prompt L-Pop (PL; 3M ESPE, USA), G-Bond (GB; GC Cooperation Toyko, Japan)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치 법랑질에서 전단결합강도는 SM이 $28.47{\pm}7.93\;MPa$로 가장 높았고 SB ($28.18{\pm}6.84$), PL ($24.02{\pm}6.14$), SE ($21.70{\pm}6.56$), GB ($17.70{\pm}6.68$) 순이었다. SM과 SB는 SE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SM, SB, PL은 GB보다 높았다(p<0.05). 2. 유치 상아질에서 전단결합강도는 SE가 $28.72{\pm}14.44MPa$로 가장 높았고, PL ($20.10{\pm}6.13$), SM ($17.72{\pm}10.65$), SB ($15.48{\pm}2.66$), GB ($10.10{\pm}5.45$) 순이었으며 SE와 GB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군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영구치 법랑질에서의 전단결합강도는 SB가 $28.36{\pm}5.68\;MPa$로 가장 높았고 SM ($22.77{\pm}4.63$), PL ($22.05{\pm}6.57$), SE ($21.74{\pm}4.62$), GB ($15.60{\pm}6.75$)순이었다. SB는 다른 접착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합력을 나타냈으며, GB는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p<0.05). 4. 영구치 상아질에서의 전단결합강도는 SM이 $28.22{\pm}5.56\;MPa$로 가장 높았고, SB ($21.68{\pm}7.44$), SE ($20.13{\pm}9.88$), GB ($14.30{\pm}6.81$), PL ($14.18{\pm}5.88$)순이었으며, SM은 PL, GB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5. 유치의 법랑질과 상아질 간에는 SM, SB, GB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구치 법랑질과 상아질 간에는 PL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6. 유치 법랑질과 영구치 법랑질 간에는 모든 접착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치 상아질과 영구치 상아질 간에는 SM과 SB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 PDF

돼지 생산성에 있어 게르마늄흑운모의 첨가수준 및 입자도의 효과 (Effects of Feeding Levels and Particle Size of Germanium Biotite on Pig Performance)

  • 이원백;김인호;홍종욱;권오석;민병준;손경승;정연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87-796
    • /
    • 2003
  • 본 시험은 자돈 및 육성돈에 있어 급여수준 및 입자도에 따른 게르마늄 흑운모의 급여가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및 분내 유해가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1은 3원 교잡종 자돈 10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체중은 13.12${\pm}$0.15kg이었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 무첨가구(CON), 대조구 사료에 200 mesh 게르마늄 흑운모 0.5% 첨가구 (GB0.5-200) 및 1.0% 첨가구(GB1.0-200) 그리고 대조구 사료에 325 mesh 게르마늄 흑운모 0.5% 첨가구(GB0.5-325) 및 1.0% 첨가구(GB1.0-325)로 5개 처리로 하였다.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의 경우 GB200 처리구와 비교하여 GB325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분내 휘발성 지방산 농도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게르마늄 흑운모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propionic acid, P=0.01; butyric acid, P=0.01; acetic acid, P=0.02). 특히, 분내 propionic acid 농도는 GB200 처리구와 비교하여 GB325 처리구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 0.02). 시험 2는 3원 교잡종 육성돈 75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체중은 21.18${\pm}$0.15kg이었다. 시험설계는 시험 1과 동일하였다.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GB1.0 처리구가 GB0.5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 건물 및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GB1.0 처리구가 GB0.5 처리구와 비교하여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칼슘 소화율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게르마늄 흑운모 첨가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게르마늄흑운모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1), GB200 처리구 보다는 GB325 처리구가 더 낮게 평가되었다(P=0.03). 분내 butyric acid 농도에 있어서는 GB200 처리구와 비교하여 GB325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4). 결론적으로, 자돈에 있어서는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가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분내 유해가스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육성돈에 있어서는 성장율을 향상시키면서 분내 유해가스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척수연화증 개에서 전통 수의학적 방법을 이용한 치료 시도: 증례 보고 (Therapeutic Approach by Traditional Veterinary Medicine in a Case with Canine Myleomalacia: Case Report)

  • 전형규;오현욱;이현화;한지원;이병곤;박진호;이영원;정성목;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08-612
    • /
    • 2007
  • 4년령의 중성화한 수컷 코커 스파니엘이 후지 마비와 진전 때문에 내원 하였다. 본 환축은 X-ray와 MRI를 이용하여 추간판탈출증이 합병된 척수연화증으로 진단되었다. 환축의 치료를 위하여 봉독 약침, 뜸 및 한약제의 투여를 이용하였다. 사용 혈위는 GV02-1, GV04, GV11, GV12, GV13, GV14, BL11, BL18, BL23, BL25, BL28, GB21, HT07, KI03, LI04, LU07, SI03, SI06, ST36, ST38, ST39, ST40, ST41, GB30, GB31, GB34, LIV03, SP06 및 압통점($T1{\sim}T4\;and\;T9{\sim}L1$) 이었다. 그 결과, 1차 치료 시 환축은 기립이 불가능하였으며, 사지를 움직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7차, 14차 및 21차 치료 시 점차적인 임상증상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비록 한방수의학적 방법으로 임상 증상이 완치된 것은 아니지만, 21차 치료 후 임상증상이 일부 호전된 증례이었다.

2.496Gb/s MIPI M-PHY를 위한 기준 클록이 없는 이중 루프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 (A 2.496 Gb/s Reference-less Dual Loop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for MIPI M-PHY)

  • 김영웅;장영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99-905
    • /
    • 2017
  • 본 논문은 2.496Gb/s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M-PHY를 위한 기준 클록이 없는 이중 루프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CDR :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클록 데이터 복원회로는 적응형 루프 대역폭 조절 기법을 사용하여 적은 타임 지터를 가지면서 빠른 고정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클록 데이터 복원회로는 주파수 고정 루프와 위상 고정 루프로 이루어진다. 제안하는 2.496Gb/s 기준 클록이 없는 이중 루프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는 1.2V 공급 전압을 갖는 65n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2.496Gb/s pseudo-random binary sequence (PRBS)15 입력에서 시뮬레이션 된 출력 클록의 타임 지터는 $9.26ps_{p-p}$이다.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의 면적과 전력 소모는 각각 $400{\times}470{\mu}m^2$와 6.49mW이다.

Risk factors for anticoagulant-associated gastrointestinal hemorrhag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Fuxin Ma;Shuyi Wu;Shiqi Li;Zhiwei Zeng;Jinhua Zhang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9권1호
    • /
    • pp.77-85
    • /
    • 2024
  • Background/Aims: There may be many predictors of anticoagulation-related gastrointestinal bleeding (GIB), but until now, systematic reviews and assessments of the certainty of the evidence have not been published.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to identify all risk factors for anticoagulant-associated GIB to inform risk prediction in the management of anticoagulation-related GIB. Metho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nducted to search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and Cochrane Library databases (from inception through January 21, 2022) using the following search terms: anticoagulants, heparin, warfarin, dabigatran, rivaroxaban, apixaban, DOACs, gastrointestinal hemorrhage, risk factors. According to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studies of risk factors for anticoagulation-related GIB were identified. Risk factors for anticoagulant-associated GIB were used as the outcome index of this review. Results: We included 34 studies in our analysis. For anticoagulant-associated GIB, moderate-certainty evidence showed a probable association with older age, kidney disease, concomitant use of aspirin, concomitant use of the antiplatelet agent, heart failure, myocardial infarction, hematochezia, renal failure, coronary artery disease,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social risk factors, alcohol use, smoking, anemia, history of sleep apnea,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obesity et al. Some of these factors are not included in current GIB risk prediction models. such as anemia, co-administration of gemfibrozil, co-administration of verapamil or diltiazem, INR, heart failure, myocardial infarction, etc. Conclusions: The study found that anemia, co-administration of gemfibrozil, co-administration of verapamil or diltiazem, INR, heart failure, myocardial infarction et al. were associated with anticoagulation-related GIB, and these factors were not in the existing prediction models. This study informs risk prediction for anticoagulant-associated GIB, it also informs guidelines for GIB prevention and future research.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의 GbTmem258 cDNA 클로닝과 발현분석 (Characterization of a cDNA Encoding Transmembrane Protein 258 from a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 권기상;김홍근;박혜원;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828-834
    • /
    • 2023
  •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에서 분리한 막전단백질 258(transmembrane protein 258, Tmem258)을 코딩하는 cDNA를 GbTmem258로 이름 붙였다. 이 단백질은 8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N-glycosylation site가 없고, 각각 2개의 serine과 threonine, 1개의 tyrosine 잔기로 구성된 5개의 잠재적 인산화 부위를 가지고있다. GbTmem258 단백질은 분자량은 9.06 kDa이며 이론적 등전점은 5.5으로 계산되었으며, alpha-helix (52.5%), random coils (22.5%), extended strands (16.25%), beta turns (8.75%)의 2차 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GbTmem258의 3차 구조가 작성되었다. 그리고, GbTmem258은 다른 종의 Tmem258와 아미노산 수준에서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아와 먹이 공급에 의해 GbTmem258 발현 조절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조사하였다. 기아가 지속되는 동안 hindgut에서 GbTmem258 발현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기아 6일 후 대조군보다 1.5배 높은 수준이 되었다. 그러나 6일간의 기아상태가 끝난 후 하루 또는 이틀 동안 다시 먹이를 주면 GbTmem258 발현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지방에서는 기아 동안 대조군에 비해서 GbTmem258 발현이 최대 3배까지 증가했지만, 6일 기아 후 하루 또는 이틀 동안 다시 먹인 후에는 발현이 약 2.5배 증가로 감소되었다. 굶기고 다시 먹이는 실험 내내 각각의 조직에서 주목할만한 GbTmem258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퀄라이저 적응기를 포함한 12.5-Gb/s 저전력 수신단 설계 (A 12.5-Gb/s Low Power Receiver with Equalizer Adaptation)

  • 강정명;정우철;권기원;전정훈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2호
    • /
    • pp.71-7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이퀄라이저 적응기(adaptation)를 포함하는 12.5 Gb/s 저전력 수신단 설계에 대해서 기술한다. 샘플러와 직렬 변환기를 사용한 저전력 아날로그 이퀄라이저 적응기를 구현함으로써 채널과 칩 공정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으며 그 적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저전력을 위한 전압 모드 송신기의 접지 기반 차동 신호를 수신하는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17.6 dB의 피킹 이득을 갖는 CTLE(Continuous Time Linear Equalizer)는 6.25 GHz에서 -21 dB 손실을 갖는 채널의 길게 늘어지는 ISI(Inter Symbol Interference)를 제거한다. 45 n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eye diagram에서 200 mV의 전압 마진과 0.75 UI의 시간 마진을 갖고 0.87 mW/Gb/s의 낮은 전력 소모를 유지한다.

만성 긴장성 두통에 대한 양측 완골과 풍지혈 전침 치료의 효과: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파일럿 연구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Both Side Acupuncture Point GB12 and GB20 for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 전준영;이종수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1-29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lectroacupuncture (EA) on both side acupuncture point GB12, GB20 for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CTTH). Methods Subjects aged 18-65 years who had suffered from CTTH for more than 3months were recruited from September 2016 to May 2017. Thirty subjects were voluntarily recruited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15 to EA group, another 15 to sham-EA group. The treatment sessions were performed every 2-4 days for a total of three sessions over 1 week. The symptoms of headache were assessed before the treatment and after a week from the last treatment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headache frequency (HF), Korean Headache Impact Test-6 (KHIT-6).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ll participa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upon using chi-square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values between baseline and follow-up. Wilcoxon rank sum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p-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no difference in VAS and KHIT-6 was observed between groups. HF of EA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sham-EA group. Within the EA group VAS, HF and KHIT-6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Meanwhile, only KHIT-6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in sham-EA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EA on both side acupuncture point GB12 and GB20 is applicable to improve symptoms in patients with CT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