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BA-AT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1초

발아보리를 이용한 고추장 당화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 of Saccharified Materials Manufactured from Germinated Barley)

  • 차미나;윤영;장선아;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15-320
    • /
    • 2011
  • Germ본 연구는 GABA 함량이 높은 발아보리 제조조건을 선정하고, 발아보리를 이용한 고추장 당화물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침온도(5, 15 및 $25^{\circ}C$)에 관계없이 수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리의 수분흡수율은 증가하고 수침용액의 pH는 감소하였으며, 25에서 수분흡수율(33.46-59.86%)과 pH의 변화(6.37-5.56)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보리의 GABA 함량은 $25^{\circ}C$, 20시간 수침 시켰을때 11.90mg/100g으로 가장 높았다. 수침 후 발아조건(5, 15 및 $25^{\circ}C$, 0-72 h)별 보리의 GABA 함량에 있어서는 $5^{\circ}C$에서 36시간 발아시켰을 때 15.06 mg/100g으로 가장 높아 원맥보다 GABA 함량이 약 7.4배 증가하였다. 전분질원으로서 찹쌀, 보리 또는 발아 보리 첨가에 관계없이 모든 고추장 당화물의 pH는 당화기간 동안 감소하였고, 산도, 아미노태 질소 함량 및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증가하였다. 고추장 당화물의 GABA 함량도 전분질원 종류에 관계없이 당화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었고, 발아보리 첨가 당화물의 GABA 함량이 11.89mg/100g으로 가장 높았다.

Inhibitory Effects of the Korean Red Ginseng Extract on the Content of Neurotransmitter-Related Components of the Mouse Brain in Convulsion-induced Model

  • Choi, Jong-Won;Yoo, Yeong-Min;Park, Hee-Juh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384-389
    • /
    • 2007
  • Treatment of mice with Korean Red Ginseng (KRG) changed glutamic acid and GABA content in the mouse brain tissue with pentylenetetrazole (PTZ)-induced convulsion. KRG were orally administered at a dose of 50, 100 mg/kg for two weeks. The electroconvulsions (MES) and PTZ-induced convulsion were reduced but those induced by strychnine, bicuculine and picrotoxin were not. PTZ-induced convulsion decreased the $\~{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brain compared to control group while the content was increased in KRG-treated group compared to PTZ group. In the PTZ-treated group, the GABA-transaminase (GABA-T) activity was increased by 59.6%, while no effect was observed on glutamate decarboxylase (GAD) activity.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KRG decreased the GABA contents and modulated the glutamic acid contents in the brain.

Stimulation of γ-Aminobutyric Acid Synthesis Activity in Brown Rice by a Chitosan/Glutamic Acid Germination Solution and Calcium/Calmodulin

  • Oh, Suk-Heung
    • BMB Reports
    • /
    • 제36권3호
    • /
    • pp.319-325
    • /
    • 2003
  •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soluble calcium ions, glutamic acid, and the activity of glutamate decarboxylase (GAD) were investigated in non-germinated vs. germinated brown rice. Brown rice was germinated for 72 h by applying each of the following solutions: (1) distilled water, (2) 5 mM lactic acid, (3) 50 ppm chitosan in 5 mM lactic acid, (4) 5 mM glutamic acid, and (5) 50 ppm chitosan in 5 mM glutamic acid. GABA concentrations were enhanced in all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when compared to the non-germinated brown rice. The GABA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chitosan/glutamic acid that germinated brown rice at 2,011 nmol/g fresh weight, which was 13 times higher than the GABA concentration in the non-germinated brown rice at 154 nmol/g fresh weight. The concentrations of glutamic aci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of the germinated rice, regardless of the germination solution. Soluble calcium and GAD were higher in the germinated brown rice with the chitosan/glutamic acid solution when compared to the rice that was germinated in the other solutions. GAD that was partially purified from germinated brown rice was stimulated about 3.6-fold by the addition of calmodulin in the presence of calcium. These data show that the germination of brown rice in a chitosan/glutamic acid solu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GABA synthesis activity and the concentration of GABA.

발아 유색미의 GABA(${\gamma}$-aminobutyric acid) 함량 분석 (Anaylsis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Germinated Pigmented Rice)

  • 안미경;안준배;이상화;이광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32-636
    • /
    • 2010
  • 본 연구는 현미, 녹미, 홍미, 흑미 4종의 유색미의 발아에 따른 GABA 함량을 분석하고 백미와 함께 비교하였다. HPLC/FLD를 이용하여 GABA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수율과 검출한계를 설정하였다.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122.4${\pm}$2.4%, RSD는 2.0%이었으며, 검출한계는 0.23 ${\mu}g/g$, 정량한계는 0.76 ${\mu}g/g$이었다. 시료는 $18^{\circ}C$에서 20시간 침지시킨 후, 30에서 20-24시간 동안 발아시켰다. 발아미, 미발아미 및 백미의 GABA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발아 홍미가 293.6 ${\mu}g/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홍미와 백미가 각각 26.4, 11.9 ${\mu}g/g$으로 가장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발아미와 미발아미의 GABA 함량을 비교한 결과, 녹미를 제외한 현미, 홍미, 흑미는 미발아미에 비해 GABA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2.5-11.1배 증가 하였다. 백미와 미발아미를 비교해 본 결과, 백미와 홍미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현미, 녹미와 흑미는 백미의 GABA 함량인 11.9 ${\mu}g/g$에 비해 7.6-20.6배 높은 함량이었다. 백미와 발아미 사이에는 발아미는 모두 백미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백미에 비해 발아미의 GABA 함량은 19.0-24.7배 높았다.

김치유래 Lactobacillus sakei OPK2-59의 ${\gamma}$-Aminobutyric Acid 생성 및 Glutamate Decarboxylase 활성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tion and Glutamate Decarboxyl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i OPK2-59 Isolated from Kimchi)

  • 유진주;오석흥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6-322
    • /
    • 2011
  •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sakei OPK2-59는 ${\gamma}$-aminobutyric acid (GABA) 생성능력과 glutamate decarboxylase(GAD) 활성을 보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sakei OPK2-59를 59.13 mM과 177.40 mM monosodium glutamate (MSG)가 함유된 MRS 배지에서 배양하면 균주의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범위와 pH는 각각 $25-37^{\circ}C$와 6.5였다. 59.13 mM과 177.40 mM MSG 함유 MRS 배지에서 배양온도 $25^{\circ}C$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경우 MSG의 GABA 전환율은 각각 99.58%와 31.00%였다. 또한 Lactobacillus sakei OPK2-59 세포추출액을 이용하여 MSG를 GABA로 전환할 수 있었으며, 추출물에 의한 GABA 전환율은 $30^{\circ}C$, pH 5 조건에서 78.51%로 가장 높았다. 세포추출액에 의한 MSG의 GABA 전환에 미치는 무기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aCl_2$, $FeCl_3$, $MgCl_2$를 첨가한 반응액에서 염을 넣지 않고 반응한 control보다 GABA 전환율이 2-3배 증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김치 유산균 Lactobacillus sakei OPK2-59의 GABA 생성능은 유산균 세포 내에 존재하는 GAD에 의한 것이며, GAD에 의한 GABA 전환율은 무기염에 의하여 증진될 수 있음을 제안해 주는 것이다.

발아에 따른 일부 특수미의 GABA 함량 변화 (Changes in GABA Content of Selected Specialty Rice After Germination)

  • 최용민;전건욱;공수현;이준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2호
    • /
    • pp.154-158
    • /
    • 2009
  • 일반적으로 현미를 발아시킬 경우 다양한 효소의 활성화로 인하여 GABA, ferulic acid, arabinoxylan, inositol 등의 기능성 성분들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조직을 연화시켜 현 미의 식미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ABA는 발아현미에 존재하는 기능성 물질 중의 하나로 비단백질 아미노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아 후 품종별 GABA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함께 vitamin E의 변화와 항산화력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GABA 함량은 비색법을 이용하였고 vitamin E는 HPLC 방법을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품종별 현미는 발아 과정을 통하여 GABA 함량은 약 10배 이상 그리고 vitamin E의 경우 tocotrienol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에는 전반적으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큰눈 발아 현미의 경우 GABA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vitamin E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신명흑찰 발아현미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현미를 발아시키면 GABA 및 vitamin E 등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증가되고 항산화 활성이 그대로 유지된 기능성 쌀 가공품의 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Naringenin modulates GABA mediated response in a sex-dependent manner in substantia gelatinosa neurons of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in immature mice

  • Seon Ah Park;Thao Thi Phuong Nguyen;Soo Joung Park;Seong Kyu H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8권1호
    • /
    • pp.73-81
    • /
    • 2024
  • The substantia gelatinosa (SG) within the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Vc) is recognized as a pivotal site of integrating and modulating afferent fibers carrying orofacial nociceptive information. Although naringenin (4',5,7-thrihydroxyflavanone), a natural bioflavonoid, has been proven to possess various biological effect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the activity of naringenin at the orofacial nociceptive site has not been reported yet.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naringenin on GABA response in SG neurons of Vc using whole-cell patch-clamp technique. The application of GABA in a bath induced two forms of GABA responses: slow and fast. Naringenin enhanced both amplitude and area under curve (AUC) of GABA-mediated responses in 57% (12/21) of tested neurons while decreasing both parameters in 33% (7/21) of neurons. The enhancing or suppressing effect of naringenin on GABA response have been observed, with enhancement occurring when the GABA response was slow, and suppression when it was fast. Furthermore, both the enhancement of slower GABA responses and the suppression of faster GABA responses by naringenin were concentration dependent. Interestingly, the nature of GABA response was also found to be sex-dependent. A majority of SG neurons from juvenile female mice exhibited slower GABA responses, whereas those from juvenile males predominantly displayed faster GABA responses. Taken together, this study indicates that naringenin plays a partial role in modulating orofacial nociception and may hold promise as a therapeutic target for treating orofacial pain, with effects that vary according to sex.

유산균 발효에 의한 GABA 함유 토마토 페이스트의 생산 (Production of GABA-rich Tomato Paste by Lactobacillus sp. Fermentation)

  • 조석철;김동현;박장서;고종호;변유량;국무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31
    • /
    • 2012
  • ${\gamma}$-Aminobutyric acid(GABA)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으로서, 신경전달물질, 뇌기능 촉진뿐 아니라, 혈압 저하 작용, 이뇨 작용, 항우울증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의 효과뿐만 아니라, 성장 호르몬의 분비 조절에도 관여하며,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토마토의 베타카로틴과 리코펜은 암 예방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C 함유량은 다른 야채보다 월등히 높고 노화를 막으며, 골다공증 및 노인성 치매를 예방하는데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글루탐산의 함유량은 매우 높다. 한국 전통식품 유래 균들인 식물성 유산균 중에서 토마토 발효에 적합한 GABA 생산 유산균을 선별하고, 이를 활용하여 GABA 함유 토마토 발효물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다. 토마토 페이스트에 50%(wet-base) 수준으로 가수를 한 후, GABA 생산 유산균을 각각 $1.5{\times}10^7\;CFU/m{\ell}$ 수준으로 조정하여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 Lb. brevis B1-31, Lb. brevis B3-20, Lb. brevis B3-39 등 3종의 유산균이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이들 3주를 이용하여 GABA 생산량을 검토한 결과, Lb. brevis B3-20을 이용하여 배양한 군에서 최대의 GABA 생산을 보였다. 토마토 페이스와 물의 비율을 2:8(wet-base)로 하여 배양한 경우, 최대 54.7 mM 수준의 GABA가 생산되었으며,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를 0.5%(w/w) 수준으로 첨가한 후, MSG를 3%(w/w) 수준으로 첨가한 배양에서 143.38 mM의 GABA가 생산되었다. GABA 함유 토마토 페이스트의 활성산소 제거능력을 검토한 결과, 활성 산소 제거능이 증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3%(w/w) MSG를 첨가하여 발효한 토마토 페이스가 가장 낮은 농도에서 50% 수준의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GABA 함유 토마토 페이스트 발효물은 원물 토마토의 ascorbic acid, lycopene, carotenoid 등과 같은 기능성 성분뿐만 아니라, 유산균 발효에 의한 GABA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그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토마토 음료, 토마토 케첩 등과 같은 다양한 가공식품의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혼합영양 배양에서 Chlorella protothecoides의 GABA를 포함한 아미노산 함량 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Amino Acids Including GABA of Chlorella protothecoides under Mixtrophic Culture)

  • 정유정;김성학;민희경;김성천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25
    • /
    • 2018
  • Chlorella i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igh in protein with balanced essential amino acid profiles, vitamins and minerals.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s broadly distributed in nature and fulfills multi-phys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effect such as a health-promoting functional compound. To improve the GABA production, Chlorella protothecoides were grown through the modified mixtrophic culture medium containing 2L of sterilized bristol medium with 0.01% urea and 4.0% glucose in a 5L fermenter. The results showed that nineteen kinds of amino acid including GABA at C. protothecoides sample were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Glutamic acid in total concentration (%) of amino acid i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33.10%), followed by alanine (20.48%) and GABA (17.48%). Three amino acids including GABA were responsible for more than 70% total concentration in C. protothecoides sample including eight essential and nine non-essential amino acids: aspartic acid, asparagine, serine, glutamine, histidine, glycine, threonine, arginine, tyrosine, valine, methionine, tryptophan, phenylalan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is expected that Chlorella will be developed to a critical product having high value as, GABA, functional food materials.

흰쥐의 적출 정관 수축성에 대한 ${\gamma}$-Aminobutyric Acid의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s of ${\gamma}$-Aminobutyric Acid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Vas Deferens)

  • 안기영;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82-395
    • /
    • 1992
  • GABA는 중추신경계의 대표적인 신경전달 물질로서 $GABA_A$수용체 또는 $GABA_B$수용체에 작용하여 진정 작용, 항 불안 작용, 및 근이완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말초조직에도 GABA가 존재하며 신경조정인자 혹은 신경전달인자로서 작용한다는 보고가 있다. 정관에 대한 자율신경 지배는 아드레날린성, 콜린성과 비콜린성 비아드레날린성 신경섬유들이 분포하고 있으나, 종 혹은 부위에 따라 이들 구성요소들의 수축성에 대한기여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흰쥐의 전립선 부위 정관의 기본장력 및 전기장 유발 수축에 대한 교감 신경성, 부교감 신경성 및 퓨린성 효현제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정관의 흥분성 약물 및 전기장 유발 수축에 미치는 GABA 및 GABA 관련 약물의 영향을 관찰함으로서 정관의 수축운동에 대한 GABA의 작용기전을 규명해 보고자 흰쥐(Sprague-Dawley)의 전립선 부위 정관 절편을 적출 근편 실조에 현수하고,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ABA, muscimol 및 baclofen은 전기장자극(0.2 Hz, 1 msec, 80 V) 유발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효력은 GABA, baclofen 그리고 muscimol 순이었다. 2. GABA의 억제작용은 $GABA_B$ 수용체 길항제인 DAVA에 의하여 길항되었으나, $GABA_A$ 수용체 길항제인 bicuculline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3. Baclofen의 억제작용은 DAVA에 의하여 길항되었으나 muscimol의 억제작용은 bicuculline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4. Norepinephrine과 ATP는 농도 의존적으로 정관의 수축력을 증가 시켰으나 acetylcholine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5. GABA, baclofen 및 muscimol은 정관의 기본 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GABA는 norepinephrine과 ATP 유발 수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6. 적출 정관을 20초간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ATP 수용체 탈감작제인 mATP를 전처치한 경우에는 FPC가 감소되었고, 신경원에서 catecholamine을 고갈시키는 reserpine을 전처치한 경우에는 STC가 감소되었다. 7. GABA는 mATP를 전처치한 군에서는 정관의 전기장 유발 수축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reserpine을 전처치한 군에서는 전기장 유발 수축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흰쥐정관의 전립선 부위에는 아드레날린성 신경전달기전과 퓨린성 신경전달기전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으며, GABA는 주로 신경원의 $GABA_B$ 수용체를 통하여 ATP의 유리를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