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3 treatment

검색결과 703건 처리시간 0.029초

칼슘제, 피막제, GA4+7 + BA의 수체살포 및 봉지씌우기에 의한 '감홍' 사과의 동녹 방지와 과실품질 (Effects of Tree-spray of Calcium Agent, Coating Agent, GA4+7 + BA and Paper Bagging on Russet Prevention and Quality of 'Gamhong' Apple Fruits)

  • 문영지;남기웅;강인규;문병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528-536
    • /
    • 2016
  • 본 연구는 칼슘제, 피막제, $GA_{4+7}+BA$의 수체살포 및 봉지씌우기 처리가 감홍 품종의 동녹 방지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4년간(2012-2015)의 '감홍' 사과의 동녹 발생은 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칼슘제, 피막제 및 $GA_{4+7}+BA$ 처리에 의한 동녹 발생 정도는 다른 처리에 비하여 만개 후 20일에 $GA_{4+7}+BA$ 1,000배액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낮았고, 수확 시 과실 품질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과중은 증가하였다. 1중 봉지색 종류에 의한 동녹 발생정도는 무처리에 비하여 낮았고, 황색봉지 및 변색봉지 처리에서 우수하였다. 봉지씌우기 시기에 의한 동녹 발생정도는 만개 후 20일 처리가 만개 후 30, 40일 처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으며, 과실 품질에는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GA_{4+7}+BA$를 만개 후 20일과 30일에 2회 처리와 $GA_{4+7}+BA$을 만개 후 20일에 처리한 후 만개 30일에 칼슘함유봉지를 처리한 과실에 동녹발생이 각각 1.8과 1.3으로 무처리구(5.5)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GA_{4+7}+BA$ 처리에 의한 과실부위별 동녹 발생 정도는 과실 과병부와 과정부에 비하여 과실의 중앙부에서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감홍' 사과의 동녹발생 경감을 위해서는 만개 후 20일에 $GA_{4+7}+BA$ 1,000배액 1회 및 2회 처리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기 금속 화학 증착법(MOCVD)으로 4H-SiC 기판에 성장한 Ga2O3 박막과 결정 상에 따른 특성 (Growth of Ga2O3 films on 4H-SiC substrates by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depend on crystal phase)

  • 김소윤;이정복;안형수;김경화;양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49-153
    • /
    • 2021
  • ε-Ga2O3 박막은 금속 유기 화학 기상 증착법(MOCVD)에 의해 4H-SiC 기판에 성장되었으며, 결정성은 성장 조건에 따라 평가되었다. ε-Ga2O3의 최적 조건은 665℃의 성장 온도와 200 sccm의 산소 유량에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hexagonal 핵이 합쳐지면서 2차원으로 성장되었고, hexagonal 핵의 배열 방향은 기판의 결정 방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ε-Ga2O3의 결정 구조는 hexagonal이 아닌 orthorhombic 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결정상 전이는 열처리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리고 상 전이된 β-Ga2O3 박막과 비교하기 위해 4H-SiC에서 β-Ga2O3 박막을 바로 성장하였다. 상 전이된 β-Ga2O3 박막은 바로 성장한 것보다 더 나은 결정성을 보여주었다.

식물 生長調整劑處理가 양파(Allium cepa L.)의 幼苗生長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on Seedling Growth in Onion Seed(Allium cepa L.))

  • 이성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8-42
    • /
    • 2001
  • 양파의 직파재배를 안정화를 기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도별로 조정한 생장조정제에 종자를 침지한 다음 포장에 파종하여 유묘의 초기생장성을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생장조정제 처리 종자의 출아율은 BA, GA$_3$ 및 kinetin 이 각각 93.0, 94.3, 93.8%로 생장조정제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무처리 종자 80%보다는 훨씬 높았다. 2. 초장은 식물생장조정제 처리효과가 뚜렷하였는데, 그 정도는 GA$_3$, kinetin 및 BA순이었으며, GA$_3$,와 BA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초장이 컸던 반면, kinetin은 오히려 작아졌다. 3. 전개엽수는 식물생장조정제처리에 의해서 증가하였는데 식물생장제별 큰 차이는 없었다. 4. 유묘의 뿌리수는 식물생장조정제처리에 의해 뚜렷하게 증가하였는데. CA$_3$처리에서 가장 효과가 컸으며. 다음이 BA, kinetin 순이었다.

  • PDF

저장방법 및 priming 처리가 히어리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Condition, Storage Period, and Priming on Seed Germination of Corylopsis coreana)

  • 김형득;김홍림;곽용범;최영하;이아롱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266-270
    • /
    • 2010
  • 히어리 종자의 저장 방법 및 저장기간이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건조저온 조건에서 저장한 히어리 종자의 발아율은 40일간 저장한 것이 12%, 70일은 12%, 85일은 8%, 100일은 10%, 115일은 6%로 발아율이 매우 낮았고 130일간 저장한 것은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습윤저온 조건에서 저장한 종자의 발아율은 40일 저장한 것이 20%, 70일은 54%, 85일은 78%, 100일은 96%로 저온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아율이 높았다. 그러나 115일 저장한 것은 76%, 130일은 16%로 다시 발아율이 낮아졌다. 또한 건조저장한 종자에 생장조절제와 무기염류를 처리하여 발아촉진효과를 본 결과 수확 직후 파종한 것은 약제처리를 하지 않은 것은 전혀 발아하지 않았던 반면에 $GA_3\;500mg{\cdot}L^{-1}$ 처리에서는 53.3%의 발아율을 보였다. 1개월 저장한 종자의 경우 상온과 저온저장 모두 $GA_3\;100mg{\cdot}L^{-1}$ 처리에서 41.1%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2개월 저장한 종자의 경우 상온저장은 $GA_3\;50mg{\cdot}L^{-1}$에서 26.2%, 저온저장은 $GA_3\;100mg{\cdot}L^{-1}$ 처리에서 31.1%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3개월 저장한 종자의 경우 상온 저장은 최고 발아율이 $GA_3\;100mg{\cdot}L^{-1}$에서 8.9%, 저온저장은 $GA_3\;50mg{\cdot}L^{-1}$$GA_3\;100mg{\cdot}L^{-1}$처리에서 7.8%의 발아율을 보였다. 한편, $Ca(NO_3)_2$ 5, 10, 20 mM, $KNO_3$ 5, 10, 20 mM을 각각 24시간 침지처리 했을 때는 발아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Isolation of a Gibberellin-producing fungus (Penicillium sp. MH7) and Growth Promotion of Crown Daisy (Chrysanthemum coronarium)

  • Hamayun, Muhammad;Khan, Sumera Afzal;Iqbal, Ilyas;Ahmad, Bashir;Lee, In-J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호
    • /
    • pp.202-207
    • /
    • 2010
  • Plant growth promoting fungi (PGPF) are well known for the production of useful secondary metabolites. However,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gibberellin (GA) production capacity of PGPF of endophytic origin. In the current study, 15 fungal endophyte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Crown daisy, and then screened on Waito-c rice, in order to identify plant growth promoting fungi. The fungal isolate MH7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hoot length (12.1 cm) of Waito-c in comparison with control treatment (7.9 cm). In a separate experiment, the culture filtrate (CF) of MH7 significantly promoted the growth attributes of Crown daisy. The MH7 CF was analyzed for gibberellins and it contained all physiologically active gibberellins ($GA_1$, 1.37 ng/ml; $GA_3$, 5.88 ng/ml; $GA_4$, 8.62 ng/ml; and $GA_7$, 2.05 ng/ml) in conjunction with physiologically inactive $GA_9$ (0.83 ng/ml), $GA_{12}$ (0.44 ng/ml), $GA_{15}$ (0.74 ng/ml), $GA_{19}$ (1.16 ng/ml), and $GA_{20}$ (0.98 ng/ml). The CF of MH7 produced higher amounts of $GA_3$, $GA_4$, $GA_7$, $GA_9$, and $GA_{12}$ than wild-type Fusarium fujikuroi, which was used as a control for GA production. The fungal isolate MH7 was later identified as a new strain of Penicillium on the basis of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188 rDNA sequence.

수족냉증 치료 표준화를 위한 델파이 연구 (A Delphi Study For Treatment Standardization of Coldness in hands and Feet)

  • 선승호;고호연;고승우;조윤영;신지혜;김태훈;최동준;이진무;장준복;정기용;송윤경;고성규;최유경;임은미;박종형;전찬용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1-140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reatment of coldness in hands and Feet by using Delphi survey. Method : This study was approved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s at Kyung Hee University. Self recording type delphi survey were sent by e-mail to 55 Korean medicine specialists (19 gynecologist, 36 internal medical doctors) who treat coldness in hands and Feet. And replies were analyzed. As this study is cross sectional study, simple descriptive analysis was applied. Results & Conclusion :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were mainly applied and extract (granule), pharmacopuncture, bee venom pharmacopuncture and cupping therapy were also added case by case. Treatment was done twice a weak for 4 months. Cupping therapy was done at GB21 and SI11. Bee venom pharmacopuncture and Kidney yang deficiency pharmacopuncture were applied at ST36, GB21, CV4 and LR3. As extract (granule) Ijungtang, Dangguisayeokgaosuyusaenggangtang and Dangguisayeoktang were mainly used and as herbal medicine formula Palmijihwangwon, Bojungikgitang, Ijungtang, Danggwisayeok-gaosuyusaenggangtang and Danggwisayeoktang were mainly prescribed. Comprehensive treatment of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 was considered to have more effective and more rapid result than single treatment of herbal medicine have.

지베렐린 도포와 폴리아민 살포에 의한 배 품질과 저장성의 변화 (Changes of Fruit Characteristics and storage by Gibberellin and Polyamine Treatment of Oriental Pear (Pyrus Pyriflia))

  • 최동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5-193
    • /
    • 2004
  • 배의 과경부에 지베렐린을 처리하면 과실비대에 효과는 있으나 저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시험은 지베렐린 처리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아민의 처리부위와 처리농도에 따른 과실의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품종은 '황금배', '영산배', '추황배'로 하여 제베렐린을 만개 30일 후에 처리하고 폴리아민을 수확 7일 전에 과총 엽과 수관에 100, 200, 500ppm으로 엽면살포 하였다. 지베렐린 처리에 의하여 과중은 모든 품종에서 $10\%$ 정도 커졌고 경도는 $0.3\~0.4kg/\phi5mm$만큼 낮아졌으나 당도와 식미는 차이가 없었다. 과경부의 형태적 특성은 지베렐린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수(髓, pith) 부분에서 내피세포까지의 거리와 내피에서 표피세포까지의 거리가평균 $42.0\%$신장되어 양 수분의 이동이 활발해지고 그에 따른 공급량이 많아져 과실의 무게가 비대해 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저장 30일 후 과실의 특성을 보면 '황금배'는 과총엽 살포의 스퍼미딘 200ppm이, 수관살포는 스퍼미딘 500ppm에서 과육의 경도가 높게 유지되어 식미가 양호하였다. '영산배'와 '추황배'도 비슷한 경향으로 주당 살포량이 적은 과총엽 200ppm살포처리가 저장성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제주(濟州) 자생(自生)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ura)의 기내(器內) 줄기 증식(增殖)을 위한 배양조건(培養條件) 구명(究明) (Study on the Various Conditions of In Vitro Culture for Mass-propagation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 정은주;김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2호
    • /
    • pp.184-189
    • /
    • 2001
  • 제주 자생 왕벚나무 동아에서 분화된 줄기를 이용하여 대량증식 하고자 기내배양조건을 구명하였다. 다섯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양호한 생장을 하여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sucrose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는 생장이 매우 저조하였다. BAP와 $GA_3$를 여러 농도로 처리한 결과 BAP 처리구에서 평균 3.5~9.5개의 줄기가 유도되었다. 그러나 BAP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줄기의 길이생장은 저조하였다. $GA_3$ 단독 처리구에서는 줄기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BAP와 혼용처리 하였을 때 BAP 단독 처리구보다 더 많은 줄기가 발생하였으며, 길이 생장도 양호하였다. 그 중 BAP $0.5mg/{\ell}$$GA_3$ $4.0mg/{\ell}$ 조합에서 가장 많은 줄기가 발생하였다.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줄기형성은 많아졌으나 12주간 배양된 줄기는 정단부가 고사하였다. 배양 8주째 양호한 줄기를 다량으로 얻을 수 있었다.

  • PDF

Cu(In,Ga)Se2 박막의 저온 성장 및 NaF 후속처리를 통한 태양전지 셀 특성 연구 (Low-temperature Growth of Cu(In,Ga)Se2 Thin Film and NaF Post Deposition Treatment for Cu(In,Ga)Se2 Solar Cells)

  • 김승태;정광선;윤재호;박병국;안병태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21-26
    • /
    • 2015
  • High efficiency $Cu(In,Ga)Se_2$ solar cells are generally prepared above $500^{\circ}C$. Lowering the process temperature can allow wider selection of substrate material and process window. In this paper, the three-stage co-evaporation process widely used to grow CIGS thin film at high temperature was modified to reduce the maximum substrate temperature. Below $400^{\circ}C$ the CIGS films show poor crystal growth and lower solar cell performance, in spite of external Na doping by NaF. As a new approach, Cu source instead of Cu with Se in the second stage was applied on the $(In,Ga)_2Se_3$ precursor at $400^{\circ}C$ and achieved a better crystal growth. The distribution of Ga in the films produce by new method were investigated and solar cells were fabricated using these films.

규소, 질소, 칼슘 단독 및 혼합처리가 벼 식물체 내 무기성분 흡수 및 식물호르몬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Mineral Uptake and Hormone Concentrations in Rice Plants Treated with Silicon, Nitrogen and Calcium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장수원;김윤하;나채인;이인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293-303
    • /
    • 2017
  • 벼 식물체에 규소, 질소, 칼슘을 단독 및 혼합 처리할 경우 무기이온의 흡수와 식물호르몬 $GA_1$과 JA 함량변화에 미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질소와 칼슘이온은 규소처리에 의해 흡수가 억제된 것으로 조사됐고, 마그네슘 함량은 규소, 질소, 칼슘 단독 및 혼합처리에서 무처리보다 증가하였다. 2. 식물호르몬 ABA의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3. 식물호르몬 $GA_1$의 함량은 질소와 규소 혼합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질소 단독처리 규소 단독처리 순으로 높았다. 반면 칼슘 단독처리 및 칼슘과 규소 혼합처리에서 $GA_1$함량은 차이가 없었고, 이러한 결과는 규소, 질소 및 칼슘 처리 후 12시간 및 24시간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4. 규소, 질소, 칼슘 단독 및 혼합처리 후 6시간 뒤 식물호르몬 JA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무처리보다 증가하였고, 특히 규소와 질소 혼합처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처리 후 12시간과 24시간 후 조사에서는 칼슘 단독처리에서 JA 함량이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고, 이외의 처리에서는 무처리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