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h2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3초

마우스에서 Cisplatin과 방사선조사로 유발된 구내염에 대한 재조합 표피성장인자의 효과 (The Effect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on Cisplatin and Radiotherapy Induced Oral Mucositis in Mice)

  • 나재범;김혜정;채규영;이상욱;이강규;장기철;최병옥;장홍석;정배권;강기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242-248
    • /
    • 2007
  • 목적: 마우스 모델에서 cisplatin과 방사선조사로 구내염을 유발시킨 후 재조합 표피성장인자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을 처치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마우스 24마리를 대상으로 정상대조군 8마리와 실험군은 각각 rhEGF 처치군과 미처치군으로 8마리씩 분류하였으며 실험군은 10 mg/kg의 cisplatin을 방사선조사 첫날 동시에 1회 복강 내 투여하였고, 방사선조사는 5일간 1회 5 Gy씩, 5일간 25 Gy를 조사하였다. RhEGF 처치군은 방사선조사 2일 전부터 2일간 1 mg/kg의 rhEGF를 피하주사하였으며 방사선조사3일째부터 3일간 1 mg/kg를 피하주사하여 총 5 mg/kg의 rhEGF를 투여하였다. 마우스의 체중변화, 먹이섭취 및 조직학적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 과: 마우스 체중변화는 rhEG F처치군이 실험 3일째부터 5일간 rhEGF 미처치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체중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먹이섭취는 실험군(rhEGF 처치군과 미처치군)에서 실험 5일째까지 감소하였다가 13일째부터 먹이섭취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Cisplatin과 방사선조사 후 7일째의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rhEGF 처치군에서 마우스의 점막 표피층의 변성이 관찰되었으나 rhEGF 미처치군에서는 점막층의 염증 반응이 관찰되었다. 결 론: Cisplatin과 방사선 조사로 마우스에서 발생한 구내염에서 rhEGF를 투여한 경우 체중 변화와 먹이섭취의 유의한 개선을 관찰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에서 점막 손상의 회복을 확인하였다. 향후 임상적으로 rhEGF가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로 인한 구내염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값은 11개월이었고 2년, 3년 생존율은 31.5%, 15.8%였다. 결 론: 2기 췌장암 환자들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국소 제어율 및 전체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 수술 후 효과적인 방사선치료의 적극적인 시행 및 이후의 보조적인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권고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 검사는 모두 제조사의 시험지침서에 부합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는 본 GE $Advance^{TM}$ PET 시스템이 임상에의 적용에 적합함을 보여주었다.mens사의 상용 분석 프로그램에는 해당 기능이 없어 계산값의 비교를 통한 검증은 수행하지 못하였고, 수화(hydration)와 탈수(dehydration) 각각의 조건에 따른 신장기능 분석에 적용하였을 때, 판별 기준이 되는 유의미한 값을 산출하여 타당성 검증을 대신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핵의학 영상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신장기능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장 기능을 분석한 결과, 타당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이 개발 프로그램은 좀 더 다양한 임상응용 목적의 분석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개발, 추가하기가 용이하여 기존 상용 프로그램보다 연구적 활용범위가 크다고 사료된다.2.2{\pm}0.4\;(1.6{\sim}3.2){\mu}g/ml$와 $1.4{\pm}0.2\;(0.8{\sim}1.6){\mu}g/ml$로서(p=0.16), 표준균주 3종 모두에서 Infecton의 MBC 또한 ciprofloxacin에 비해 $2{\sim}4$배가 높았다. 결론: Tc-99m Infecton은 ciprofloxacin 보다는 약하였지만 표준균주에 대해 생체외 항균력을 보였다.를

전기응집/부상 공정을 이용한 염료 처리에 중심합성설계와 반응표면분석법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the Treatment of Dye using Electrocoagulation/flotation Process)

  • 김동석;박영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5-43
    • /
    • 2010
  • This experimental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have been applied to the investigation of the electrocoagulation/flotation of dye wastewater. The electrocoagulation/flotation reactions were mathematically described as a function of parameters current (A), NaCl concentration (B), initial RhB concentration (C) and time (D) being modeled by use of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The application of RSM using the CCD yielded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which i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hB removal (%) and test variables in RhB removal (%) = $-300.42+129.21{\cdot}Current+46.99{\cdot}NaCl-0.11{\cdot}RhB-+43.71{\cdot}Time-5.67{\cdot}Current{\cdot}NaCl-3.18{\cdot}Current{\cdot}Time-2.41{\cdot}NaCl{\cdot}Time-19.79{\cdot}Current^2-2.27{\cdot}NaCl^2-1.59{\cdot}Time^2$. the model predictions agreed well with the experimentally observed result ($R^{2}=0.9728$). The estimated ridge of maximum response and optimal conditions for RhB removal (%) using canonical analysis was 99.4% (A: 1,77 A, NaCl concentration: 2.23 g/L, RhB concentration: 56.12 mg/L, Time: 9.98 min). To confirm this optimum condition, three addition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RhB removal (%) were within range of 86.87% (95% PI low)~111.93% (95% PI high) obtained.

DA-3030(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의 정맥, 근육 또는 피하주사시 실험동물에서의 약물동력 학 및 조직 분포 (Pharmacokinetics and Tissue Distribution of DA-3030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after Intravenous, Intramuscular 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s to the Laboratory Animals.)

  • 이응두;심현주;이종진;이상득;강수형;김원배;양중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권4호
    • /
    • pp.310-315
    • /
    • 1994
  • The pharmacokinetics and tissue distribution of DA-3030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rhG-CSF, recently manufactured by Dong-A research laboratory of Dong-A Pharmaceutical Company) were compared with reported data in the literature. After intravenous(i.v.) administration of DA-3030, at dose of 5, 10 and 100 $\mu\textrm{g}$/kg to rats, som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terminal half-lives(1.05, 1.19 and 1.83 hr, respectively) and clearance (84.0, 54.8 and 45.5 mι/hr/kg, repectively), were dose-dependent. This could be due to the saturable metabolism of DA-3030 in rats. Similar results were also reported. After subcutaneous(s.c.) and intramuscular(i.m.) administrations of DA-3030, 10 $\mu\textrm{g}$/kg to rats, the extent of bioavailability(absolute bioavailability) were incomplete; the values were 23.3 and 18.2% after s.c. and i.m. injections, respectively, due to the degradation of DA-3030 by protease. After 7-consecutive day i.v. administrations of DA-3030, 10 $\mu\textrm{g}$/kg/day, to rats, the plasma concentrations and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DA-303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single administration. In mice and dogs at DA-3030 dose of 10 $\mu\textrm{g}$/kg,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DA-3030 were also declined rapidly with terminal half-lives of 1.31 and 1.15 hr, respectively. DA-3030 was highly concentrated in the kidney after i.v. administration of DA-3030, 10 $\mu\textrm{g}$/kg, to rats, and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btained using radiolabelled rhG-CSF in the literature. Above data indicate that DA-3030 has similar properties to rhG-CSF manufactured by other companies in view of pharmacokinetics.

  • PDF

Studies of Opsin Genes in a Smelt Fish, Ayu (Plecoglossus altivelis)

  • Minamoto, Toshifumi;Shimizu, Isamu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269-271
    • /
    • 2002
  • To investigate the visual and extra-ocular photoreception, we cloned the opsin genes in ayu (Plecoglossus allivelis). Amplified fragments encoding exon-4 (-5) of opsin cDNAs were cloned from the retina and brains of ayu, and sequenced. One clone was identified as rod (AYU-Rh), two as green cone (AYU-GI, -G2), one as red cone (A YU-R), two as ultraviolet cone (AYU-UVl, UV2), one as VA (AYU-VA), and one as extra-ocular rod (AYU-ExoRh) opsins. 335 amino acids sequence deduced from the full-length cDNA of AYU-Rh showed high identity with that of other fish. Southern blotting analysis indicated that ayu possess two 'rhodopsin' genes, one is visual rhodopsin and the other is non-visual extra-ocular rhodopsin. In situ hybridization showed that the mRNA of AYU-Rh was localized only in rod cells in the retina. On the other hands, AYU-ExoRh was expressed only in the pineal. We cloned two isoforms (AYU-VAM and -VAL) of VA opsin from ayu.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se variants were identical to each other within the first 342 residues, but they showed divergence in the C-terminal sequence. AYU- VAL corresponded to the long isoform found in other fish, and AYU-VAM was identified as a new type of VA opsin variant. Pal-VAM is a new probably functional non-visual photoreceptive molecule in fish.

  • PDF

Dopaminergic Regulation of Gonadotropin-II Secretion in Testosterone-treated Precocious Male and Immatur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Kim, Dae-Jung;Aida, Katsum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3호
    • /
    • pp.287-292
    • /
    • 2000
  • The present work examined the role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d dopaminergic drugs on the secretion of maturational gonadotropin (GTH II) in relation to testosterone m treatment.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plasma GTH II levels are increased by T treatment in precocious males, but not in the immature animal. In addition, GnRH analogue (GnRHa) alon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lasma GTH II secretion in immature rainbow trout treated with T, as well as in T-treated and T-untreated precocious males. However, injection with either dopamine (DA) or domperidone (DOM; DA D2 receptor antagonist) alone did not alter the basal plasma GTH 11 secretion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e secretion of GTH II in the T-treated precocious males was remarkably influenced by GnRHa or combination of dopaminergic drugs. Notably, the effects of dopaminergic drugs on GnRHa-induced GTH II secretion w8s prolonged by T in precocious males. In T-treated immature animals, GnRHa-induced GTH II secretion was Increased only by a dose DOM (10$\mu$g/g body n) but not by higher dose DOM (100$\mu$/g body wt). In the T-untreated immature rainbow trout, however, plasma GTH 11 secretion was not influenced by the same treatment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 may be acting indirectly by blocking the effect of GnRH on GTH II secretion in vivo. T may act to modulate the relative contribution by the stimulatory (GnRH) and inhibitory (DA) neuroendocrine factors, which would ultimately determine the pattern of GTH II secretion.

  • PDF

쥬라기 화강암류에서 발달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ft, Grain and Hardway Planes in Jurassic Granites, Korea)

  • 박덕원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3호
    • /
    • pp.273-291
    • /
    • 2020
  • 화강암 석산에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으로 알려진 세 직교하는 분할면의 강도 특성을 검토하였다. R, G 및 H 공시체는 거창 및 합천 지역에서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블럭 샘플로부터 획득하였다. 이들 세 공시체의 장축의 방향은 세 면 각각에 수직이다. 세 면에 대한 판별에 유용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R, G 및 H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와 관련된 세 그래프의 스케일링 특성을 보여 주는 도면을 작성하였다. 강도의 증가에 따라 세 공시체의 그래프는 H < G < R의 순으로 배열한다. 공시체 내부의 조직균일도를 지시하는 세 공시체에 대한 그래프의 경사각을 비교하였다. H 공시체(θH, 24.0°~37.3°)에 대한 상기한 각이 세 공시체 중에서 가장 낮다. 둘째, 두 공시체의 평균압축강도의 조합을 나타내는 RG, GH 및 RH 공시체의 세 그래프와 관련된 스케일링 특성을 도출하였다.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이들 세 그래프는 GH < RH < RG의 순으로 배열한다. 섯째, 강도차(Δσt)와 경사각(θ) 사이의 상관도를 작성하였다. 위의 두 파라미터는 -0.003의 지수(λ)를 갖는 지수함수의 상관성을 보여 준다. 두 화강암에서, RH-그래프의 경사각(θRH)이 가장 낮다. 넷째, 세 공시체에 대한 세 종류의 압축강도 그리고 각 공시체에 가해진 압축하중에 평행 배열하는 두 조의 미세균열에 대한 다섯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 관계를 보여 주는 여섯 유형의 도면을 작성하였다. 거창 및 합천화강암에 대한 이들 도면으로부터, 빈도수(N, 0.872) 및 밀도(ρ, 0.874)와 함께 총 길이(Lt)에 대한 상관계수(R2)의 평균값(0.877)이 가장 높다. 또한, 세 공시체의 최소(0.768) 및 최대(0.804)의 압축강도에 비하여 평균압축강도와 관련된 상관계수의 값(0.829)이 보다 높다. 다섯째, 거창화강암의 세 공시체에서 발달된 상기의 두 조의 미세균열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한 압열인장강도의 분포 특성을 도출하였다. 관련 도면으로부터, R, G 및 H 공시체에 해당하는 이들 인장강도에 대한 세 그래프는 H(R1+G1) < G(R2+H1) < R(R1+G1)의 순을 보여 준다. 인장강도에 대한 세 그래프의 배열순과 압축강도에 대한 세 그래프의 배열순과 상호 부합한다. 따라서, 세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상기한 세 유형의 인장강도와 상호 비례한다. 여섯째, 상기한 세 그래프에서 도출한 각 누적수(N=1~10)에 해당하는 세 인장강도 그리고 각 그래프에 해당하는 다섯 파라미터의 값 사이의 상관 계수를 도출하였다. 10개의 상관도에서 도출한 각 파라미터에 대한 상관 계수의 평균값은 밀도(0.763) < 총 길이(0.817) < 빈도수(0.839) < 평균 길이(Lm, 0.901) ≤ 중앙 길이(Lmed, 0.903)의 순으로 증가한다. 일곱째, 세 공시체에 대한 일축압축강도 그리고 압열인장강도 사이의 상관도를 작성하였다. 상기한 상관도는 세 종류의 압축강도 그리고 다섯 그룹(A~E)의 인장강도를 근거로 아홉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관련 도면으로부터, 최소압축강도를 제외한 평균 및 최대압축강도와 함께 인장강도가 증가할수록, 상관계수의 값은 급격하게 증가한다.

프로바이오틱 균주에 의한 인삼 잎 추출물 발효공정 확립 및 생성물의 품질 특성분석 (Development of Fermentation Process of Ginseng Leaf Extraction Probiotic Strain and Characterization of Product Quality)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13-1223
    • /
    • 2018
  • 본 연구는 인삼 잎의 이용증대를 위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인삼 잎의 잔류농약 추출효과와 발효 인삼 잎의 ginsenoside 유용 유도체의 전환 검토 및 품질 특성을 분석 하였다. 인삼 잎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와 azoxystrobin을 microwave로 추출하기 위한 용매는 hexane이 가장 효율적 이었다. tolclofos-methyl와 azoxystrobin이 잔류되어 있는 인삼 잎에서의 microwave를 이용한 추출 최적 조건은 power 50~95 watts, 추출용매는 hexane, 추출시간은 3분으로 나타났다. 인삼 잎 추출물의 발효에서 발효전과 비교하여 $Rg_1$$Rb_1$은 감소한 반면 $Rh_1$, $Rg_3$, $Rk_1$$Rh_2$는 발효 후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홍삼에서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Rg_3$의 경우 발효전 $2.77{\mu}g/g$에서 발효 후 균주의 종류에 따라 $70.62{\sim}77.61{\mu}g/g$으로 증가하였다. 7일간 발효 후 인삼 잎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전자공여능은 일부 균주에서는 발효전과 비교하여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펜톤-유사 반응과 광-펜톤-유사 반응을 이용한 염료의 탈색 비교

  • 박영식;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53-356
    • /
    • 2006
  • 펜톤-유사 반응의 최척 철 입자 양과 $H_2O_2$ 주입 량은 각각 25 g/L, 60 mmol로 나타났고, 광-펜톤-유사 반응의 최적 철 입자 양과 $H_2O_2$ 양은 각각 0.25 g/L 와 0.625 mmol로 나타나 철 입자 양은 100배, $H_2O_2$ 양은 96배 차이나 펜톤-유사 반응의 경우 다량의 철 입자와 $H_2O_2$ 소비로 인해 RhB의 탈색반응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UV를 함께 적용한 광-펜톤-유사 반응의 경우 철 입자 양과 $H_2O_2$ 양이 적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RhB의 완전한 탈색을 위해서는 적절한 UV 등 전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젖소에서 일련의 Presynch-Ovsynch-Resynch Protocol을 이용한 번식관리 예 (Programmed Reproductive Management Including Presynch-Ovsynch-Resynch Protocol in Dairy Cows)

  • 김일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7-401
    • /
    • 2010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 programmed reproductive management including Presynch-Ovsynch-Resynch protocol in lactating dairy cows. Nine hundred and thirty four cows calved during February to May 2008 were used for this study. Cows received im injections of 25 mg $PGF_{2{\alpha}}$ at $45{\pm}3$ and $59{\pm}3$ days in milk (DIM). Fourteen days later, Ovsynch was initiated with an im injection of $100\;{\mu}g$ GnRH ($73{\pm}3$ DIM), 25 mg $PGF_{2{\alpha}}$ 7 days later ($80{\pm}3$ DIM), $100\;{\mu}g$ GnRH 56 h later and timed artificial insemination (TAI) 16 h after the GnRH injection. Cows showed estrus during the Presynch-Ovsynch, were inseminated artificially according to am-pm rule. Pregnancy was determined on 32 days after AI using ultrasonography. Cows diagnosed pregnant were re-examined for pregnancy by rectal palpation at 60 days after AI. Non-pregnant cows were resynchronized by receiving $100\;{\mu}g$ GnRH, 25 mg $PGF_{2{\alpha}}$ 7 days later, $100\;{\mu}g$ GnRH 56 h later and TAI 16 h after. Cows with estrus since the first AI before the completion of Resynch protocol were also inseminated artificially according to am-pm rule. Pregnancy was determined by the same manner as following the first AI. Fifty five percents of the cows treated showed estrus and received AI before completion of the Presynch-Ovsynch protocol, while 45% received TAI, regardless of estrus exhibition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protocol. The pregnancy rate following the first AI was higher in cows that showed estrus and received AI (43.3 and 38.5%) during the Presynch-Ovsynch than cows with TAI (34.6 and 29.6%) on 32 and 60 days after AI (P < 0.01). Sixty six percents of cows diagnosed non-pregnant following the first AI showed estrus before the completion of Resynch protocol and received AI, while 34% received TAI, regardless of estrus exhibition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protocol. The pregnancy rate following the second AI was higher in cows that showed estrus before the completion of Resynch protocol and received AI (40.2 and 36.8%) than cows with TAI (21.2 and 18.2%) on 32 and 60 days after AI (P < 0.01). The cumulative pregnancy rates following the first and second AIs were 60.8 and 53.9% on 32 and 60 days after AI, respectively. These data suggest that inclusion of Presynch-Ovsynch-Resynch protocol and estrus detection into the programmed reproductive management might be an alternative option to control dairy cattle breeding.

Effect of Using Progesterone Releasing Intravaginal Device with Ovsynch Program on Reproduction in Dairy Cattle during Summer Season

  • Alnimer, M.;Lubbadeh, 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9호
    • /
    • pp.1268-1273
    • /
    • 2003
  • Sixty postpartum lactating Friesian cows in 3 treatments at a commercial dairy farm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using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with GnRH and PGF2$\alpha$ synchronization with and without timed AI on fertility during summer. Cows in treatment1($Tr_1$) and treatment2 ($Tr_1$) were fitted with progesterone releasing intravaginal device (PRID) device and injected with 10 g GnRH agonist on $51{\pm}3$ d postpartum (pp). Seven days later, PRID was removed and cows received 25 mg PGF2$\alpha$. Two days later, $Tr_1$ cows received another injection of 10 g GnRH and timed AI 16-20 h later. Control cows received only 25 mg PGF2$\alpha$ $58{\pm}3d\;pp$. $Tr_2$ and control cows were AI at detected estrus. Serum progesterone for all cows was determined on days of injection, AI and 21, 23 and 28 d postinsemination. Pregnancy rates from first AI based on serum P4 concentrations on d 21, 23 and 28 postinsemination (50, 40 and 35%) and that based on rectal palpation 40-45 d postinsemination (30, 15 and 15% for $Tr_1$, $Tr_2$ and control cows, respectively) did not differ among the three groups. Whereas, pregnancy rate at 120 d pp for $Tr_1$ (65%) was higher (p<0.05) than that in $Tr_2$ (30%) or control (30%). The overall pregnancy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90, 90 and 75% for $Tr_1$, $Tr_2$ and control, respectively). Days open for cows in $Tr_1$ ($100.3{\pm}9$) was less (p<0.03) than that in $Tr_2$ ($130.9{\pm}9$) or control ($135.1{\pm}10$). Results indicate that using PRID device with Ovsynch program had significantly increased pregnancy rate and decreased days open compared to AI at detected estrus after synchronization with GnRH, PRID and PGF2$\alpha$ or synchronization with one injection of PGF2$\alp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