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times$E

검색결과 1,565건 처리시간 0.028초

Line X Tester Analysis for Economic Characters in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 Naseema Begum;A.S.K. Bhargava;M.M. Ahsan;R.K. Datta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05-209
    • /
    • 1997
  • In a line X tester crossing programme (24 lines 2 testers) the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effects were analyzed for five economic characters in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The results showed desired GCA effects in 934D1 (9500), 934B (9789) and 934A1 (9855) for cocoon yield per 10,000 larvae brushed by number. Likewise, the lines found to be superior based on GCA effects for other characters were as follows; 931D (14.040 Kgs), 935E (17.023 Kga.), 934D1 (15.643 Kgs.) and 934B (15.687 Kgs.) for cocoon yield by weight: 931D (1.717 g) and 930E (1.796 g) for single cocoon weight; 932B (0.330 g) for single shell weight: 931D (1.717 g) and 930e (1.796 g) for single cocoon weight; 932B (0.330 g) for single shell weight; 932B (18.7%), 933A (18.86%) and 935A (19.89%) for shell ratio. SCA effects showed the superiority of 932D$\times$KA (9822 cocoon yield per 10,000 larvae brushed by number); 932A$\times$NB4D2 (16.933 Kgs. cocoon yield per 10,000 larvae brushed by weight); 931C$\times$KA (1.911 g single cocoon weight); 934$\times$NB4D2 (0.371 g single shell weight and 21.0% shell ratio). The analysis indicated non-additive gene action for all the five characters.

  • PDF

시판 냉동식품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Commercial Frozen Foods)

  • 박선희;김경식;유영아;이재규;정성국;한기영;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2-128
    • /
    • 2010
  • 2009년 4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 관리팀에 의뢰된 냉동식품 100건을 대상으로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대장균과 장구균의 오염도를 조사였으며, 분리된 장구균을 대상으로 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4CFU/g$ 이고 대장균군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3CFU/g$ 이고 대장균은 100건 모두에서 불검출되어 0.0%의 검출률을 보였다. 100건의 검체 중 총 22건에서 장구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가운데 12주는 E. faecium, 7주는 E. faecalis, 2주는 E. gallinarum, 1주는 E. hirae이었다. 분리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을 검사 한 결과,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은 erythroycin, rifampin, teracycline ciprofloxacin, chlorampenicol, penicillin이며, vancomycin, ampicillin, gentamicin, strepomycin, linezolid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이었다. 또 22건의 분리 균주 중에서 2종 이상의 항생제에 다제 내성을 나타낸 균주가 15주나 되며 가장 많은 형태로는 6균주의 장구균에서 나타난 E-RA에 대한 것이었다.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Some Three-Way Cross Hybrid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Singh, Tribhu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2호
    • /
    • pp.153-155
    • /
    • 2001
  • Eight new three-way cross heterozygotic hybrid genotypes of the mulberry silkworm Bombyx mori, resulted from hybridization of multivoltine as female and bivoltine Fl hybrid as male component, have been evaluated for the cumulative effect of nine traits of commercial economic importance with the objective of selecting out the most prospective ones for their exploitation as an intermediate technology during unfavorable season. Five of them namely, G(P5${\times}$NBl8) (E.I. =57.23); S(NB18${\times}$P5) (E.I. : 55.48); S(P5${\times}$NBl8) (E.I. = 52.44); S(KBN${\times}$B7) (E.I. = 50.42) and S(NB7${\times}$KB) (E.I. : 50.16) have scored higher values of the Evaluation Index (E.I.) and could be selected in the same order for exploitation during unfavorable seasons in tropical climates.

  • PDF

간암세포 (HepG2 Cell)에서의 식이성 CLA(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항동맥경화성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A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he Anti-Atherosclerotic actors in Human Hepatoma HepG2 Cells)

  • 오현희;문희정;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3호
    • /
    • pp.182-192
    • /
    • 2004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 the mixture of positional and geometric isomers of linoleic acid (LA), which is found abundantly in dairy products and mea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carcinogenic effect of CLA in HepG2 hepatoma cells. HepG2 cell were treated with LA and CLA at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10, 20, 40, 80 uM each at different incubation times. After each incubation times, cell proliferation, fatty acids incorporation into cell, peroxidation and postaglandin E$_2$ (PGE$_2$) and thromboxane $A_2$ (TXA$_2$) for the eicosanoid metabolism were measured. LA treated HepG2 cells were increased cell growth 6 - 70% of control whereas CLA increased cell death the half of those in LA group (p 〈 0.001). LA and CLA were incorporated very well into the cellular membranes four times higher than in control according to concentration and longer incubation times. Moreover, LA synthesized significantly arachidonic acids corresponding with LA concentration compared to CLA supplementation. The supplementation with LA increased intracellular lipid peroxides concentration corresponding with LA concentration and five times higher than those in CLA significantly at any incubation times (p 〈 0.001). PGE$_2$ and TXA$_2$ levels were three to twenty times lower in condition of CLA treatments than LA, respectively. Overall, the dietary CLA might change the HepG2 cell growth by the changes of cell composition, production of lipid peroxide. Since CLA have not changed the levels of arachidonic acid of cell membrane, which was sources of eicosanoids, eicosanoid synthesis was not increased in CLA compared to LA. Our results was suggest CLA has a possibility to protect the progress of atherosclerosis because CLA does not produce lipid production and endothelial contraction factors in liver.

노랑털깔따구(Chironomus flaviplumus) 성충의 알레르기 항원단백 분석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lergens of Chironomus fkavuoynys adults (Chironomidae, Diptera) in mice)

  • 이한일;이상화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35-48
    • /
    • 1996
  • 국내 우점종인 노랑털깔따구(Chironomus flaviplumus) 성충의 조항원을 제조하여 IgE 항체에 관여하는 주 항원 단백질을 찾아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랑털깔따구 성충의 조항원을 마우스에 $1{\;}\mu\textrm{g}$$10{\;}\mu\textrm{g}$으로 각각 3회씩 면역시킨 결과 ELISA와 PCA 반응시험에서 모두 $1{\;}\mu\textrm{g}$ 면 역군 중 9주째 얻은 혈청에서 가장 높은 깔따구-특이-IgE 항체를 얻을 수 있었다. 노랑털깔따구 성충의 조항원을 SDS-PAGE로 전기영동하여 16-18개의 단백질 구획을 얻었고 이를 chemiluminescent substrate를 이용하여 면역이적법을 시행한 결과 65 kDa에서 강한 단백질 구획이 52 35 및 25 kDa에서 약한 단백질 구획이 관찰되었다. 깔따구 조항원을 전기영동한 겔을 30개 절편으로 절단하여 추출한 각각의 단백질 분획을 P-K 피부반응검사한 결과, 65, 52 및 35 kDa 부위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여 항원성이 확인되었고, 25 kDa 부위에서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면역이적법에서 관찰하지 못한 15 kDa 부위의 단백질에서도 높은 P-Ktiter값을 보여 15 kDa 단백질도 항원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국내 우점종인 노랑털깔따구 성충이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 항원으로 작용하며 주항원 단백질은 15, 35, 52 및 65 kDa의 4개이고 이중 65 kDa 단백질이 가장 강한 allergen으로 관찰되었다.

  • PDF

보리차의 추출 조작 관련 물성에 관하여 (Physical Properties and Rheology Effecting on Barley Tea Extraction)

  • 박상기;전재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1-68
    • /
    • 1991
  • In order to study the extraction mechanism of barley tea, some factors affecting extra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roasted barley and extract were examin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roasted barley particles used as the raw materials were amorphous. Under the extraction condition used the average swelling ratio of the particles and imbibed volume were 1. 3g and 1.65ml/g respectively. The maximum soluble solid content in the roasted barley was 67.07%. 2. The concentrations of the barley extract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ir optical densitis at 420n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C) and optical density(O. D.) was expressed as : C=6, 178XO. D. As shown in the following relationship, the viscosities(u: Ns/m2) of barley extracts were Influenced by concentration(C : kg/m3) and temperature(T : C). $\mu$=5.6731$\times$$10^{-4}e^{2.7}^{\times10^{{-3}\times{C}}$$\mu$=3.577$\times$$10^{-3}e^{{-3.02}\times{10^{-2}\times{T}}$

  • PDF

고강도 광원을 이용한 새싹 채소의 살균 (Sterilization of Rapeseed Sprouts by Intense Pulsed Light Treatment)

  • 박희란;차경희;신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6-41
    • /
    • 2016
  • 비가열 살균 기술 중 하나인 광펄스 기술을 이용하여 신선편이 식품 중 하나인 새싹채소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새싹 채소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오염도는 총균수 $1.2{\times}10^7CFU/g$, 대장균군 $3.3{\times}10^6CFU/g$,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및 Listeria는 각각 $2.1{\times}10^5CFU/g$, $4.9{\times}10^5CFU/g$, $1.7{\times}10^5CFU/g$, $4.3{\times}10^4CFU/g$이었다. 펄스 수 5 pps, 광원과 시료 사이의 거리 6.7 cm의 동일한 조건에서 빛의 세기를 달리하여 처리하였을 경우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사멸율은 증가하였으며, 빛의 세기 1000 V에서 일반세균은 1.0 log CFU/g, 대장균군은 1.6 log CFU/g, 병원성 대장균은 1.8 log CFU/g의 사멸율을 보였다. 광원과 시료 사이의 거리에 따른 사멸효과는 거리가 짧을수록 사멸율은 증가하여, 광원과 시료 사이의 거리 6.7 cm, 빛의 세기 1000 V, 펄스 수 5 pps에서 일반세균 0.9 log CFU/g, 대장균군 0.8 log CFU/g, 병원성대장균 1.9 log CFU/g의 사멸율을 나타내었다. 광펄스 처리 전후 새싹채소의 수분함량과 비타민 C의 함량변화는 처리 후의 시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새싹채소의 살균에 있어 광펄스 기술은 처리 조건에 따라 90-99%의 사멸율을 나타내어 신선편이 식품의 비가열 살균 기술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찰벼의 찰기에 대한 유전적 효과와 환경의 상호작용 (Genotype-by-Environment Interaction for Stickiness of Rice Cakes Using Glutinous Rice Cultivars in Different Environments)

  • 윤미라;이정희;조준현;양창인;이점식;곽지은;안억근;김미정;김선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17-32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찰벼의 찰기에 대한 유전적 효과와 환경적 변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6개 환경 조건에서 6종 찰벼 품종을 이용하여 찰기에 대한 유전자와 환경의 (Genotype-by-Environment, $G{\times}E$) 상호작용 분석을 하였다. AMMI 분석모델에 의한 환경(재배지역, E), 유전자(품종, G), 유전자와 환경 상호 작용($G{\times}E$) 효과 모두에서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P<0.001). 찰기에 대한 전체 변이중에서 환경효과는 24.5%, 유전적 효과는 37.1%, 상호작용 효과는 28.9%이었다.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 분석에서 아랑향찰(G6, IPCA1: 3.85) 및 화선찰(G4, IPCA: -5.24)는 다른 품종보다 IPCA1 값이 낮아 환경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낮았고, 유전자 효과가 높은 품종들이었다. 반면, 상주찰(G1, IPCA1: -61.23) 및 보석찰(G2, IPCA1: 41.21)은 IPCA1 값이 높아 환경의 효과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 품종이었다. 따라서 이들 품종들은 환경 특이적 특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본 시험의 결과 찰벼 품종을 이용한 찰떡의 찰기는 지역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찰벼의 품종 육성 단계에서 지역별 찹쌀 수량, 병해충 등 재배 안정성 뿐만 아니라 찰벼의 이용목적인 찰기에 대한 안정성도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밥쌀용 품종의 식미를 높이기 위한 적합한 환경조건에 대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찰벼의 찰기를 높일 수 있는 환경조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구.경북지역 초등학교 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제조.가공단계별 미생물 평가 (Microbiological Safety During Processing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 김윤화;류경;이연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2호
    • /
    • pp.152-16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during processing. For this purpose, fifteen food ingredients and twelve factories were chosen in the provinces of Daegu and Gyeongbuk.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 counts were reduced in the ingredients after washing, but they increased after packing. After packing, the following levels of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s were detected, respectively: peeled bellflower roots ($1.2{\sim}3.6{\times}10^6$, $3.1{\sim}4.6{\times}10^5$ CFU/g), blanched vegetables ($5.6{\times}10^3{\sim}2.0{\times}10^5$, <5~$1.5{\times}10^4$ CFU/g), soybean curd (<5~$5.4{\times}10^3$, <5~$2.2{\times}10^3$ CFU/g), buckwheat starch jelly (<5, <5 CFU/g), soybean sprouts ($1.2{\times}10^6{\sim}1.8{\times}10^7$, $2.4{\times}10^5{\sim}4.3{\times}10^6$ CFU/g), mackerel ($2.2{\times}10^2$, $1.3{\times}10^2$ CFU/g), chicken ($3.8{\times}10^4$, $6.7{\times}10^2$ CFU/g), pork ($6.7{\times}10^2$, <5 CFU/g), and beef ($9.4{\times}10^2{\sim}5.2{\times}10^4$, <5~$2.1{\times}10^3$ CFU/g). Generally,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food ingredients was better during the processing stage than during the other stages, with the exception of packing.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and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small amounts on the peeled bellflower roots, chicken, and pork,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eled bellflower roots, chicken, and pork need to be sanitized at the washing stage and cross contamination must be prevented at the packing stage.

  • PDF

식품(食品)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조사연구(調査硏究) - 시판(市販) 쥐치포의 미생물(微生物) 분포(分布) - (Microbiological Studies of Foods - Microbial Load and Microflora of Dried File Fish Fillet -)

  • 유진영;정동효;김준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85
  • 시판(市販)되고 있는 쥐치포의 미생물(微生物) 오염도(汚染度)를 조사(調査)하고 流通中(유통중) 衛生管理(위생관리)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3회(回)에 걸쳐 수집한 후 오염지표균(汚染指標菌) 및 유해세균(有害細菌)의 존재(存在)를 검사(檢査)하고 microflora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호기성(好氣性) 중온균(中溫菌), 일반대장균군(一般大腸菌群), 분별성 대장균군(大腸菌群), Enterobacteriaceae 및 분변성 Streptococci의 오염도(汚染度)가 각각(各各) $3.5{\times}10^3{\sim}1.1{\times}10^8CFU/g$, $2.3{\sim}4.6{\times}10^5MPN/g$, $2.3{\sim}1.1{\times}10^5MPN/g$, $3.0{\times}10{\sim}4.4{\times}10^5CFU/g$$1.6{\times}10^2{\sim}7.6{\times}10^6CFU/g$이었다. microflora에 있어서는 호기성(好氣性) 중온균(中溫菌)의 경우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hemolyticus, Micrococcus varians, M. luteus 및 Streptococcus cremoris가, Enterobacteriaceae의 경우 E. coli와 Proteus rettgeri, 분변성 Streptococci는 Sc. faecium과 S. avium이 구성 미생물(微生物)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