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rcata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불등풀가사리 다당류의 분자량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wrinkle effect of polysaccharide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from Gloiopeltis furcata)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88-696
    • /
    • 2017
  • 본 연구는 불등풀가사리로부터 분리된 조다당류와 산가수분해된 다당류의 분자량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산가수분해 분자량별 다당류의 수율은 100 kDa 이상에서 29.6%로 가장 높았으며, 10 kDa 이하에서 10.4%로 가장 낮았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당, uronic acid, sulfate 함량은 100 kDa 이상에서 각각 85.82%, 32.85 g/100g 및 39.04%로 조다당에 비해 증가하였다. 색도은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L 값, a 값 및 b 값이 감소하였으며, 점도는 분자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ORAC 활성은 100 kDa 이상에서 $180.07{\mu}M$을 나타내어 조다당 $34.70{\mu}M$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L132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효과는 $H_2O_2$ 처리 구간대비 분자량 100 kDa 이상($0.5-5{\mu}g/mL$)에서 87.34-103.85%로 세포 활성이 증가하여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활성은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분자량 100 kDa 이상 $0.05-0.5{\mu}g/mL$ 농도에서 69.67-100.87%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pro-collagen 생합성 역시 UVB를 조사한 후 분자량 100 kDa 이상 $0.05-0.5{\mu}g/mL$ 농도에서 64.91-77.80%의 합성능을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불등풀가사리 유래 산가수분해된 다당류의 분자량에 따른 주름 개선 효과를 통해 피부 항노화 기능성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오동도의 해조 군락 (PHYTOSOCIOLOGICAL STUDY OF MARINE ALGAE AT ODONG-DO)

  • 송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3_4호
    • /
    • pp.105-112
    • /
    • 1971
  • 1970넌 6월부터 1971넌 5월까지 여수 오동도의 2개 조사지점에서 월 2회 조사한 해조 군락은 아래와 같다. 1. 총출현종은 69종으로 녹조류 12종, 갈조류 17종 및 홍조류 40종이며, 조사 장소에 따른 출현종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2. 계절별 해조 군락은 대부분 주년 출현종으로 층위가 형성되어 출현종의 변화가 적으나 Ulva pertusa, Enteromorpha sp., Sphacelaria sp., Scytosiphon iomentaria, Colpomenia sinuosa, Sargassum thunber gii, Pterocladia tenuis, Amphiroa ephedrea, Carpopeltis affinis, Gigartina tenera, Polysiphonia yendoi, Chondria crassicaulis, Symphyocladia atiuscula등은 피도의 증감이 많았다. 3. 층위의 출현종은 대체로 변화가 적어, $200\~150cm$층은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orpha sp.등이고 $150\~100cm$층은 Ulva pertus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등이며, $100\~50cm$층은 Gigartina tenera, Pterocladia tenuis, Scytosiphcn lomentaria, Polysiphonia yendoi 등이고, 제일 아래층인 50cm 이하에는 Sargassum sagamianum, Cystophyllum sisymbrioides, Gelidium amansii, Acresorium yendoi, Microcladia elegance등으로 층위가 형성되었다. 4. A, B 두 조사지점은 100cm층을 중심으로 아래층에는 차이가 적으나 위층에는 차이가 있어, A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Corallina pilulifer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 Polysiphonia yendoi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형성되나, B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urpha sp.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간단하였다. 5. Taniguti의 해조 군락 분류에 의하면 Myelophycus caespitosus 군단의 Gigartina intermedia-Sargassum sagaminnum군집 (Sargasseto-Gigartinetum Taniguti)에 속한다.

  • PDF

불등가사리 분획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Cancer Cell Lines by Gloiopeltis furcata Fractions in Vitro)

  • 박성영;정복미;최영현;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71-775
    • /
    • 2005
  • 본 실험은 홍조해조류의 하나인 불등가사리를 추출 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와 QR유도활성 효과 등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불등가사리를 이용하여 4종의 인체 암세포주HepG2, HeLa, MCF-7및 HT-29와 정상 간세포에 대한 암세포 증식억제 실험을 한 결과 사용한 4종의 암세포주에서 모두 시료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식 저지 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불등가사리의 methanol 분획층인 GFMM에서는 매우 낮은 농도의 시료첨가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정상 간세포에서는 모든 분획층에서 약한 세포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시료는 여성암의 대표적인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의 암세포 성장저지효과가 탁월하였다. 한편, 사용한 4가지 암세포주 중 유일하게 QR을 가지고 있는 HepG2를 이용한 암 예방지표인 QR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분획물 첨가농도를 10, 20, 30 및 40 $\mu$g/mL로 첨가하였을 때 GFMM의 첨가농도 $20\mu 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높은 QR 유도효과를 나타내어 최종농도 $40\mu g/mL$에서는 2.6의 암 예방 QR 유도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백혈병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불등가사리 메탄올 추출물의 영향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 of Gloiopeltis furcata in Human Leukemia Cell Line U937)

  • 최우영;;김기영;이원호;배송자;최영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6-8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체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등불가사리 메탄올 추출물(MEGF)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EGF는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의 형태적변이 및 증식억제가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백혈병세포에서 가장 높은 감수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백혈병세포의 증식억제 효과가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flow cytometry 분석 및 DAPI staining 법으로 조사한 결과, MEGF 처리에 의한 백혈병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주기 교란과 무관한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sub-G1기 세포의 빈도 증가 및 apoptotic body 형성의 증가 등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MEGF 처리에 의한 백혈병세포의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발은 p53 비의존적인 p21의 발현 증가 및 Fas/FasL system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인체 암세포, 특히 백혈병세포에서 MEGF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MEGF 내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및 항암적용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효소종류에 따른 불등풀가사리 유래 다당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lysaccharides from Gloiopeltis furcata prepared by using various enzymes)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5-46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불등풀가사리 유래 다당류의 기능성식품소재로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고자 불등풀가사리에 5종의 상업용 효소를 처리한 다음 분리된 다당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효소 분해 구간의 다당 수율은 52.8-66.4%로 무처리 구간 50.6%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당 및 단백질 함량은 각각 71.04% 및 7.22%, uronic acid 및 sulfate 함량은 23.18 g/100 g 및 28.27%로 효소 분해를 통해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FRAP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23.10% 및 $218.50{\mu}M$을 나타내어 무처리 구간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L132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효과는 viscozyme 효소처리 구간($1{\mu}g/mL$)에서 $H_2O_2$를 처리한 구간 대비 세포 보호효과는 85.64%로 세포 활성이 증가하여 높은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NO 생산량은 viscozyme 효소 처리구간 $5{\mu}g/mL$ 농도에서 $32.13{\mu}M$ 함량을 나타내어 LPS 대비 90%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며, 4종의 암세포(A549, SNU719, HeLa 및 MCF7) 생존율은 $25{\mu}g/mL$농도에서 각각 69.57%, 61.06%, 52.74% 및 68.64%의 유의적으로 낮은 암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불등풀가사리의 효소 분해를 통해 다당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이 향상됨에 따라 기능성 식품소재 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조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검색과 보라우무의 항산화활성 성분

  • 박기의;이희정;서영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706-709
    • /
    • 2003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and dichloromethane/acetone extracts of twenty three seaweeds were tested by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t a $100{\mu}g/ml$ concentrations. The dichloromethane/acetone extracts of three seaweeds(Symphyocladia latiuscula, Gloiopoltis furcata, Sagassum thunbergii),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se seaweeds was Symphyocladia latiuscula(85.82%), Gloiopoltis furcata(82.83%), Sagassum thunbergii(74.05%) in order. These seaweeds were evaluated using the pyrogallol UV-VIS spectrophotometeric method to generate superoxide anion. Among them, the methanol extracts of six seaweeds were showed weak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ies. The dichloromethane/acetone extracts obtained from Symphyocladia latiuscula was fractionated with $CH_2Cl_2$, n-hexane, 15% aq.MeOH, n-BuOH, $H_2O$. The 15% aq.MeOH soluble fraction exhibiting the strongest antioxidative activities was further purified by C18 column flash chromatography and reversed HPLC. The two active principles of Symphyocladia latiuscula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as 2,3,6-tribromo-4,5-dihydroxybenzyl alcohol(1), 2,3,6-tribromo-4,5-dihydroxybenzyl methyl ether(2).

  • PDF

한국 남서해안 도초군도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Summer Algal Flora of Uninhabited Islands in Doch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박찬선;위미영;황은경
    • ALGAE
    • /
    • 제22권4호
    • /
    • pp.305-311
    • /
    • 2007
  • The summer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15 uninhabited islands in Doch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9 June to 16 September 2007. A total 53 species (10 green, 14 brown and 29 red algae) of marine algae were identified. Among 15 uninhabited islands,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was the highest as 33 species at Jeongdo and Gyeongchido the least as 24 species at Hugdo and Mido. The dominant species were Enteromorpha compressa, Ishige okamurae, Gloiopeltis furcata, Ulva pertusa and Sargassum thunbergii. The algal zonation of intertidal zone was figured out by Gloiopeltis furcata, Caulacanthus okamurae – Ulva pertusa, Sargassum thungergii – Gelidium amansii, Sargassum horneri from upper to lower zone. The flora investigated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functional groups such as coarsely branched form (39.6%), filamentous form (25.8%), sheet form (14.1%), thick leathery form (9.9%), jointed calcarious form (5.6%) and crustose form algae (4.9%).

남해안 해남군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및 군집 (A Summer Marine Benthic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Uninhabited Islands in Haenamgun, Southern Coast of Korea)

  • 오병건;이재완;이해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3
    • /
    • 2002
  • 한국 남해안 해남군에 위치한 무인도의 해조상과 군집조사가 1999년 6월 12일에서 29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0종, 갈조류 15종 및 흥조류 62종이었다. 우점종은 구멍갈파래와 지충이이며, 준우점종은 바위수염, 패, 톳, 불등풀가사리, 애기돌가사리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 애기가시덤불, 바위수염-참풀가사리, 애기풀가사리, 애기우뭇가사리, 구멍갈파래, 지충이-톳, 뜸부기, 진두발, 미역, 감태가 분포하였다.

서해 경기만 해조군집 복원을 위한 기초생태조사 (Primary Survey on Algal Community of Gyounggi Bay for Restoration)

  • 이욱재;황미숙;백재민;이재완;김종인
    • ALGAE
    • /
    • 제22권3호
    • /
    • pp.201-207
    • /
    • 2007
  • For getting primary cue of restoration, the algal flora and intertidal community structure of Deokjeokdo, Yeonpyeongdo and Ganghwado were investigated for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6. The total of 28 species, including five Chlorophytes, five Phaeophytes, 17 Rhodophytes and one sea grass were identified. The occurrence of species according to sampling site was 22 species in Deokjeokdo, seven species in Yeonpyeongdo and four species in Ganghwado. Among them Gloiopeltis furcata, Ulva pertusa and Sargassum horneri in Deokjeokdo, Scytosiphon lomentaria in Yeonpyeongdo, Enteromorpha prolifera in Ganghwado were ominants. The algal zonation of intertidal zone was figured out by Gloiopeltis furcata, Caulacanthus okamurae – Corallina pilulifera – Ulva pertusa,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Sargassum horneri, Undaria pinnatifida in Deokjeokdo, Bangia atropurpurea – Scytosiphon lomentaria – Ahnfeltiopsis flablleiformis in Yeonpyeongdo from upper to lower zone and Enteromorpha prolifera, Enteromorpha linza – Sargassum thunbergii, Myelophycus simplex in Ganghwado from middle to lower zone. The average of biomass was measured as 80.6 g dry wt. m–2 in Deokjeokdo, 32.2 g dry wt. m–2 in Yeonpyeongdo and less than 1 g dry wt. m–2 in Ganghwado.

서해안 무창포의 조간대 해조 군집구조의 분석 (The Structure Analysis of Intertidal Algal Community in Muchangpo, 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환;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49-164
    • /
    • 1985
  • 충남 보영군 무창포해수욕장 일대의 조간대 해조군집에 대하여, 종조성, 우점종과 수직분포의 계절적 변화, 그리고 현존량을 1981년 봄-겨울에 걸쳐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을 통하여 총 64종(남조 1종, 연조 3종, 갈조 19종, 홍조 41종)의 해조류가 관찰되었다. 조사지역의 해조류 군집은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divaricatum 및 Pelvetia siliquosa로 대표되었다. 한편, Gloiopeltis furcata는 조간대 상일중부에서, Corallina pilulifera는 하부에서 높은 피도를 보였다. 식생자료에 대한 classification (UPGMA)과 ordination(RA) 결과, 대체로 조위의 하중이 인정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계절에 따른 군집구조의 변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단위면적당 평균현존량은 57,2~92.8 g-dry/$m^2$의 범위로서, 봄에 낮고 여름에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