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III Malocclus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유년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이모장치의 효과에 관한 유한요소분석법적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INCAP BY FINITE ELEMENT ANALYSIS IN JUVENILE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최정호;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3-370
    • /
    • 1998
  • 본 연구는 사춘기전 III급 부정교합자에 있어서 이모장치가 악안면 골격의 각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이모장치 및 부가적인 상악의 가철식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한 III급 부정교합자 중에서,치료 시작 시기가 7세경인 29명(남자 14명, 여자 15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치료전 및 약 2년 경과 후의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였다. 비슷한 연령의 교정치료를 받지 않은 III급 부정교합자 21명 (남자 10명, 여자 11명)을 대조군으로하여 2년간의 성장을 관찰하여 얻은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이용하였다. 이들의 변화에 대하여 유한요소분석을 실시하고, independent group t-test (p<0.05)를 사용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두개저, 후안면, 상전안면, 하악지, 이부, 연조직 부위는 이모장치에 의해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2. 하악골체는 최소 신장률 및 형태의 변화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수직방향의 성장량이 감소함을 보였다. 3. 상악기저골의 경우 주 성장방향이 대조군에 비해 수평적으로 나타나, 수직성장이 억제됨을 보였다. 4. 치료군의 전안면은 주된 변화 방향이 하전방으로, 대조군의 상전방 방향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이모장치에 의한 하악골의 후방 회전 또는 변위에 의해 전하안면의 성장 방향의 변화됨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구내 기능공간의 변화도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5.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모장치에 의한 골격의 성장 억제, 성장 방향의 변화 및 형태변화가 부분적으로 인정되나, 주된 효과는 하악골의 회전 및 변위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비고정 방법을 사용한 관골 체부 골절 정복술 (Open Reduction and Non-fixation Method for the Zygoma Body Fracture)

  • 박보영;김양우;강소라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6-80
    • /
    • 2009
  • Purpose: Zygoma is a major portion of the midfacial skeleton, forms the malar prominence and the three adjacent bony articulations. Zygoma fracture is a very common in facial trauma. Open reduction and rigid fixation of displaced zygoma fractures are necessary to avoid immediate and delayed facial asymmetry and depress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happen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lates and screws. So, we planned to treat the 24 patients of Group II, III, IV zygoma fractures with precise reduction and non-fixation method via intraoral approach. Methods: From August, 2006, to August, 2009, we treated 24 cases of zygoma fracture with reduction and non-fixation methods. Before the surgery, we choose the patients who could be treated with this method among the Group II, III, IV patients. Results: No patients in this study ha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displacement of bony fragments, facial depression and asymmetry, malocclusion, hypoesthesia. Satisfactory a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s can be obtained.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the zygoma fracture, it is possible to treat with precise reduction and non-fixation method. The greatest advantage is to decrease the operative time, no need to wide dissection, no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lates and screws. For the using of this method, it is necessary to choose the adequate patients through the preoperative planning.

구강 내 장치와 III급 고무줄을 이용한 유치열기 전치부 반대 교합 치료 (ANTERIOR CROSSBITE CORRECTION IN PRIMARY DENTITION USING INTRAORAL APPLIANCE AND CLASS III ELASTIC)

  • 최아미;최병재;최형준;송제선;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06-313
    • /
    • 2012
  • III급 부정 교합과 전치부 반대 교합은 동양인에게서 더 빈번히 관찰되며 이 문제는 치과 의사뿐 아니라 부모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유치열기 반대 교합의 경우, 피개량이 깊어질수록 하악의 기능성 전방 변위가 현저해지는데 이를 방치하면 골격성 반대 교합으로 이행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치료가 필요한 유치열기 반대 교합의 경우 조기에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고 조기교정 치료를 통해 개입할 필요가 있다. 본 증례에서는 유치열기에 전치부 반대 교합을 주소로 내원하여 기능성 반대 교합으로 진단된 만 4세 어린이들에게 구강내 장치를 이용한 치료를 시행하여 정상적 상하악 치열 관계로 개선시켰다. 또한 본과에서 유치열기 반대 교합 치료를 받은 7명의 어린이들의 치료 기간과 사용된 장치를 고찰하고, 측방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분석을 통해 치료 전후의 상하악의 위치적 관계의 변화, 악골 크기의 변화량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내 장치와 III급 고무줄을 이용한 치료에서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1년 이내에 반대 교합의 개선을 보였고, 그 치료 결과는 전하안면 고경의 수직적 성장을 통한 하악의 후하방 회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 비대칭환자의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Orthognathic Surgery in Facial Asymmetry Patient : Case Report)

  • 임소민;신형주;김대곤;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3호
    • /
    • pp.359-371
    • /
    • 2010
  • 안면 비대칭 중 가장 흔히 나타나는 하악 비대칭은 성장 중 골격성장의 비대칭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안면 비대칭이 있을 경우 외모 뿐 아니라 저작과 기능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심한 골격성 악간관계 부조화가 있는 경우 보철치료만으로는 이상적인 교합관계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힘의 분산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치와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악간관계 부조화로 인한 부정교합이 존재하여 치아의 수복 시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먼저 교정치료를 통한 악간관계의 개선을 위한 교합안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부조화가 심한 경우 기능적 및 심미적인 치료 결과를 위해 악교정 수술이 필요하며, 진단결과에 따라 편악 또는 양악수술이 시행된다. 상 하악 또는 안면 비대칭증의 악교정 수술시 이부 성형술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는 하악골의 이부의 수직적, 횡적, 전후방적 위치를 외과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심미적인 안모개선을 얻기 위해 시행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안모의 비대칭과 돌출된 하악 및 불량 보철물을 개선하고자 술전 교정을 시행한 뒤 상악 Le-Fort I 골절단술, 하악 시상분할골절단술, 이부 성형술(전방 4 mm), 우측 하악각 증대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교정치료를 진행하고 치관연장술 및 완전구강회복을 진행하였다. 보철 수복 완료 후, 환자의 평가와 객관적 결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Immediate effects of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on the pharyngeal airway space: A preliminary study

  • Choi, Yeonju;Kim, Yong-Il;Kim, Seong-Sik;Park, Soo-Byung;Son, Woo-Sung;Kim, Sung-H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9-135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mediate effects of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on the pharyngeal airway space (PAS) by using cephalometric evaluations and to investigate how the surrounding structures are schematically involve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38 subjects with function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two lateral cephalograms were selected. The first lateral cephalogram was taken with the mandible in the habitual occlusal position, and the second in anterior edge-to-edge bite.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changes in the PAS, hyoid bone, tongue, and soft palate, followed by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and other variables.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PAS following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Along with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the tongue decreased in length (p < 0.001) and increased in height (p < 0.05), while the soft palate increased in length, decreased in thickness, and was posteriorly displaced (p < 0.001). The hyoid bone was also posteriorly displaced (p < 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and the measured variables. Conclusions: The PA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ollowing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which was a consequence of retraction of the surrounding structures. However, there were individual variances between the amount of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and the measured variables.

하악전돌증 환자에서 악교정수술 후 하악각 및 하악폭경의 변화 (CHANGES IN GONIAL ANGLE AND MANDIBULAR WIDTH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 김인호;한창훈;유선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2호
    • /
    • pp.129-137
    • /
    • 2006
  • The treatment plan for orthognathic surgery must be based on accurate predictions, and this can be produced the most esthetic, functional and stabl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amount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gonial angle and the mandibular width change after the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the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Twenty patients were selected who received orthognathic surgery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The patients with skeletal and dental Class III malocclusion were operated upon with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mandibular setback. Th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preoperatively, postoperative 1 day and 12 months later after the orthognathic surgery, and then the gonial angle and mandibular width were measured. The computeriz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SPSS/PC program. The gonial angle at postoperative 1 day was decreased about $5.3^{\circ}$ than preoperative value and the gonial angle at postoperative 12 months was increased about $1.4^{\circ}$ than postoperative 1 day. So the gonial angle at postoperative 12 months was decreased about $3.9^{\circ}$ than preoperative value. The mean preoperative gonial angle was $125.35^{\circ}{\pm}7.36$, showing significantly high value than normal and mean gonial angle at postoperative 12 months was $121.45^{\circ}{\pm}6.81$, showing value near to normal. The mandibular width at postoperative 1 day was decreased about 1.1 mm than preoperative value and the mandibular width at postoperative 12 months was more decreased about 1.7 mm than postoperative 1 day. So the mandibular width at postoperative 12 months was decreased about 2.8 mm than preoperative valu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with high gonial angle is effective to improvement of gonial angle. It is considered to be helpful for maintenance of postoperative stable gonial angle area that detailed postoperative care and follow-up.

매복 상악 견치의 처치 (Management of Maxillary Impacted Canines)

  • 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2-154
    • /
    • 2023
  • 상악 견치는 기능과 외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맹출 장애로 인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상악 견치의 매복은 비교적 흔하며 구조적 장애, 발달 이상, 공간 부족, 유전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악 견치의 구개측 매복은 서양인에게서 흔한 것으로 보고되지만 한국인에게는 순측 매복이 더 흔한 것으로 관찰된다. 순측으로 변위된 상악 견치의 경우, 치아 총생 및 골격성 부정교합이 보일 수 있으며, 측절치의 선천적 상실이나 과잉 측절치는 상악 견치의 구개측 매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상악 견치 매복의 조기 발견 및 적절한 처치는 조화로운 치열 발달과 정상적인 치아 기능을 위해 중요하다. 본 종설을 통해 매복 상악 견치의 다양한 처치법을 제안하고 그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하악의 전돌 및 비대칭을 가진 환자에서 보철적 전악 구강회복 증례 (Prosthetic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mandibular prognathism and asymmetry: a case report)

  • 임재영;이화정;김종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28-37
    • /
    • 2024
  • 심한 하악 전돌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교정치료나 악교정수술을 활용하여 치료를 시도할 수 있으나, 장기간의 교정치료 및 수술의 침습적인 거부감이 있는 환자에서 보철적으로만 개선해야 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는 전방유도가 없으며, 수직적인 저작 양식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치부의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합수직고경을 거상하는 술식을 선택하기 쉬운데, 이는 종종 불리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 전돌 및 비대칭을 가진 환자에서 단계적인 치료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교합수직고경을 그대로 유지하며 임플란트 및 자연치를 이용한 최종 고정성 보철 수복을 진행하였다. 이에 기능적이고 심미적으로 적절한 결과를 보여, 환자의 진단 및 치료 과정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순/구개열 환자에서의 교정-보철 치험례 (ORTH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 장원석;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8-393
    • /
    • 2000
  • 순 구개열(cleft lip and palate)은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선천성 기형 중 하나로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 순 구개열 환자는 입술, 코 등의 기형을 보이며 치과적 문제점으로, 이환측 측절치는 결손되어 있거나 과잉치가 존재하고 형태적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맹출하지 못하거나 이소맹출을 하게된다. 이른 시기에 수행된 수술의 반흔조직(scar tissue)으로 인하여 상악골 성장의 장애가 발생되어 흔히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야기되기 쉬우며, 섭식장애와 발음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복잡한 문제로 인하여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다양한 관리가 필요하다. 순/구개열(cleft lip and alveolus only)은 악안면 영역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비이환측은 전방으로 회전되어 수평피개가 증가되고, 이환측은 내측으로 회전되어 견치부에서 end to end 관계, 혹은 반대교합을 보인다. 순/구개열 수술은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악골의 전후방적 성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좌측에 순/구개열을 가진 5세 3개월의 여아로 생후 3개월 및 3세에 두 번의 구순열 봉합 수술을 받았으며, 상악 좌측 유측절치와 영구측절치가 결손되어 있었고, 다발성 우식증 및 비구누공(oroantral fistula)이 존재하였으며,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을 보였다. 그러나 본 증례가 지니고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은 구순열 수술후의 반흔조직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환자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혼합치열기 동안 공간관리(space supervision) 및 악기능 장치 (functional regulator)를 이용한 골격성 부정교합을 치료하였으며, 영구치열기 동안 고정성 교정치료를 시행한 후 보철 치료를 시행하여 비구누공을 key and keyway attachment와 Konus crown을 이용한 가철성 obturator로 폐쇄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