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ltext Servic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5초

저작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원문 서비스 프레임워크 (A Service Framework to Digital Fulltext Image for Copyright Protection)

  • 김상국;신성호;윤희준;김태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spc1호
    • /
    • pp.323-336
    • /
    • 2005
  • Digital content industry is growing rapidly because of the property of high-speed networking and greater demand for digital fulltext-image. However, we know the fact that it is many difficulty in production and supply for good quality of content. Hereupon, we suggest digital fulltext-image service framework to protect copyright. More concretely, we propose integrated model and reference model to securely serve digital fulltext-image by recompositing core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 value-chain structure of digital content industry to framework including the process(from its production (creators or copyrighters) to consumption (users or consumers)). Also, we construct the digital fulltext- image service system based on reference model and reconstruct its interface that occurs between core subjects.

  • PDF

네비게이션 정보추출에 의한 XML 본문검색시스템 (XML Fulltext Retrieval System by Extracting Navigation Information)

  • 강남규;이응봉;이석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1-110
    • /
    • 2002
  • 최근, 키워드 기반 정보검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구조문서 기반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적용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고에서는 구조문서에 대한 본문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본문검색시스템에 적용된 문서는 XML로 구축된 국가 연구개발보고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XML 연구보고서의 DTD. 본문 간의 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추출, 본문검색을 위한 검색엔진의 적용 방안에 관하여 살펴본다. 본 시스템은 XML 문서에 대해 문서의 구조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검색하여 다양한 형태로 열람할 수 있는 검색엔진의 부재 상황을 본문검색이라는 방법으로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오픈액세스 학술지 특성에 관한 연구 -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Open Access Journals in Korea: Focused on KCI Journals)

  • 정경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73-391
    • /
    • 2011
  • 본 연구는 KCI 등재지 1,438종을 대상으로 오픈액세스 학술지를 식별해내고, 이들 학술지의 원문공개 채널, 분야별 차이, 발행기관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등재지의 21%는 상용DB를 통한 서비스를 하지 않는 오픈액세스 학술지였으며, 34%는 무료공개와 상용DB를 통한 원문서비스를 동시에 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34%는 오직 상용DB에서만 원문서비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픈액세스 학술지의 48%는 무료원문 DB를 통하여, 52%는 발행기관 홈페이지를 통하여 원문을 공개하고 있었다. 원문공개 채널은 분야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인문,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는 주로 발행기관 홈페이지, 과학기술 및 의학 분야 학술지는 주로 무료DB에 원문을 공개하고 있었다. 전체 오픈액세스 학술지 중 약 30%는 의학 분야 학술지였으며,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도 25%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분야별 분포로 볼 때 사회과학과 인문학 분야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비율은 약 15%정도에 불과하였다. 이에 비해 의학 분야의 경우 약 60%가 오픈액세스 학술지였으며,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도 각각 33%, 24%가 오픈액세스 학술지였다.

전문비서 정보활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Education Needs for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of Professional Secretaries)

  • 최인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445-466
    • /
    • 2008
  • 본 연구는 정보제공자로서의 전문적인 역할 수행이 요구되는 비서직을 위한 정보활용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실무중심의 정보활용 교육과정 구성방안과 교육내용 개요를 제시하였다. 비서의 정보활용교육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 결과 학력 수준이나 비서학 전공지식 수준과는 관계가 없고 정보제공업무 과제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용 교육요구 분석 결과 인터넷 메타검색엔진, 인터넷 전문검색엔진, 연산자사용법, 디지털도서관 활용법, 유즈넷 이용법, 정보서비스기관 이용법, 인터넷 참고정보원, 맞춤정보서비스 이용법, 주제조사의뢰 이용법, 문헌배달서비스 이용법, 전자저널 이용법, 상용데이터베이스 이용법, 원문제공서비스 이용법, 탐색전략모델 활용법, 인터넷 일반검색엔진의 순서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육내용은 실무 예제중심의 실습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Cited-by Linking 데이터 기반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 학술논문 인용 패턴 분석 (Citing Pattern Analysis based on Cited-by Linking Data of DOI Journals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s & Engineering)

  • 서선경;최호남;김병규;최선희;김정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7-176
    • /
    • 2016
  • Cited-by Linking 서비스는 CrossRef에서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 중 하나로 해당 논문이 DOI를 통하여 얼마나 인용되었는지 누적하여 집계된 데이터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ISTI의 학술정보통합관리시스템에서 월단위로 구축 관리하는 Cited-by Linking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의 인용 패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체 기탁된 21만 건 중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 총 170,999건(315종)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2016년 3월까지 누적된 Cited-by Linking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글로벌하게 인용될 가능성에서 사용 언어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SCIE 및 SCOPUS 등재 여부 역시 인용가능성에 상당 부분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연과학 분야는 거의 동일한 주제 분야에서 인용을 받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공학 분야는 타주제 분야에서 더 인용 받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의 세부주제 분야별 인용 행태를 규명하고, 향후, 인용 행태에 관한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임상의사의 진료목적 정보원 이용과 장애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Physicians' Use of Clinical Information Resources and Barriers)

  • 김순;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5-75
    • /
    • 2016
  • 본 논문은 임상의사가 선호하는 임상정보원의 특성과 정보검색 시 장애요인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환자 진료를 위한 정보검색은 환자치료방법 결정, 최신 경향 파악, 내부 컨퍼런스 발표자료 준비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러한 검색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주제 배경지식, 진료 경험, 직급, 검색 능력, DB 이용교육, 도서관 홈페이지 친숙도 등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임상정보원은 익숙하고 신뢰성이 높고 방대한 정보의 양 때문에 PubMed가 가장 선호되었으며, 속도가 빠르고 쓰기 쉬운 구글도 많이 사용되었다. 정보내용의 정확성과 최신성이 정보원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적용되었으며, 시간이 많이 부족한 관계로 검색방법의 용이성, 정보에 대한 접근 편이성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었다. 사용하기 불편한 검색시스템, 생소한 주제나 용어의 검색 어려움, 너무나 방대한 자료, 원문 접근의 어려움, 복잡한 고급검색 기능 등이 장애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도서관 서비스 개선이나 임상의사의 정보검색 교육과정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