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el utilization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33초

예비 핵연료의 이용 (Utilization of the Stand-by Fuel Assemblies)

  • Kim, Hark-Rho;Chung, Chang-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63-72
    • /
    • 1981
  • 핵연료 집합체의 예기치 않은 파손으로 인하여 설계 근거 재장전 방침이 변경되면 원자로심내에서의 출력 분포 비균형을 막기 위하여 파손된 핵연로 집합체 이외에 대칭 위치의 집합체도 제거되어야 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때에 제거된 핵연료 집합체가 설계연소도에 미달되는 경우 이를 다시 사용하여 핵연료 이용률을 증진시키는 것이 연구되었다. TDCORE 코드가 노심ㆍ해석을 위해 이용되었으며, 최적장전모형을 찾는 코드로는 RELOAD-II가 이용되었다. 고리 1호기에 적용한 결과, 제 1주기말에 제거된 비교적 적게 연소된 4개의 핵연료집합체를 제 3주기에서 이용할 경우 주기 연소도가 l1648 MWD/MTU(가동율 : 80%)에 이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평형주기까지의 장전모형을 추적하였다.

  • PDF

DESIGN OF LSDS FOR ISOTOPIC FISSILE ASSAY IN SPENT FUEL

  • Lee, Yongdeok;Park, Chang Je;Kim, Ho-Dong;Song, Kee Ch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5권7호
    • /
    • pp.921-928
    • /
    • 2013
  • A future nuclear energy system is being developed a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the system involves a Sodium Fast Reactor (SFR) linked with the pyro-process. The pyro-process produces a source material to fabricate a SFR fuel rod. Therefore, an isotopic fissile content assay is very important for fuel rod safety and SFR economics. A new technology for an analysis of isotopic fissile content has been proposed using a lead slowing down spectrometer (LSDS). The new technology has several features for a fissile analysis from spent fuel: direct isotopic fissile assay, no background interference, and no requirement from burnup history information. Several calculations were done on the designed spectrometer geometry: detection sensitivity, neutron energy spectrum analysis, neutron fission characteristics, self shielding analysis, and neutron production mechanism. The spectrum was well organized even at low neutron energy and the threshold fission chamber was a proper choice to get prompt fast fission neutrons. The characteristic fission signature was obtained in slowing down neutron energy from each fissile isotope. Another application of LSDS is for an optimum design of the spent fuel storage, maximization of the burnup credit and provision of the burnup code correction factor. Additionally, an isotopic fissile content assay will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transparency and credibility for the utilization of spent fuel nuclear material, as internationally demanded.

하이패스 이용시 승용차 연료소모 및 연료비용 절감효과 (Effect of Passenger Car Fuel Consumptions and Fuel Cost Savings by Hi-Pass System)

  • 곽진호;김동녕;정애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94-102
    • /
    • 2015
  • 고속도로 하이패스 이용률은 59.4%(2013년말 기준)로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영업소를 이용하는 승용차의 연료소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4개 차종을 대상으로 차대 동력계를 이용한 탄소균형법을 적용하였고, 일반 영업소와 하이패스 영업소의 주행 모드 18개를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폐쇄식 구간의 경우 차종에 따라 21.0~56.4ml/veh, 개방식 구간의 경우 10.5~28.1ml/veh의 연료소모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하이패스 이용률에 따른 연간 연료비용 절감효과는 이용률 70%일 경우 282~573억원, 80%일 경우 322~655억원, 90%일 경우 362~737억원, 100%일 경우 403~819억원으로 산정되었다.

연료전지 모델링 및 공기이용률 제어에 관한 연구 (Fuel Cell Modeling and Load Controlling by the Variable Utilization of Airflow)

  • 송석흥;이원용;김창수;박영필
    • 전기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8-52
    • /
    • 2003
  •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제어의 주목표는 연료와 공기의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출력을 연속적이고 안정되게 얻어지도록 공정설비를 제어함에 있다 연료전지의 과부하에 따른 성능저하 및 급격한 유량증가에 따른 양극간의 압력차로 인한 전극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료전지의 제어조건을 고려한 동적모델링이 필요하다. 전극간 압력차이를 허용범위 이하로 유지하며 급격한 부하요구가 발생하더라도 부하에 적합한 이용율 이상으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공기이용률 제어를 이용하였다. 10kW고분자 연료전지(PEMFC)의 전산모사를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제어성능을 수행하여 1초 내의 부하추종성능을 얻을 수 있었으며, 0.01atm내의 양극간 압력차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Dead ended 모드에서 수소 재순환이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gen Recirculation on the Performanc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with Dead Ended Mode)

  • 김준섭;김준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531-538
    • /
    • 2019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의 성능이 개선됨에 따라 생성물인 물과 열의 발생이 증가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관리기법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 관리 기법으로 수소 재순환을 적용하였고, 수소 재순환 유량(flow rate)과 퍼지 간격(purge interval) 및 지속 시간(duration)이 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Purge 조건의 영향을 해석하기 위하여 수소극의 압력, 연료의 습도, 운전 간의 연료 이용 효율과 물 배출 양을 측정하였다. 수소 재순환 유량이 증가할수록 수소극 출구의 압력 저하로 인하여 스택 성능이 낮아졌다. Purge 조건에 따라서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해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하거나 혹은 잦은 purge로 인해 수소극의 습도를 유지하지 못하여 성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ge 조건 실험을 통하여 수소극의 습도를 유지하고 응축된 물을 충분히 배출할 수 있는 purge interval과 duration을 선정하였고, 이를 통하여 스택의 성능과 연료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SRF 제조·활용 시설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Effects of the Expanding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Solid Refuse Fuel (SRF) Facilities in Korea : An Input-output Analysis)

  • 조용철;박소연;유승훈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95-103
    • /
    • 2016
  •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면서 친환경적으로 폐기물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폐기물을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로 제조 및 활용하는 시설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에서 가장 최근에 발표한 2014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한편, SRF 제조 활용 시설 부문이 산업연관표에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시도하여 SRF 제조 활용 시설 부문을 중심에 두고 외생화를 하였다. 분석결과,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를 위한 1원 투자의 생산유발효과는 1.9993원이었으며,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6747원이었다. 아울러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를 위한 10억원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11.1982명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략적인 정보는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DME 연료 생산 및 이용기기의 개발현황 (The Status of DM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s a Fuel)

  • 백영순;조원준;오영삼
    • 에너지공학
    • /
    • 제16권2호
    • /
    • pp.73-82
    • /
    • 2007
  • 세계 에너지 수요는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하여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땅 속에 매장되어 있는 화석연료는 점점 줄어들고 있고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지구 환경오염도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이 시점에서 화석연료의 활용도를 높이고 환경친화적인 연료로의 개발이 매우 필요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료로서 제시되고 있는 DME 연료에 대하여 국내?외 기술개발, 보급 및 시장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바이오매스 활용 기반으로의 가스화 기술 (Gasification Technology as Energy Utilization Platform of Biomass)

  • 이정우;김영두;양창원;김광수;문지홍;김범종;정재용;박주환;박민선;이은도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2년도 제45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175-176
    • /
    • 2012
  • As a carbon neutral fuel, biomass can be converted into various types of high-valued products such as synthetic natural gas (SNG), Hydrogen, Fischer - Tropsch (FT) diesel. and valuable chemicals. In order to make above mentioned products, gasificaion process is essential as energy utilization platform of solid biomass. In this study, state of the art and prospect for biomass gasification technologies are presented.

  • PDF

Greenhouse Bulk 건조기에 의한 태양열이용에 관한 연구 (제2보) (Solar Energy Utilization in a Greenhouse Bulk Curing and Drying System. (II))

  • 이철환;변주섭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9-85
    • /
    • 1983
  • The greenhouse bulk curing and drying system utilization of the direct solar energy was tested to evaluate that how much fuel could be saved for curing flue-cured tobacco at the Dae Gu Experiment Station (North latitude : $35^{\circ}$49'), in 1979-1982. The air temperature and total radiation were 19.0 to 38.5$^{\circ}C$ and 1311.0 to 1412.7 cal/$\textrm{cm}^2$/day during the 4 replicated curing test, respectively. The greenhouse bulk curing and drying system was able to cut fuel consumption by 32%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bulk curing barn. We could obtain almost same utilization efficiency of solar energy in 1982 compare with normal year, mainly increasing the heat receiving area.

  • PDF

Geometry Optimization of Dispersed U-Mo Fuel for Light Water Reactors

  • Ondrej Novak;Pavel Suk;Dusan Kobylka;Martin Sevece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9호
    • /
    • pp.3464-3471
    • /
    • 2023
  • The Uranium/Molybdenum metallic fuel has been proposed as promising advanced fuel concept especially in the dispersed fuel geometry. The fuel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small fuel droplets (particles) placed in a fuel pin covered by a matrix. In addition to fuel particles, the pin contains voids necessary to compensate material swelling and release of fission gases from the fuel particles. When investigating this advanced fuel design, two important questions were raised. Can the dispersed fuel performance be analyzed using homogenization without significant inaccuracy and what size of fuel drops should be used for the fuel design to achieve optimal utilization? To answer, 2D burnup calculations of fuel assemblies with different fuel particle size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was supported by an additional 3D fuel pin calculation with the dispersed fuel particle size variations.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ltiplication factor between the homogenized calculation and the detailed calculation with precise fuel particle geometry. The recommended fuel particle size depends on the final burnup to be achieved. As shown in the results, for lower burnup levels, larger fuel drops offer better multiplication factor. However, when higher burnup levels are required, then smaller fuel drops perform b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