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ruit-bodies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9초

Isolation, Regeneration and PEG-Induced Fusion of Protoplasts of Pleurotus pul-monarius and Pleurotus florida

  • Eyini, M.;Rajkumar, K.;Balaji, P.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73-78
    • /
    • 2006
  •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pulmonarius and P. florida was attempted through PEG-induced protoplast fusion to select a fusant. The protocol for protoplast release, regeneration and fusion in these two Pleurotus species was standardized using the variables controlling the process. The mixture of mycolytic enzymes, i.e. commercial cellulase, crude chitinase and pectinase, KCl (0.6 M) as osmotic stabilizer, pH 6 of the phosphate buffer and an incubation time of 3 hours resulted in the maximum release of protoplasts from 3-day-old mycelia of P. florida ($5.3{\sim}5.75{\times}10^{7}$ protoplasts/g) and P. pulmonarius ($5.6{\sim}6{\times}10^{7}$ protoplasts/g). The isolated protoplasts of P. florida regenerated mycelium with 3.3% regeneration efficiency while P. pulmonarius showed 4.1% efficiency of regeneration. Polyethyleneglycol (PEG)-induced fusion of protoplasts of these two species resulted in 0.28% fusion frequency. The fusant produced fruiting bodies on paddy straw but required a lower temperature of crop running ($24{\pm}2^{\circ}C$) than its parents which could fruit at $28{\pm}2^{\circ}C$. The stable fusant strain was selected by testing for the selected biochemical markers i.e. Carbendazim tolerance and utilization of the lignin degradation product, vanillin.

한국(韓國) 중부지방(中部地方)에 분포(分布)하는 목재부후성(木材腐朽性) 담자균류(擔子菌類) (The Flora of Wood Rotting Basidiomycetes in Middle Part of Korea)

  • 조수묵;서건식;신관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43-47
    • /
    • 1993
  • 목재부후성 담자균류의 유전자원 수집을 위하여 우리나라 중남부 11개 지역에서 목재 부후성 담자균류의 발생상을 확인한 결과 24속 31종이 동정되었다. 종다양성은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그 중 속리산 지역과 덕유산 지역이 종 다양성 지수가 높고 발생량도 타지역보다 많았다. 모든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발생 빈도가 높은 우점종들은 Coriolus versicolor, Daedalea dickinsii, Daedaleopsis styracina, Lenzites betulina 그리고 Schizophyllum commune이다. 조사지역에서 자실체를 수집하여 분류동정하는 한편 인공분리 배양하여 31종 159점의 균주를 확보하였다. 분리배양한 균주는 Coriolus versicolor, Daedalea dickinsii 그리고 Lenzites betulina가 많았다.

  • PDF

인공재배 버섯의 혈전분해효소 활성검색 (Screening of Fibrinolytic Activities from Cultured Mushrooms)

  • 최한석;김명곤;박효숙;김재성;심명화;김성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39-1041
    • /
    • 2005
  • 인공재배 가능한 버섯 13종을 선정하여 균사체 배양 후 배양액 및 혈전분해활성을 검토한 결과 배양액에서는 0.00-0.16U 매우 낮았던 반면에 균사체의 혈전분해 활성은 0.00-0.48U로 배양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뽕나무 버섯의 건조 균체량은 6.50g/100mL로 다른 균체에 비하여 1.9-5.0배의 높은 생산력을 보여주었다. 인공 재배된 버섯 자실체(7종)의 혈전분해활성은 0.17-0.94U로 나타났으며 아위버섯 자실체의 혈전분해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산 고등균류에 관한 연구(제 5보) -능이 중 단백분해효소의 특성과 N-말단 아미노산배열- (Studies on Higher Fungi in Korea (V)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and Some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 from Sarcodon aspratus-)

  • 은재순;양재헌;이태규;최동성
    • 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339-344
    • /
    • 1989
  • The alkaline protease produced by Sarcodon aspratus(Berk) S. Ito. was purified from its fruit bodies. The enzyme was purified by us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tris-acryl CM-cellulose column chromtography and chromatofocusing. The protease migrated as one major band with a molecular weight of about 29,000 dalton on sodium dodecyl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N-terminal residues(21) of the enzyme was determined by automated sequence analysis. The sequence was Val-Thr-Thr-Lys-Gln-Thr-Asn-Ala-Pro-Trp-Gly-Leu-Gly-Asn-Ile-Ser-Thr-Thr-Asn-Lys-Leu. Comparison of this sequence with the N-terminal sequence of the p-roteinase K from Tritirachium album showed high similarity, i. e. 57.8% identical residues. The protease displayed a relatively high stability in sodium dodecyl sulfate.

  • PDF

Improvement of Ergone Production from Mycelial Culture of Polyporus umbellatus

  • Lee, Wi-Young;Park, Young-Ki;Ahn, Jin-Kwon
    • Mycobiology
    • /
    • 제35권2호
    • /
    • pp.82-86
    • /
    • 2007
  • Ergone, a fungal metabolite derived from ergosterol, was previously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Polyporus umbellatus. Ergone is a major component of P. umbellatus known to have anti-aldosteronic diuretic effect and also displays cytotoxic activities. Most of mushroom's fruit bodies used for test contained less than 10 ${\mu}g/g$ of ergone. But P. umbellatus have larger amount of ergone than any other mushrooms. In order to improve the ergone production from the submerged culture of P. umbellatus, several factors including medium composition, culture conditions (temperature and pH) and different combinations of co-cultivation with various mycelia were studied. Among various carbon sources examined, starch proved to be most effective for the production of mycelia.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a flask culture of P. umbellatus mycelia were found to be 4.5 and $25^{\circ}C$, respectively. Under the optimized culture conditions, both the ergone production (86.9 ${\mu}g/g$) and mycelial growth (3.5 g/l) increased when P. umbellatus was cultured with Armillariella mellea. When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applied, both mycelium and ergone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enhanced.

살아있는 자작나무를 이용한 차가버섯 자실체 생산 (Fruit-body Production of Inonotus obliquus on Living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박현;가강현;이봉훈;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3-84
    • /
    • 2010
  •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종균을 살아있는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에 접종하여 자실체 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성된 자실체 덩어리는 국내에서 채집한 자실체 덩어리와 비슷한 모양이었으며 단지 그 크기가 작았다. 직경은 1.1~4.8 cm를 나타내었고, 높이는 0.5~2.0 cm이었다. 접종 후 5년 정도의 기간이면 자실체의 수확이 가능하리라고 예상되었지만, 자실체의 생장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으로 적정한 수확시기 결정이 필요하다.

GzRUM1, Encoding an Ortholog of Human Retinoblastoma Binding Protein 2, is Required for Ascospore Development in Gibberella zeae

  • Kim, Hee-Kyoung;Lee, Yin-Won;Yun, Su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20-25
    • /
    • 2011
  • Gibberella zeae (anamorph: Fusarium graminearum), a homothallic (self-ferile) ascomycete with ubiquitous geographic distribution, causes serious diseases in several cereal crops. Ascospores (sexual spores) produced by this fungal pathogen have been suggested as the main source of primary inoculum in disease development. Here, we report the function of a gene designated GzRUM1, which is essential for ascospore formation in G. zeae. The deduced product of GzRUM1 showed significant similarities to the human retinoblastoma (tumor suppressor) binding protein 2 and a transcriptional repressor, Rum1 in the corn smut fungus (Ustilago maydis). The transcript of GzRUM1 was detected during the both vegetative and sexual stages, but was more highly accumulated during the latter stage. In addition, no GzRUM1 transcript was detected in a G. zeae strain lacking a mating-type gene (MAT1-2), a master regulator for sexual development in G. zeae. Targeted deletion of GzRUM1 caused no dramatic changes in several traits except ascospore formation. The ${\Delta}$GzRUM1 strain produced perithecia (sexual fruit bodies) but not asci nor ascospores within them. This specific defect leading to an arrest in ascospore development suggests that GzRUM1, as Rum1 in U. maydis, functions as a transcriptional regulator during sexual reproduction in G. zeae.

Hericium erinaceum 균사체와 자실체 열수 추출물의 몇몇 In-Vitro 및 In-Vivo 생물활성 (Some In-Vitro and In-Vivo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um of Hericium erinaceum)

  • 정재현;이광호;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22-29
    • /
    • 2007
  • H. erinaceum은 현재 산업적으로 매우 주목되고 있는 기능성 소재들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용은 물론 각종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H. erinaceum의 기능성 식품의 제품화 연구 일환으로,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 없는 H. erinaceum의 액체배양을 시도하고, 생성된 균사체의 생리기능성의 변화를 자실체의 물 추출물과 비교, 조사함으로써 H. erinaceum 액체배양 생성물의 생리기능 효과를 평가, 규명하고자 하였다. H. erinaceum의 자실체 및 균사체 물 추출물은 HeLa (human cervix epitheloid carcinoma; 인간 자궁 상피암세포), Raw264.7 (mouse monocyte macrophage; 생쥐 단핵 대식세포), Jurkat (human acute T cell leukemia, 인간 급성 T 백혈병 세포), KATO3 (human gastric carcinoma 인간 위장 암세포), EL4 (mouse T lymphoma 생쥐 T 림프종 세포), LyD9 (mouse bone marrow plurypotent stem cell; 생쥐 공수유래 간세포) 등 각종 암세포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실체 추출물은 균사체 추출물보다 대부분의 암세포 증식의 억제 효과가 컸으며,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인 자실체 열수 추출물의 효과는 Raw 264.7 및 EL4 세포주를 사용한 Taxol와의 비교실험 결과, 자실체 농도 0.01$\sim$10 mg/ml에서 자실체 사용량의 1/1000에 상당하는 양의 Taxol 효과와 비슷하였다. 자실체 및 균사체 열수 추출물들은 1 mg/ml 농도에서 복강세포의 nitric oxide 생산 유도능을 나타내었으며, lipopolysaccharides 자극으로 더욱 증가하였다. 반면, 비장세포의 증식유도능 및 interleukin-2 유도능에서는 각 시료 단독으로는 증식 유도 및 interleukin-2 유도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각 lipopolysaccharide와 concanavalin A의 첨가 및 concanavalin A 자극으로 강한 증식유도능 및 interleukin-2 생산능을 나타내었고, 그 효과는 균사체 추출물에서 자실체 보다 더욱 높았다. 또 각 시료는 골수세포에 대해서도 약간의 증식효과를 보였으며, 복강세포의 탐식능을 나타내었다.

Phellinus sp.의 분리 및 균사체의 액체배양 (Isolation and Mycelial Cultivation Submerged of Phellinus sp.)

  • 강태수;이동기;이신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57-267
    • /
    • 1997
  • 강원도 양양군 일원 야산의 뽕나무에서 자생하고 있는 상황버섯 형태의 자실체를 채집하고, 그 자실체로부터 Phellnus속의 한 균주를 분리동정하였으며, 액체배양에 의하여 분리 균사체의 대량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배지조성 및 배양장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실체는 표면이 검으며 거칠고, 갓의 안쪽은 황갈색으로 평평하였으며, 자실층이 두터웠고(5-7 cm), 말굽형으로 조직이 매우 단단하여 전형적인 상황버섯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 조직 일부를 water agar에 이식하여 순수분리한 결과, 분리된 균사체는 황갈색으로, PDA 평판배지에서 자갈색의 색소를 분비하였으며, 균사는 clamp connection을 형성하지 않았고, 많은 branch가 있었다. 또 laccase, tyrosinase 및 peroxidase activity를 가지고 있어, 본 균주는 Phellinus속의 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플라스크 배양에서 균사체 생성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은 접종비 5%(v/v), 배지액량 70 mL, 교반속도 150rpm, 초기 pH 6, 배양온도 $30^{\circ}C$ 및 배양기간은 8일이었다. 또,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최적 배지조성은 glucose 12.12 g/L, sucrose 12.12 g/L, yeast extract 11.15 g/L, malt extract 11.15 g/L, $KH_2PO_4$ 0.855 g/L 및 $CaCl_2$ 0.855 g/L 이었으며, 배양 4일 및 8일 후 균사체량은 각각 1.95 및 9.89 g/L 이었고, 최대 비생육속도 $0.020\;hr^{-1}$, 생산성은 1.25 g/L/day이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3종의 배양장치를 사용한 결과, 3 L air-lift fermentor에서 통기량 2.5 vvm으로 4일간 배양하였을 때, 약 7.5g/L의 균사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최대 비증식속도는 $0.033\;hr^{-1}$, 생산성은 1.9g/L/day로, 같은 기간내 플라스크 배양시 보다 각각 1.7 및 4.2배가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신령버섯(Agaricus blazei)으로부터 면역증강활성 다당류의 분리 및 화학적 특성 (Chemical Features and Purific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from the Fruit Bodies of Agaricus blazei)

  • 조수묵;박정식;김광포;차동열;김환묵;유익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70-174
    • /
    • 1999
  • 인공 재배된 신령버섯(Agaricus blazei)의 자실체를 열풍 건조한 다음 다당류를 추출, 분리 정제하여 항암면역활성을 측정하고 그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일부를 조사하였다. 면역증강 다당류는 0.9% sodium chloride와 열수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에탄을 침전, 투석 및 동결건조로 얻었으며, 이들 다당류는 이온 교환수지와 겔을 사용하여 균질한 다당류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다당류의 임파구의 항체 형성능 촉진 효과를 in vitro에서 조사한 결과, 0.9% sodium chloride 추출 분획에서 AG-2가, 열수 추출 분획에서 AG-6, -7 및 -8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AG-3이 양성 대조구(LPS)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활성이 비교적 높은 다당류의 경우 주로 glucose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질과 결합된 단백-다당체이었다. 정제된 다당류는 AG-4를 제외하고 모두 glucose를 비롯한 $2{\sim}6$종의 단당류를 갖고 있는 heteropolysaccharide이었으며, AG-1의 경우 galactose, mannose 및 fucose가 79.1:8.9:12.0의 몰비로, AG-5의 경우 glucose, mannose 및 xylose가 45.6:17.9:25.2의 몰비로 존재하였으며, 이들 두 분획은 약한 면역증강활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