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extract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24초

오디 추출물 첨가가 요구르트 스타터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Growth of Yogurt Starter Cultures)

  • 서형주;김영순;김진만;이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4-147
    • /
    • 2006
  • 발효 유제품 제조에 오디 추출물을 첨가할 때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오디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하여 오디의 이용성을 넓히고자 한다. 오디 추출물은 에탄올 함량이 60%일 때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보였다. L. casei와 L. acidophilus의 생육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오디 추출물을 1%, 5%, 10% 첨가시킨 후 MRS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후 pH, 총산도 및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첨가량이 1%일 때 가장 낮은 pH 4.19와 4.11를 보였으며, 생균수 측정시 오디 추출물 무첨가시 $2.3{\times}10^9{\sim}4.2{\times}10^{10}\;CFU/mL$의 생균수를 보인 반면 오디 추출물 첨가시 $1.8{\times}10^9{\sim}7.8{\times}10^{10}\;CFU/mL$의 생균수를 보임에 따라 다소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또한 총산도 역시 오디 추출물 첨가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 casei와 L. acidophilus을 이용한 발효 유제품 제조시 오디 추출물을 각각 1% 첨가시 발효 유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오디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 유제품의 산도 및 생균수가 첨가하지 않은 발효 유제품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오디 추출물 1% 첨가시 산도를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을 이용한 발효 유제품의 산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균수 역시 $6.9{\times}10^{10}\;CFU/mL$로 가장 많은 생균수를 보였다.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s from the Fruit Body of Lentinus edodes on Rat Intestinal Mucosa $\alpha$-glucosidase Activity and Reducing the Increase of Blood Glucose after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문혜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3-68
    • /
    • 2008
  • The aqueous extract from the fruit body of Lentinus edodes was evaluated fo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lpha$-glucosidase isolated from Spargue-Dawley male rats. A aqueous extract of Lentinus edodes exhibited 13.8% inhibitory activity on using 2 mM p-nitrophenyl $\alpha$-D-glucopyranoside as a substrate ($IC_{50}$ 75.3 mg/ml). The aqueous extract of Lentinus edodes inhibition type on $\alpha$-glucosidase was determined to be competitive inhibition. When it was oral administered to increase of blood glucose levels after STZ-induced in a dose dependent dieta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ueous extract of Lentinus edodes effect a metabolism of intestine, and thereby reducing the increase of blood glucose after STZ-induced.

  • PDF

비타민나무열매, 아사이팜열매, 망고, 레몬, 살구 및 블루베리의 혼합 발효추출물의 효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Mixed Fermented Extract of Vitamin Tree Fruit, Acai Palm Fruit, Mango, Lemon, Apricot and Blueberry as an Active Ingredient)

  • 김수창;이미래;조원표;윤여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5-244
    • /
    • 2022
  • 본 연구는 비타민나무열매, 아사이팜열매, 망고, 레몬, 살구 및 블루베리의 혼합 발효물이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독성, 라디칼 소거 능력, 엘라스타아제, 보습, 항균 활성 측정을 수행 및 확인하였다. 혼합 발효추출물의 세 농도(0.5 / 1.5 / 2%)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아 해당 농도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항산화 소재의 대표적 원료인 L-ascorbic acid와 비교하는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은 혼합 발효추출물의 농도가 2%일 때, Sample 1 ~ 7은 각각 95.1 ± 0.6%, 94.3 ± 0.7%, 95.3 ± 0.6%, 95.1 ± 0.7%, 95.1 ± 0.3%, 95.5 ± 0.3%, 그리고 95.4 ± 0.4% 로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확인하였다. 세 농도(0.5 / 1.5 / 2%)에서 농도의 증가와 블루베리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sample 7은 2% 농도에서 대조예인 retinol crystal과 같은 0.9 cm로 엘라스타제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보습 활성 또한 HAS-3 증가율이 세 농도에서 각각 71.5%, 75.6%, 81.6%로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은 혼합 발효추출물의 농도가 0.5%에서 2%로 증가, 블루베리 함량의 증가에 따라서 우수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혼합 발효추출물의 농도가 2%에서 sample 7에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에 대한 항균 활성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혼합 발효추출물 2%의 농도에서 항산화, 보습, 항균성을 가지는 화장품 성분으로서 개발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Composition of Extracts from Mulberry (Morus alba L.) Fruit

  • Bang, In-Soo;Park, Hee-Yong;Yuh, Chung-Suk;Kim, Ae-Jung;Yu, Chang-Yeon;Ghimire, Bimal;Lee, Han-Shin;Park, Jae-Gun;Choung, Myoung-Gun;Lim, Jung-Dae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0-127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fruit (Morus alba L.) to influence the inhibitory activity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nd xanthine oxidase(XOase).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sixteen phenolic compounds were investigated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potent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bility of mulberry, it has been evaluated for anti-oxidative activity using Fenton's reagent/ethyl linoleate system and fo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the 1,1-diphenyl-2-picryl hydrazyl free radical generating system.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total of phenolic compounds in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levels than water extract in mulberry fruit six phenolic compounds (chlorogenic acid, narigin, syringic acid, quercetin, naringenin, kampferol) has a higher individual phenolic compound content in the 60% ethanol extraction than 80% ethanol extract. The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were highest in 80% ethanol extract (9.0%). Also, activity of xanthine oxidase(XOase) inhibition appeared highest in 80% ethanol extracts and correlated well with the total phenolic content, which was modulated by the concentration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This result revealed, that strong biological activity was caused by specific phenol compound contents. Utilization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fruit are expected to be good candidate for development into source of free radical scavengers and anti-hypertentive activity

팥바구미에 대한 도꼬마리 열매의 살충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ies of Common Cocklebur Fruit Extract against Pulse Beetle Callosobruchus chinensis (Coleoptera: Bruchidae))

  • ;;;;전용호;전익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25-329
    • /
    • 2012
  • 화학합성 농약을 대체하기 위한 친환경 방제법 개발을 위해 1, 2, 4%의 도꼬마리 열매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하여 팥바구미 살충력을 실험하였다. 실험한 추출 농도에서 곤충 치사율, 기피성, 산란율과 성충 우화 및 팥의 피해 억제에 효과를 보여 주었다. 4%의 추출물은 처리 후 2일 후에 26%의 치사율과 처리 후 3시간에 53.3%의 기피율을 각각 보였다. 또한 4%의 추출물을 팥과 섞었을 때 가장 낮은 산란율(113.7/암컷)과, 성충 우화율이 가장 많이 억제(37.0%)되었고 종자 손상을 가장 적게(42.3%)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도꼬마리 추출물이 저장곡물을 팥바구미로부터 보호하는 종합적 방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hibition of lipid and protein oxidation in raw ground pork by Terminalia arjuna fruit extra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Chauhan, Pranav;Pradhan, Soubhagya Ranjan;Das, Annada;Nanda, Pramod Kumar;Bandyopadhyay, Samiran;Das, Aru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265-273
    • /
    • 2019
  • Objective: Terminalia arjuna plant, specially its leaves, bark, and roots, are widely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due to presence of bioactive components and being a rich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But its fruit has not been used for any such purposes despite its potential to retard oxidation. Hence,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Arjuna fruit extract (AFE) in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of raw ground pork was evaluate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for 9 days. Methods: The AFEs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solvents viz. ethanol (EH), water, ethanol: water (60:40) and methanol:hot water (60:40). The AFEs were analysed for total phenolic content (TPC), 2, 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ater extract (WE) and ethanol-water extract (EH-WE) were selected and incorporated at 1.0% into freshly minced pork meat and compared with a synthetic antioxidant, in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during storage. Results: The TPC in AFEs using different solvents ranged from 11.04 to 16.53 mg gallic acid equivalents/g and extracts exhibited appreciable scavenging activity ranging from 50.02% to 58.62%. Arjuna extracts significantly (p<0.05) improved the colour score of meat samples by reducing the formation of metmyoglobin during storage. Both the AFEs (WE and EH-WE) significantly (p<0.05) lowered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peroxide formation and formation of protein carbonyls in raw pork than control sample during storage. Upon sensory evaluation of all samples, it was found that AFE treatment could prolong the storage period of meat samples, without influencing the colour and odour score, up to 6 days. Conclusion: AFEs used at 1% improved the oxidative stability, colour and odour score and prolonged the refrigerated shelf life of ground pork up 6 days. Therefore, AFE could be explored as an alternative natural antioxidant in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in meat products.

Antioxidant Effects of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Extracts on Peroxidation of Refrigerated Eels

  • Song, Hee-Su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8-95
    • /
    • 2022
  • The antioxidant effects by pre-treatment of Hutgae fruit water and ethanol (30°, Soju) extract on refrigerated eels were analyz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through DPPH and ABTS scavenging effect, values of acidity, peroxide, carbonyl, and TBA. The peroxide prevention effects of linoleic acid and eel oil were also assessed. Regarding DPPH radical scavenging, Hutgae ethanol extract presented higher scavenging effects than vitamin C 5 mM solution (p<0.05). The eel's peroxidation degree was measured through 21 days of refrigeration after cleaning and immersion into the extract solution for one hour. Upon measuring the values of four different peroxide indicators, those of eels pre-treated with Hutgae extracts were lower than those of eels untreated. The POV of Hutgae ethanol extract, vitamin C 5 mM, and the control was 11.1, 11.3, 15.5 meq/kg, respectively. Hutgae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in TBA value, and carbonyl value than other samples. In linoleic acid or eel oil, Hutgae extract was as superiorly effective in preventing peroxide generation of refrigerated eels as vitamin C 10 mM solution. In conclusion, pre-application of Hutgae water and ethanol (30°, Soju) extract on eels was proved to be competent in stopping peroxidation of eel in refrigeration.

연복자 추출물의 Phenolic acids와 Flavonoids의 조성 및 화장품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and Skin Care Cosmetic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s)

  • 장아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65-371
    • /
    • 2021
  • 이 연구는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polyphenol과 flavonoid의 함량과phenolic acid와 flavonoid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고, 이 추출물에 대한 일부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므로 스킨케어 기능성 화장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은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과피 추출물이 씨앗 추출물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henolic acid는 열수 추출물에서 2종, 80% 메탄올 추출물에서 6종이 확인되었다. Flavonoids는 열수 추출물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8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1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DPPH와 ABTS의 라디칼 소거능은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어 피부관리를 위한 기능성 화장품 성분원료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발효 콩 추출물과 비가림 시설이 '신고' 배나무의 생육과 병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Extracts and Rain-shelter System on Growth and Disease Occurrence of 'Niitaka' Pear)

  • 임경호;김병삼;김덕현;손장환;박신;조동호;정석규;최현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57-570
    • /
    • 2016
  • 본 시험은 6년생 '신고' 배(Pyrus pyrifolia Nakai)나무의 병해충 유기농자재 개발을 위하여 발효 콩 침출액과 비가림 시설을 통한 생육양상과 방제효과를 2년간 비교하였다. 2013년에는 예비시험으로 노지에서 발효 콩 침출액을 6회 엽면 살포 하였으며 2014년에는 노지와 비가림 시설에서 발효 콩 침출액을 처리하였다. 2013년에 발효 콩 침출액이 대조구보다 잎의 전질소가 0.46% 정도 증가되었고, 칼륨(0.17%), 칼슘(0.19%), 마그네슘 농도(0.06%)도 상승되었지만 2014년에는 비슷한 수준이 관찰되었다. 노지와 비가림 시설 간의 비교에서는 비가림에서 재배된 잎의 전질소, 칼슘, 마그네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과총엽, 잎건물중, 약해, 그리고 신초생장 정지율은 대조구와 콩 침출액 간에 두 해 모두 비슷하였고, 비가림 시설은 잎 건물중을 증가시켰고 약해에 대한 피해가 관찰되지 않았다. 과실품질은 대조구와 콩 침출액 간에 두 해 모두 비슷하였고, 과육경도는 콩 침출액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2014년에 비가림 시설은 노지보다 수확 일을 4일 앞당겼고 ha당 수량과 평균과중은 각각 약 7톤과 20 g 이상 증가시켰고 당도도 향상되었다. 처리 2년간 발효 콩 침출액은 잎과 과실의 병해충 방제에 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2014년에 노지와 비가림 간의 병해충 비교에서는 비가림에서 배나무 잎의 검은별무늬병 발생이 크게 증가되었고, 과실에서도 붉은별무늬병 발병률은 63.8%로 나타났다. 이는 5월에 강풍과 비바람에 의하여 비가림 시설 내의 습도가 증가하여 이병률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친환경 방제법 개발이 요구되었다. 발효 콩 침출액 처리는 배나무 생육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장기간에 걸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가림은 노지보다 과실생산성을 향상시켰고 수확시기를 앞당겨서 추석이 다소 이른 9월 중하순 이었을 때 효과적인 시설로 사료되었다.

정성적 소비자 조사를 통한 오미자에 대한 소비자 인식연구 (Consumer Awareness on Omija using Qualitative Consumer Research)

  • 김미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6-404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urrent consumer awarenes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on) fruit in order to develop ready-to-drink (RTD) Omija-flavored beverages using qualitative consumer analysis. A series of four different focus group interview sessions were conducted using carefully chosen consumers with specific demographics, and each group involved eight respondents. Consumer's qualitative reactions regarding Omija fruit, Omija extract products, ready-to-drink beverages and Omija-flavored RTD beverages were explored. Distinct differences in consumer awareness and consumption patterns of Omija extract and RTD beverages were observed between consumers in their 20s and consumers in their 30s to 50s. The expected sensory characteristics of Omija-flavored RTD beverages were also different based on participants' ag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can aid product developers utilizing Omija fruit by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current consumer behavior and consumer awareness regarding Omi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