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decay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4초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가 오이의 신선도 유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1-MCP) on the Postharvest Life and Fruit Quality of Cucumber)

  • 양용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82-1888
    • /
    • 2008
  • 1-MCP(1-methylcyclopropene) 처리에 의한 오이 'Baekdadaki'의 수확 후 품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MCP의 농도별 250ppb, 500ppb, 1,000ppb 처리 후 상온과 저온($10^{\circ}C$)으로 나누어 저장하면서 생리적 특성변화 및 호흡율, 에틸렌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로 생체중과 경도는 상온, 저온 모두 저장 중 감소하였고 1-MCP 처리중에는 저온의 500ppb 에서 가장 적은 감소율을 보였다. 노화의 지표인 과피 b값은 상온괴 저온 모두 1-MCP 250, 1,000ppb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저온저장 15일째에 황화와 함께 과실 무름 현상이 나타났다. 오이의 저온저장 15일 동안 1-MCP 500ppb 처리에서 가장 낮은 부패율을 나타내어 상품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하였다. 호흡율은 1-MCP 250ppb 처리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에틸렌 발생량은 상온 저장된 1,000ppb 에서 저장 6일 동안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오이 'Baekdadaki' 품종의 수확 후 품질은 1-MCP 500ppb 농도에서 가장 좋은 품질을 유지하였고 여러 농도의 1-MCP 처리에서 에틸렌 생성이 억제되지는 않았다.

Effect of essential oils and linalool on berry quality during simulated marketing of 'Shine Muscat' grapes

  • Yu-Rim Kim;Hyeong-Seok Lee;Young-Jik Ahn;Jinwook Lee;Jong-Pil Ch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973-981
    • /
    • 2022
  • 'Shine Muscat' (Vitis labruscana Bailey x Vitis vinifera L.) grapes recently have been greatly favored in Korea, and as of 2022, account for 38.6% of the total grape market in Korea.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ost-harvest quality control appropriat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hine Muscat'. In order to continuously increase domestic demand and exports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proper postharvest techniques. Essential oils have remarkable potential as biologically ac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ntiseptics for the fruit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ssential oils and aroma constituent treatment on fruit quality attributes of 'Shine Muscat' grapes in order to extend fruit quality during a simulated export period. A cluster of 'Shine Muscat' grapes was placed in a newly developed paper box container, and treated with rosemary essential oil, thyme essential oil, and linalool, along with an untreated control.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fruit quality indices, such as cluster weight loss, berry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titratable acidity, sugar acid ratio, and color change, bu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alleviation of berry shatter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rosemary oil treatment reduced the proportion of unhealthy berrie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wly developed packaging container along with certain essential oil treatment could be applied as a promising packaging material for table grape export.

왁스코팅, 종이포장 및 필름포장이 온주밀감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Storage Life of Satsuma Mandarin as Affected by Wax-coating. Paper Packaging and Film Packaging)

  • 고정삼;김지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8-143
    • /
    • 1998
  • The stowage effects of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var. miyagawa) were investigated by selecting various pretreatmnents; non-tested, wax-coating, paper packaging, 0.02mm cryovac film packaging. Weight loss of film packaging was the lowest among that of others, but decay radio was increased highly at late stages of storage. Soluble solids, moisture content of peel and total sugar were maintained almost constant, but acid content, vitamin C and firmness were reduced gradually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or 100 days storage, losses from weight and decay of ton-treated, paper packaging, wax-coating and film packaging were 15.9%, 18.5%, 17.4% and 12.9%, respectively. Acid content was decreased loom 1.28% to 0.81∼0.91% after 100 days storage. Ethylene evolution was increased in a degree after 65 days storage, and the amount was increased repidly afer 115 days. it seemed to be derived from decayed frui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CO2 content of inner part of fruits was increased between 40∼100 days after storage. Optimum storage period of early variety of Satuma mandarin was regarded for 100days on the basis of appeareance and taste.

  • PDF

천연항균제처리에 의한 과채류의 선도유지 및 병해방지에 관한 연구 -Grapefruit 종자추출물로 부터 활성물질의 분리를 중심으로- (Prevention from Microbial Post-harvest Injury of Fruits and Vegetables by Using Grapefruit Seed Extract, a Natural Antimicrobial Agent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grapefruit seed extract-)

  • 조성환;김기옥;이근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
    • /
    • 199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bactericides and fungicides against fruit & vegetable decay grapefruit seed extract(GFSE) was tested in a dilution solution. GFSE was shown to be effective against decay and rind breakdown and to extend the shelf-life of fruits and vegetables during storage and tiansport. Antimicrobial efficiency of GFSE on a wide spectra of gram + & - bacteria, moulds and yeasts was demonstrated by the measurement o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performed (Bacteria 10-500ppm, Fungi:250-1,000ppm, Yeasts:100-250ppm). GFSE was separated and extracted into water-soluble fraction, water-insoluble and non-dialyzed fraction to isolate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The water-soluble fraction showed the most active antimicrobial effect.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were isolated by gas chromatography. As the result of the isolation using GC, Peak-D was found to be the antimicrobial compound in GFSE. The identification of the most antimicrobial substance was carried out by using GC-MS.

  • PDF

저온저장 온도가 '상주둥시' 감의 과실품질 및 저장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Fruit Quality Attributes and Storage Disorders in Cold-stored 'Sangjudungsi' Persimmon Fruit)

  • 유진기;강인규;박준연;김경욱;나이묘위;류슬기;김대현;정명근;이진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2-269
    • /
    • 2016
  • 본 연구는 '상주둥시' 감을 3개월동안 -1, 0.5, $3^{\circ}C$에 저장하면서 감 과실의 과실품질 변화와 저장장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른 감 과실의 에틸렌 발생량은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그 발생량이 낮았으나 호흡율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과실의 경도는 모든 처리구들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였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과실 경도의 저하는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저장기간이 길어지고 저장온도가 높을 수록 과실의 연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과실의 감모율도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도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더 높게 유지되었다. 감 과실의 과정부와 과실측면의 과피색 $L^*$, $a^*$, $b^*$ 값의 변화는 저장온도 $-1^{\circ}C$$0.5^{\circ}C$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으나, $3^{\circ}C$처리구에서는 과피색의 변화가 현저히 적었다. 저장중 발생하는 생리장해증상인 과피흑변, 과실연화 및 부패정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그 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과실품질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수확 후 품질에 미치는 저장온도 및 1-MCP 처리의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1-MCP Treatment on Postharvest Quality in Plumcot Hybrid cv. Harmony)

  • 임병선;윤석규;남은영;천종필;조미애;정대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203-210
    • /
    • 2013
  • 본 실험은 자두와 살구의 종간잡종인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수확 후 적정저장 온도를 구명하고 에틸렌작용 억제제인 1-MCP 처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과실은 숙기를 3가지로 구분하여 수확 후 각각 0, 5, 10 및 $20^{\circ}C$의 온도에 저장하였고, 1-MCP($1{\mu}L{\cdot}L^{-1}$) 처리는 $10^{\circ}C$에서 24시간 처리 후 $10^{\circ}C$에 저장하였다. 온도가 낮은 저장조건일수록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호흡량을 현저히 낮추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호흡량의 증가와 함께 품질이 빨리 저하되었다. 저장온도 $20^{\circ}C$는 과실의 부패가 빠르게 촉진되어 유통조건으로 부적합하였다. 숙기에 따른 품질은 30-50% 정도의 붉은 착색 과실이 양호하였는데 특히, $10^{\circ}C$에 저장할 때, 식미가 가장 양호하였다. 1-MCP는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연화, 색도 변화, 산도 변화 등 전체적인 품질의 변화를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온주밀감의 저장전 고온 예조가 저장중 과실의 착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Temperature of Pretreatment on the Color Development and Quality of Satsuma Mandarins)

  • 남기웅;권혁모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7-66
    • /
    • 2002
  • 온주밀감 마착색 과실을 대상으로 고온 예조를 통해 과피의 착색 증진과 저장성 향상을 위하여 시험한 결과, 고온 예조 처리한 과실은 과피색을 촉진시켰다. 저장중 자연감량은 착색도와 관계없이 20$^{\circ}$ 예조처리 구에서 적었으며 부패과 발생은 3월 중순까지는 20$^{\circ}$ 예조 처리구에서 적었으나, 저장후기인 3월 하순부터는 효과가 없었다. 저장중 가용성고형물과 산함량은 상온 예조보다는 고온 예조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 PDF

Effect of Potassium Silicate Amendments in Hydroponic Nutrient Solution on the Suppressing of Phytophthora Blight (Phytophthora capsici) in Pepper

  • Seo, Sang-Tae;Wang, T.C.;Jang, Han-Ik;Pae, Do-Ham;Engle, L.M.;Lee, Jung-Sup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77-282
    • /
    • 2004
  • Amendments of a recirculating nutrient solution with potassium silicate were evaluated as a means to control Phytophthora capsici infections on pepper plant(Capsicum annuum L.). Supplying the solutions with 100 or 200 ppm of silicate significantly reduced motility, root decay, and yield losses attributed to infection of P. capsici. Treating inoculated plants with potassium silicate increased root dry weights and number of fruit, especially high-grade fruit. Results were slightly superior to non-inoculated controls. The two varieties, PBC 137 and PBC 602, responded similarly to the treatm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100- and 200 ppm silicate treatments. Results were better when greenhouse conditions favored the spread of P. capsici. Silicon alone did not increase pepper yield, suggesting that it acts as a disease suppression agent rather than as a fertilizer, The phenomena by which silicon confers protection against P. capsici infection and disease development are not fully understood, but our results indicate that mechanisms other than a mechanical barrier to fungal penetration are involved.

저장 환경과 숙기 정도가 파프리카 과실의 저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aturity of Fruit and Storage Condition on the Storability of Sweet Pepper in MA Storage)

  • 최인이;김일섭;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9-324
    • /
    • 2008
  • 우리나라 수출 작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파프리카의 두 품종을 성숙 정도와 저장 조건을 달리하여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국내에서 많이 재배되는 'Special'과 'Fiesta' 두 품종을 수경재배하여 미숙과와 완숙과 상태로 수확한 후 무공 필름과 유공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9^{\circ}C$에 저장하였다. 가장 긴 저장 수명을 보인 저장 조건을 $4^{\circ}C$에 포장 내 5%의 이산화탄소와 10%의 산소 농도를 보인 무공처리였다. 무공 처리의 경우 저장온도, 품종, 숙기정도에 관계없이 $3{\sim}9{\mu}l/l$ 에틸렌 농도를 보였으나 경도와 생체중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유공처리와 비교해서 부패율에도 차이가 크지 않았다. 50% 착색된 반숙과의 과피색은 $9^{\circ}C$와 무공 필름 처리에서 많이 착색되었으나, 완숙과 수준까지 진전되지는 못하였다. $4^{\circ}C$에서 20일간 저장한 후 상온에서 3일간 정치한 완숙 'Special'의 저온장해 정도를 전해질 용출량과 호흡 속도로 비교한 결과, 무공필름 포장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따라서 파프리카의 장기 유통 및 저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무공 필름 포장과 저온장해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의 저장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배 분홍빛썩음병 발생 (Pink Mold Rot on Asian Pear (Pyrus serotina Rehder)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 in Korea)

  • 권진혁;이흥수;최시림;조용조;최옥희;조현숙;심창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3-380
    • /
    • 2013
  • 2012년 10월 경상남도 진주시 농가포장에 재배중인 성숙기 배 과실에서 분홍빛썩음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배 과실 표면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위에 분홍빛 곰팡이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총의 색깔은 처음에 흰색이고 배양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배지 표면에 분홍빛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이었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서양배형이며 좌우 지그자그로 부착하며 성숙한 분생포자는 2세포로 되어있다. 크기는 $10{\sim}22(34){\times}6{\sim}10(12){\mu}m$이었다. 분생자경은 균사표면에 직립으로 형성하고, 폭이 4~5 ${\mu}m$이고 무색이었다. 동정을 확실시하기 위해 rDNA의 complete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분석된 염기서열(613 bp)을 BLASTN 프로그램으로 확인한 결과, T. roseum(GenBank accession no. JQ898156)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배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이 병을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에 의한 배 분홍빛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