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ozen-thaw Seme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초

개의 동결 정액 제조시 Straw의 크기와 융해온도가 정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aw Size and Thawing Rate on Post-thaw Quality of Bog Semen)

  • 손정민;김영실;신영지;임영환;윤기영;이두수;신상태;조종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7-83
    • /
    • 2006
  • 본 연구는 개 동결 정액 융해 시 straw 크기 및 융해 속도가 융해 정자의 질(quality)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의 융해 조건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상적인 번식능을 가진 비글 수컷 5마리에서 정액을 채취하여 원심 분리하여 정장을 버리고 남은 정자에 동결보호제인 glycerol이 첨가된 tris-glucose-egg yolk extender를 첨가하여 동결하고 액체질소에 보관한 후 융해하였다. 동결 융해 조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traw는 0.25 ml과 0.5 ml크기를 사용하였고 융해 조건은 $75^{\circ}C$에 10초, $55^{\circ}C$에 12초 및 $37^{\circ}C$에서 120초로 하여 융해 후 정자의 활력도(vigor), 운동성(motility), Hypo-osmotic test(HOS test)를 이용한 생존성(viability) 및 $SperMac^{\circledR}$ 염색을 하여 정자의 membrane integrity를 비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0.5 ml 크기의 straw를 사용한 경우 $37^{\circ}C$ 융해가 $55^{\circ}C,\;75^{\circ}C$ 융해보다, 0.25 ml 크기의 straw를 사용한 경우에는 $37^{\circ}C,\;55^{\circ}C$ 융해가 $75^{\circ}C$ 융해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 지수 및 생존성을 보였다(P<0.05). Straw크기에 따라 비교하였을 경우 0.5 ml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도, 생존성 및 membrane integrity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개 정액이 동결 및 융해 시 0.5ml straw를 이용하여 동결한 후 $37^{\circ}C$에서 120초 동안 융해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임이 사료된다.

Tris-buffer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가 동결ㆍ융해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ind of Sugar Added in Tris-buffer on Motility of Post-thaw Spermatozoa in Canine)

  • 유대중;정수룡;오인석;김흥률;이계웅;조성균;배인휴;양철주;공일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43
    • /
    • 2002
  •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액 제조 시 동결보호 희석액 내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와 조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자동결 시 straw size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희석액은 Tris-citric acid extender (Tris-buffer)의 기본용액에 20% Egg-yolk, 8% glycerol, 1% Equex STM paste등을 첨가하였으며, 당 성분으로는 monosaccharide(fructose 및 xylose) 및 disaccharide(trehalose)로 구분하여 최종 70 mM의 농도로 첨가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ontrol (fructose, xylose, trehalose), two combination (Fru+Tre, Fru+Xy1, Tre+Xy1) 및 three combination (Fru+Tre+Xy1)으로 구분하여 Tris-buffer에 첨가하였다. Fru+Tre+Xy1처리구에서 CASA분석 후 운동성이 fructose, trehalose, xylose, Fru+Tre, Fru+Xy1, Tre+Xy1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 (69% vs 58, 61, 50, 65, 20, 54%). 또한 전진운동율은 Fru+Tre 처리구가 fructose, trehalose, xylose, Fru+Xy1, Tre+Xy1, Fru+Tre+Xy1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 (59% vs 47, 55, 42, 13, 49, 44%).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Tris-buffer에 F겨+Tre를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예비동결 10분에서 0.25$m\ell$ straw를 이용하였을 때 10분 예비동결에 0.5 $m\ell$, 5분 예비동결에 0.25 및 0.5 $m\ell$ straw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얻었다 (80+0.0 vs. 65+7, 68+16, 58+8%). 본 연구결과 70 mM Fru+Tre (two combination)가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전진운동율을 얻었으며, 0.25 $m\ell$ straw에 10분간 예비동결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높은 동결융해 후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다.

Reproductive Biotechnologies for Improvement of Buffalo: The Current Status

  • Purohit, G.N.;Duggal, G.P.;Dadarwal, D.;Kumar, Dinesh;Yadav, R.C.;Vyas,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7호
    • /
    • pp.1071-1086
    • /
    • 2003
  • Reproductive biotechnologies continue to be developed for genetic improvement of both river and swamp buffalo. Although artificial insemination using frozen semen emerged some decades back, there are still considerable limitations. The major problem appears to be the lack of efficient methods for estrus detection and timely insemination. Controlled breeding experiments in the buffalo had been limited and similar to those applied in cattle. Studies on multiple ovulation and embryo transfer are essentially a replica of those in cattle, however with inherent problems such as lower number of primordial follicles on the buffalo ovary, poor fertility and seasonality of reproduction, lower population of antral follicles at all stages of the estrous cycle, poor endocrine status and a high incidence of deep atresia in ovarian follicles, the response in terms of transferable embryo recovery has remained low with 0.51 to 3.0 per donor and pregnancy rates between 15 to 30%. In vitro production of buffalo embryos is a valid alternative to recovery of embryos by superovulation. This aspect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during the past decade, however the proportion of embryos that develops to the blastocyst stage is still around 25-30% and hence the in vitro culture procedures need substantial improvement. Embryo cryopreservation procedures for direct transfer post thaw need to be developed for bubaline embryos. Nuclear transfer and embryo cloning is a technique that has received attention in various species during recent years and can be of immense value in buffaloes as they have a low rate of embryo recoveries by both in vitro and in vivo procedures. Gender pre-selection, genome analysis, gene mapping and gene transfer are a few of the techniques that have been studied to a limited extent during recent years and are likely to be included in future studies on buffaloes. Very recently, reproductive bio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feral buffaloes as well, but the results obtained so far are modest. When fully exploited the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Jeju Crossbred Horses 정액 생산 시 Pentoxifylline 농도가 정자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ntoxifylline Concentration on Sperm Quality in Jeju Crossbred Horses)

  • 박설화;신상민;양병철;김남영;우제훈;신문철;유지현;손준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마의 액상정액 및 동결정액의 성상 개선을 위하여 펜톡시필린 수준을 설정하여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을 평가하였다. 말 동결-융해 정액의 30분 경과 후 정액성상 비교 결과 펜톡시필린 4mM(T1)처리구와 8mM(T2)처리구에서 Progressive Motility(PM)가 $53.25{\pm}2.87$, $50.28{\pm}2.14$$40.09{\pm}5.15$$41.27{\pm}2.82$인 대조구와 16mM(T3)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Progressive Fast Motility(PFM)도 펜톡시필린 4mM(T1)처리구와 8mM(T2)처리구가 각각 $22.44{\pm}1.62$$ 22.74{\pm}3.07$로 대조구와 16mM(T3) 처리구의 $13.47{\pm}1.48$$14.66{\pm}3.68$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말 동결-융해 정액의 30분 경과 후 정액성상 비교 결과에서는 총 운동성(Total Motility)에서 T1와 T2가 $68.96{\pm}1.64$$67.90{\pm}6.72$$53.48{\pm}4.84$$58.14{\pm}2.65$인 대조구와 T3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운동성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펜톡시필린 4mM와 8mM를 처리했을 때 대조구보다 정자의 운동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펜톡시필린 16mM 이상의 처리에서는 정자 성상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액상정액 보존 과정에서 발생하는 ROS로부터 정자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동결-융해 정액의 펜톡시필린 처리구 4mM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융해 후 1시간 동안 총운동성이 약 10%가량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펜톡시필린 처리가 동결-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을 10% 이상 개선시킨다는 Taylor 등(2013)의 보고와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펜톡시필린이 동결-융해 후 정자 운동성 향상 등 정자 성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결보존액에 Zardaverine의 첨가가 동결-융해 후 돼지 정자의 운동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ardaverine in Freezing Extender on Kinetic Characteristics of Post-Thawed Boar Sperm)

  • 김정아;조은석;정용대;최요한;홍준기;김영신;정학재;백선영;사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251-25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동결보존액에 대한 Zardaverine (phosphodiesterase inhibitor) 첨가가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운동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돼지정액의 동결보존은 보조 번식기술 및 유전자원 장기보존을 위해 유용하게 이용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정자세포를 동결-융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충격은 정자의 수정능력을 급격히 저하시킨다. 정액샘플은 성숙한 Duroc종 수퇘지로부터 채취했으며, lactose-egg yolk 동결보존액에 다양한 농도로 Zardaverine (0, 20, 50, 75 및 100 𝜇M)을 첨가하여 정액을 동결하였다. 융해 후 정자세포의 운동학적 특성 분석은 정자운동성자동분석기(CASA; computer-assisted sperm analysis)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융해 직후 정자의 운동성(MOT)은 타처리구에 비해 20 𝜇M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Curvilinear velocity (VCL)은 0 𝜇M 과 20 𝜇M 처리구가 75 𝜇M 처리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Average path velocity (VAP)는 20 𝜇M 처리구가 100 𝜇M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Amplitude of head lateral displacement (ALH)는 20 𝜇M 처리구가 50 𝜇M과 100 𝜇M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결용 보존액에 대한 Zardaverine 첨가가 동결-융해된 돼지 정자의 운동학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