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water red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염분변화 속도를 달리한 담수순화 과정에서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생리학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during Freshwater Acclimation with Different Speeds in Salinity Change)

  • 김영수;도용현;민병화;임한규;이복규;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8-3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강도다리의 담수순화방법으로 급격한 염분변화(AD)와 단계적인 염분변화(SD II과 III)를 주었을 때 강도다리의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AD에서 Ht, RBC 및 Hb는 Exp. II에 비해 증가하는 값이 높게 나왔으며 회복하는 속도도 느렸다. 그러나 SD II는 Ht, RBC 및 Hb에서 실험개시시수준과 실험종료시의 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D에서 cortisol의 농도는 실험개시시 $2.1{\pm}1.0{\mu}g/mL$로부터 실험개시 후 6시간째에 $13.7{\pm}0.2{\mu}g/mL$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10일째에 $3.10{\mu}g/mL$로 실험개시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SD I에서 cortisol의 농도는 실험개시시 $2.1{\pm}1.0{\mu}g/mL$로부터 6시간째에 $13.6{\pm}0.6{\mu}g/mL$로 증가하였고, 실험종료시인 10일째에 $3.1{\pm}0.4{\mu}g/mL$로 회복되었다. SD II에서 cortisol의 농도는 실험개시시 $2.1{\pm}1.0{\mu}g/mL$로부터 6시간째와 12시간째에 각각 $10.5{\pm}2.5$, $10.8{\pm}5.6{\mu}g/mL$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8시간째부터 실험개시시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글루코스 농도는 AD, SD I과 II에서 cortisol의 경향과 다르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삼투질농도는 실험개시시 $286.8{\pm}3.3\;mOsm/kg$으로 나타났으며, AD와 단계적 염분변화 실험구인 SD I, II에서는 실험종료 시에 각각 $266.3{\pm}8.5$, $242.0{\pm}12.5$, $269.5{\pm}4.9\;mOsm/kg$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의 $Na^+$, $K^+$$Cl^-$ 농도는 AD의 경우, $Cl^-$(mEq/L)만이 실험개시시의 수준과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고, $Na^+$(mEq/L)와 $K^+$(mEq/L)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D I에서도 $Cl^-$(mEq/L)만이 실험개시시의 수준과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고, $Na^+$(mEq/L)와 $K^+$(mEq/L)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orphological, Molecular,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staxanthin-Producing Green Microalga Haematococcus sp. KORDI03 (Haematococcaceae, Chlorophyta) Isolated from Korea

  • Kim, Ji Hyung;Affan, Abu;Jang, Jiyi;Kang, Mee-Hye;Ko, Ah-Ra;Jeon, Seon-Mi;Oh, Chulhong;Heo, Soo-Jin;Lee, Youn-Ho;Ju, Se-Jong;Kang, Do-H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238-246
    • /
    • 2015
  • A unicellular red microalga was isolated from environmental freshwater in Korea, and its morphological, molecular, and biochem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Morph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isolate was a unicellular biflagellated green microalga that formed a non-motile, thick-walled palmelloid or red aplanospore. To determine the taxonomical position of the isolate, its 18S rRNA and rbcL genes were sequenced and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We found that the isolate was clustered together with other related Haematococcus strains showing differences in the rbcL gene. Therefore, the isolated microalga was classified into the genus Haematococcus, and finally designated Haematococcus sp. KORDI03. The microalga could be cultivated in various culture media under a broad range of pH and temperature conditions. Compositions of the microalgal cellular components were analyzed, and its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compositions were estimated to be 21.1 ± 0.2%, 48.8 ± 1.8%, and 22.2 ± 0.9%, respectively. In addition, D-glucose and D-mannose were the dominant monosaccharides in the isolate, and its amino acids were composed mainly of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and leucine. Moreover, sever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ccounted for about 80% of the total fatty acids in Haematococcus sp. KORDI03, and the astaxanthin content in the red aplanospores was estimated to be 1.8% of the dry cell weigh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 Haematococcus sp. isolated from Korea, which may be used for bioresource production in the microalgal industry.

담수 사육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수온 상승에 따른 HSP90, HSP70 mRNA의 발현 및 혈장 cortisol과 glucose 변화 (Expression of HSP90, HSP70 mRNA and Change of Plasma Cortisol and Glucose During Water Temperature Rising in Freshwater Adapted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영;민병화;김나나;조성환;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5-3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담수사육 감성돔을 대상으로 수온을 상승시켰을 때, 세포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HSP90 및 HSP70 mRNA의 발현 정도를, 신경-내분비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혈장 cortisol 및 glucose 농도를 조사하였다. RT-PCR법을 이용하여 생식소로부터 HSP90 (891 bp) 및 HSP70 (465 bp) cDNA 단편을 클로닝 하여, 타 종과 그 상동성을 비교해 본 결과, 감성돔 HSP90은 참돔 HSP90과 99%, 무지개송어 HSP90과 95%, 대서양 연어HSP90과 94%, zebrafish HSP90과 94%로 나타났으며, 감성돔 HSP70은 무지개송어 HSP70과 96%, silver seabream HSP70과 95%, zebrafish HSP70과 95%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감성돔의 사육수온을 $30\;^{\circ}C$로 상승시켰을 때, HSP90 mRNA는 모든 조직에서 그 발현 정도가 $20\;^{\circ}C$ 실험구에 비하여 $7{\sim}9$배 정도 높았으나, HSP70 mRNA는 생식소에서만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cortisol 및 glucose 농도는 $20\;^{\circ}C$ 실험구에 비하여 $30\;^{\circ}C$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섬진강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어류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Pisces: Gobioninae)의 산란특성 (Spawning Characteristics of an Endangered Freshwater Fish Microphysogobio koreensis (Pisces: Gobioninae) in the Semjingang (river) from Korea)

  • 박종성;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1-266
    • /
    • 2017
  • 모래주사 Microphsygobio koreensis는 환경부에 의해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는 한국 고유종이다. 본 연구에서 모래주사의 산란시기와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종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는 2011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전북 임실군 신평면 덕암리에서 실시하였다. 자연 상태와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산란시기는 4~5월로 산란 성기는 수온이 $20{\sim}23^{\circ}C$인 5월초로 확인되었다. 산란시기의 수컷은 몸 전체가 밝은 주황색을 띄고 아가미 뒷부분에서부터 미병부까지 이어지는 중앙 줄무늬와 가슴지느러미 그리고 배지느러미가 붉어지는 특징을 보였고 추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암컷은 몸 전체가 어두운 갈색을 가졌다. 난소 내 포란수는 10,705~22,165 ($15,573{\pm}4,274$)개였고 성숙난의 수는 1,100~5,920 ($3,383{\pm}2,126$)개로 나타났으며 성숙난의 비율은 10.3~44.8 ($22.4{\pm}15.6$)%였다. 그리고 성숙난의 크기는 $0.74{\pm}0.06$ (0.60~1.00) mm였다.

해수사육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에 미치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 (Effect of Fish Pathogenic Viruses on Mariculture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김위식;장민석;김종오;전영호;오명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3-18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송어의 해수면 양식장으로의 이동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담수 무지개송어 유래 병원체인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와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를 사용하여 주요 해산 양식 어종인 넙치, 조피볼락, 돌돔, 참돔 및 능성어에 주사한 후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해산 양식 어종 유래 병원체인 marine birnavirus (MABV), hirame rhabdovirus (HIRRV) 및 nervous necrosis virus (NNV)를 사용하여 무지개송어에 대한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IHNV와 IPNV는 주요 해산 양식 어종에 감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무지개송어는 해산 유래 위해 병원체인 MABV와 NNV에 감염되거나 HIRRV에 의해 폐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해수사육 무지개송어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들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Immersion in sea cucumber's steroid extract to increase male production of juvenile freshwater crayfish

  • Gregorius Nugroho Susanto;Endang Linirin Widiastuti;Tri Rustanti;Sutopo Had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48-57
    • /
    • 2023
  •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production for aquaculture is through the cultivation of monosexuals by ensuring genital reversal from which energy for reproduction is diverted towards growth. Masculinization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techniques, where sex development was directed from female to male. This approach only altered the phenotype and not the genotype. The red claw crayfish (Cherax quadricarinatus) was a relatively new commercial commodity, and the males were known to grow faster than females. Hence, it was proposed to use monocultures comprising an all-male population to increase yield using steroid hormone, synthetic 17α-methyltestosterone. However, this technique generated residues that detrimentally affect human health, the environment, and cultivated organisms. Therefore, finding new safe natural steroid sources was essential, and one of which is exploring of natural hormones extracted from the viscera of sea cucumbers (Holothuria scabra Jaeger). This study focused on the determination of male formation and testosterone levels among juvenile crayfish, after immersing in sea cucumber steroid extract (SCSE). A completely random design with factorial was used with two variables, encompassing the varied doses (0, 2, 4 mg/L, 2 mg/L 17α-methyl testosterone as control group) and immersion times of 18 and 30 h. The result showed the dose-dependent ability of SCSE increase the male genital formation and promote the testosterone level of juvenile crayfish. In addition, the testosterone was influenced by dose and immersion duration time, with the highest level of testosterone observed in treatments of 4 mg/L SCSE with 30 h immersion was 0.248 ng/mL, while the male percentage was 77%.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dose and immersion time significantly affected growth and testosterone levels.

Resistance Patterns of Frequently Applied Antimicrobials and Occurrence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in Edwardsiella tarda Detected in Edwardsiellosis-Infected Tilapia Species of Fish Farms of Punjab in Pakistan

  • Kashif Manzoor;Fayyaz Rasool;Noor Khan;Khalid Mahmood Anjum;Shakeela Parvee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5호
    • /
    • pp.668-679
    • /
    • 2023
  • Edwardsiella tarda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sh pathogens, causes edwardsiellosis in a variety of freshwater fish species, and its antibiotic resistance against multiple drugs has made it a health risk worldwide.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biotic resistance (ABR) genes of E. tarda and establish its antibiotic susceptibility. Thus, 540 fish (299 Oreochromis niloticus, 138 O. mossambicus, and 103 O. aureus) were collected randomly from twelve fish farms in three districts of Punjab in Pakistan. E. tarda was recovered from 147 fish showing symptoms of exophthalmia, hemorrhages, skin depigmentation, ascites, and bacteria-filled nodules in enlarged liver and kidney.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proved chloramphenicol, ciprofloxacin, and streptomycin effective, but amoxicillin, erythromycin, and flumequine ineffective in controlling edwardsiellosis. Maximum occurrence of qnrA, blaTEM, and sul3 genes of E. tarda was detected in 45% in the liver, 58%, and 42% respectively in the intestine; 46.5%, 67.2%, and 55.9% respectively in O. niloticus; 24%, 36%, and 23% respectively in summer with respect to fish organs, species, and season, respectively. Motility, H2S, indole, methyl red, and glucose tests gave positive results. Overall, E. tarda infected 27.2% of fish, which ultimately caused 7.69% mortality. The Chi-squared test of independ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ABR genes of E. tarda with respect to sampling sites. In conclusion, the misuse of antibacterial agent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ABR genes in E. tarda, which in association with high temperatures cause multiple abnormalities in infected fish and ultimately resulting in massive mortality.

방류용 수산종묘의 수산생물 병원체 검출 동향 (2009~2012) (Currant Status of Detection of Aquatic Animal Pathogens in Cultured Juveniles for Stock Enhancement from 2009 to 2012)

  • 조미영;원경미;한현자;김현정;지보영;김석렬;이순정;김진우;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9-110
    • /
    • 2013
  • 수산종묘는 인류에게 중요한 동물성 단백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방류를 통한 수산자원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수산자원의 증강을 목적으로 2009년에는 33품종, 2010년에는 44품종, 2011년에는 43품종, 2012년에는 46품종에 대해 수산생물전염병에 대한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검사품종 중에서 해면품종으로는 전복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해삼, 넙치, 조피볼락, 꽃게 순으로 나타났다. 내수면품종 중에서는 붕어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쏘가리, 대농갱이, 다슬기, 참게의 순으로 나타났다. 감성돔, 돌돔, 붉은쏨뱅이, 뱀장어는 4년 동안 지속적으로 검사 횟수가 감소하였다. 숭어에 대해서는 2009년에만 전염병 검사가 수행되었다. 8개의 검사 항목에 대해 총 8,476건의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56건 (0.67%)에서 koi herpesvirus, white spot syndrome virus, red sea bream iridovirus 또는 viral haemorrhagic septicemia virus와 같은 병원체가 검출되어 불합격 처리되었다.

우리나라 숭어과 어류의 어명 및 자원 활용에 대한 고찰 (Review of Fish Name on the Fishes of the Family Mugilidae in Korea and Resource Utilization)

  • 고은영;박종오;이경선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6-105
    • /
    • 2019
  • 숭어과 어류는 연안에서부터 담수역까지 서식하고 있는 대표적인 광염성 어류이다. 이들의 형태적인 유사성 때문에 분류학적인 면에서나 명명법에 있어 많은 논란이 있다. 숭어과 어류 중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어종은 숭어(Mugil cephalus)와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로, 일반적으로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하지 않고 숭어라 불리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학술적인 자료 및 옛 문헌을 조사하여 국내에서 혼용되고 있는 숭어류의 학명 및 어명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숭어의 학명은 M. cephalus로 사용되고 있지만, 가숭어는 Chelon, Mugil, Liza 속명이 혼용되고 있다. 숭어류의 어명에 대해 국내사전에는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하지 않고 있으나, 일어, 영어, 중국어사전에서는 숭어와 가숭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다. 옛 문헌에서는 숭어류를 '치어' 또는 '수어'라 이르고 있다.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숭어와 가숭어의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산어보에서는 가숭어를 치어(참치어)로, 숭어를 가치어로 기록하고 있어 '가(假)'자의 붙임이 현재와 달리 사용되고 있었다. 가숭어는 양식되고 있는 종으로 앞으로 산업적인 활용이 모색되고 있는 단계에서, '가'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고려하였을 때 가숭어라는 어명 대신에 '참숭어'로의 어명 변경을 제안한다.

민물환경에서 분리된 novel Hymenobacter sp. B2의 분류학적 특성연구 (Taxonomic characterization of novel Hymenobacter sp. B2 isolated from a freshwater environment)

  • 배영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881-889
    • /
    • 2023
  • Hymenobacter 속(genus)은 Bacteroidota 문(phylum), Hymenobacteraceae 과(family)의 대표 속(type genus)이다. 이 속에 속하는 세균들은 붉은색 색소를 함유하는 그람 음성 간균으로서, 자연계의 다양한 환경에서 분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붉은색 색소를 함유하는 그람 음성 간균이 경남 창원시 소재 창원대학교 교내의 연못에서 분리되었고, 이 세균은 균주 B2로 명명되었다. 균주 B2를 계통분석 및 생화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Hymenobacter 속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세균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genbank의 BLAST로 분석해 본 결과, 다른 어떠한 세균과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의 상동성이 새로운 미생물로 인정되는 기준인 98.7%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주 B2의 지방산을 분석해 본 결과, 주된 지방산은 summed feature 3(C16:1 ω7c and/or C16:1 ω6c, 22.8%), iso-C15:0(16.2%), anteiso-C15:0(12.9%), C16:1ω5c(12.4%) 및 summed feature 4 (iso-C17:1 I/anteiso-C17:1)(9.5%)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결과적으로 균주 B2의 지방산 함량은 다른 Hymenobacter 종들의 지방산 함량과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세균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은 genbank에 accession number OQ318247로 등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