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rock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9초

해안가 암반대수층에서 조석효과에 의한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변동 연구 (The variation of transition zone between sea water and fresh water with the tidal effect at the coastal rock aquifer)

  • 김성수;강동환;김동수;최선미;정상용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04-190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안가 암반대수층에서 전기전도도의 수직적인 변화를 관측하여 조석에 의한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주변 해안대수층이며, 응회질퇴적암과 안산암 및 안산암질 화산각력암 등이 분포한다. 연구에 이용된 지하수 관측공 (PK1공)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내 기숙사 동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수공의 개발심도는 지표 면하 120 m, 케이싱은 지표면하 19 m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내경은 0.2 m로서 해안가에서 180 m 정도 이격되어 있다. 해안대수층 내 해수와 담수 전이대를 파악하기 위하여 관측공 내에 TLC Meter(Model 107, Solinst)를 삽입하여 전기전도도의 수직적인 변화를 지하수공 내 심도 50 m 까지 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의 수직적인 관측은 썰물(low tide)일 때, 썰물에서 밀물(high tide)로 될 때 및 밀물일 때로 나누어 총 3회 수행되었다. 전체적인 전기전도도의 분포는 썰물일 때 $630{\sim}47300{\mu}S/cm$, 썰물에서 밀물로 되는 시기에는 $672{\sim}61900{\mu}S/cm$ 및 밀물일 때는 $678{\sim}67900{\mu}S/cm$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밀물일 때가 썰물일 때보다 전기전도도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분포는 썰물일 때 약 $20{\sim}50\;m$, 밀물일 때 약 $20{\sim}38\;m$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밀물 시 해수의 침투로 인해 전이대 하부구간의 농도가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해수와 담수 전이대의 구간을 세분화하여 분석하기 위해, 담수가 우세한 전이대, 주 전이대 및 해수가 우세한 전이대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담수가 우세한 전이대는 썰물과 밀물일 때 모두 지표면하 $20.0{\sim}25.5\;m$ 구간이었으며, 주 전이대에서는 지표면하 $25.5{\sim}25.7\;m$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수가 우세한 전이대에서는 썰물일 때 지표면하 $25.7{\sim}50.0\;m$ 구간, 밀물일 때는 지표면하 $25.7{\sim}38.0\;m$ 로서 전이대의 폭이 19 m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안가 암반대수층에서 해수와 담수의 전이대는 조석에 의해 영향으로 인해, 썰물 시의 전이대가 밀물에 비해 그 폭이 더욱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화강암 석산 지역에서의 레이다 탐사의 적용 (Application of Radar Survey to a Granite Quarry Mine)

  • 설순지;김정호;조성준;이명종;정승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4권1호
    • /
    • pp.8-18
    • /
    • 2001
  • 파쇄대와 같은 불균질대의 분포 및 위치를 영상화하고 암석의 신선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화강암 석산 지역에서 시추공을 이용한 레이다 반사법 및 토모그래피 탐사와 지표 탐사인 GPR탐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레이다 반사법 탐사에서 나타난 반사면의 공간적 방향성을 알기 위해서 방향탐지 안테나도 적용시켰다. 모든 시추공 레이다 탐사에는 20MHz를 주주파수로 갖는 안테나를, GPR탐사에는 100MHz를 사용하였다. 시추공 반사법, 방향탐지 안테나 및 GPR탐사 영상들은 서로 잘 일치하는 탐사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탐사지역내의 주요 파쇄대의 3차원적인 위치 및 주향 방향을 알려주었다. 일부 구간의 토모그래피 초동 시각 곡선에서는 화강암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운 이방성을 보였는데 이러한 이방성은 텔레뷰어 자료와 비교하여 본 결과 동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미세 균열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지역은 시추공 레이다, 토모그래피, GPR 영상들 및 이방성의 분포로부터 MF2및 MF5로 명명된 두개의 주 파쇄대에 둘러싸인 지역이 비교적 신선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시추공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비저항 영상화: 과잉취수에 의한 석회암 지반침하 지역 사례 (Resistivity Imaging Using Borehole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A Case of Land Subsidence in Karst Area Due to the Excessive Groundwater Withdrawal)

  • 송성호;이규상;엄재연;서정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37-547
    • /
    • 2011
  • 석회암 공동이 발달한 도심지역에서 지하수위 하강에 수반되어 발생한 함몰형 지반침하의 원인 규명 및 공동의 분포 특성 파악을 위하여 시추공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탐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지하수 수리지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코아의 비저항 측정, 지하수위 측정 및 수리전도도 해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지역에서의 완만한 지하수위 분포 특성과 0.8-$9.3{\times}10^{-4}\;cm/s$ 범위의 수리전도도 분포로 부터 연구지역의 수리지질 특성은 불균질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추코아를 이용한 전기비저항 측정 결과 연구지역의 석회암은 파쇄가 많은 경우, 변질이 심한 경우 및 신선한 경우로 나눠지며, 전기비저항은 각각 103-161, 218-277 및 597-662 ohm-m의 범위로 나타났다. 시추결과 점토로 충전된 석회암 공동 지점은 토모그래피 탐사자료의 역산 결과 50 ohm-m 이하의 낮은 비저항으로 나타났으며, 각 시추공 간 비저항 영상 단면으로부터 연구지역 전체적으로 지표 하부 심도 약 10-20 m 구간까지 파쇄대 또는 석회암 공동 구간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석회암 공동의 직경은 약 4-6 m 규모로, 대부분 점토질로 충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기전도도를 이용한 어육의 선도판정 (Determination of Freshness of Fish Meat using Electric Conductivity Meter)

  • 이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19-227
    • /
    • 1989
  • 효율적이고 신속한 어육의 선도측정을 위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몇가지 주요어종을 선정하여 이들의 선도를 저장온도에 따른 전기전도도 (electric conductivity)를 교류용 Kohlraush bridge, Wien bridge를 사용하여 제작한 Conductivity meter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냉동어육의 해동후 부패초기의 electric conductivity는 $6,100\pm({\mu}u/cm)$이었고 비동결어육인 방어와 쥐노래미 및 고등어의 부패초기 electric conductivity는 $20^{\circ}C$에서 $5,100\~5,400({\mu}u/cm)$로 냉동육에 비하여 약 $1,000({\mu}u/m)$낮았다. 2. VBN과 electric conductivity는 정상관관계를 가지며 부패초기 electric conductivity값이 나타났을 때의 VBN은 $30\~35mg\%$였다. 3. 적색육어인 고등어는 백색육보다 사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electric conductivity의 온도의존성이 크다는 것을 알았다. 4. 고등어육의 electric conductivity를 $15^{\circ}C(\pm1^{\circ}C),\;20^{\circ}C(\pm1^{\circ}C),\;30^{\circ}C(\pm1^{\circ}C)$에서 저장시간과 관계를 측정, 온도계수 $Q_{10}=2.34$를 얻어 실측값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5. 어류의 선도를 측정하는데 10초 내외의 짧은 시간에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어육의 선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지시하는 휴대용 Electric conductivity meter는 그 효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Solar Irradiances on Growth and Pigmentation of Antarctic Red Algae, Kallymenia antarctica and Palmaria decipiens

  • Han, Tae-Jun;Han, Young-Seok;Lee, Min-Soo;Park, Jin-Hee;Cho, Man-Gi;Koo, Jae-Gun;Kang, Sung-H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27-435
    • /
    • 2003
  • Growth and pigment responses to different levels of solar radiation with or without ultraviolet (UV)-B component $({\lambda}=280-315nm)$ were investigated in Antarctic rhodophytes, Kallymenia antarctica and Palmaria decipiens, collected around King George Island during the summer of 2000. In K. antarctica specific growth rate, based on thallus area or fresh weight, decreased with increasing solar irradiances while P. decipiens were relatively insensitive to the effects of light. It is noticeable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UV-B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for either species. However, K. antarctica showed a more pronounced reduction in chlorophyll (Chl a) concentrations at higher irradiances in the presence of UV-B. In P. decipiens, Chl a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despite radiation level fluctuations being lower albeit than initial measurements. Thallus thickness was greater in K. antarctica than in P. decipiens. There were higher relative amounts of UV-absorbing pigments (UVAPs) in P. decipiens than in K, antarctica. The single absorbance peak obtained from the methanol extracts was resolved into three (316,332 and 346nm) in K. antarctica and four peaks (315,326,333 and 349 nm) in Palmaria as a result of the fourth-derivative. After 7 days exposure to solar radiation, the amount of UVAPs in K. antarctica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a similar degree at all light levels, whereas that of P. decipiens remained unchanged except at 5% of surface irradianc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of purified extracts indicated that P. decipiens possesses porphyra-334 in addition to three other mycosporine-like anlino acids (MAAs; asterina-330, palythine, shinorine), which are commonly present in K. antarctica. Significantly lower tolerance of K. antarctica to high levels of solar radiation may be connected with its usual absence in the eulittoral, while the active growth and elastic pigment responses of P. decipiens over a wide range of solar irradiance levels up to full sunlight seems to correspond well with its wide vertical distribution from rock pools down to 25-30m.

인공풍화암을 이용한 강화제의 적용실험 연구(II): 촉진풍화실험을 통한 강화처리 암석의 내구성 평가 (Experimental Application of Consolidants Using Artificially Weathered Stones(II): Focusing on Accelerated Weathering Test)

  • 이재만;이명성;박성미;이미혜;김재환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9-259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암석용 강화제의 중장기적인 처리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동결-융해 및 염을 이용한 촉진풍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료는 열처리를 실시하여 세 등급으로 분류한 경주 남산화강암과 익산 화강암, 영양 사암 및 정선 대리암을 사용하였다. 강화처리는 3종의 강화제(Wacker OH 100, Remmers KSE 300, 1T1G)를 이용하였으며, 양생 후 500주기의 동결-융해 실험과 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을 이용한 50회의 염풍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동결-융해 실험결과, 균열의 성장에 따른 시료의 파괴가 나타났으며, 강화처리의 효과는 최대 약 200주기까지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풍화 실험 결과, 시료 표면에서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였으며 간극의 확장으로 인해 서서히 팽창하다가 붕괴되었다. 강화처리 시료는 미처리 시료와 비교하여 풍화에 의한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무처리를 통해서는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프리카 육묘기간 및 육묘블록의 크기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on Growth and Yield of Paprika)

  • 최경이;조명환;정재완;노미영;이한철;강윤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3-268
    • /
    • 2011
  • 파프리카 공정육묘시 육묘일수와 적정 육묘소요면적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묘블록의 크기를 $5{\times}5cm$, $7.5{\times}7.5cm$, $10{\times}10cm$로 달리 하여 25, 30, 35, 40, 45, 50일간 육묘하는 시험처리를 하였다. 묘소질은 25일 육묘시에는 육묘블록의 크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면 $5{\times}5cm$ 블록처리에서 나빠졌다. $7.5{\times}7.5cm$$10{\times}10cm$간에는 엽수와 엽면적을 제외한 생육은 차이가 없었다. 정식이후 생육은 정식 후 35일까지는 육묘기간이나 블록크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나빠졌다. 개화시기도 35일 육묘처리까지는 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이후 육묘기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개화가 지연되었다. 수량은 30일과 35일 육묘구가 가장 많았고, 40일 이상 육묘할 경우 육묘기간이 길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우리 나라 농장 사육 타조 알의 난질 조사 (Investigation on the Egg Quality of the Ostrich Farming in Korea)

  • 송광택;오홍록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1호
    • /
    • pp.44-54
    • /
    • 2002
  • 이 실험은 우리나라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는 타조(African ostrich) 신선란의 내 외부적인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타조의 난형은 장경 15.1~16.1cm, 단경 12.1~13.6cm로, 난형지수는 평균 81.0의 값을 나타내었고, 난각색은 계란보다 광택이 좋은 백색을 나타내었다. 계산식에 의한 난각강도와 난표면적 은 각각 $41.155kg/cm^3$$804.7cm^2$이었다. 타조 난의 난각두께는 난각막을 포함하여 1.89mm로, 각 부위별 난각두께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난각막 두께는 0.10mm로, 적도부가 두껍고 둔단부가 상대적으로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각 기공수는 19.77개/$cm^2$으로, 첨단부의 기공수가 대체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 알의 총기공수는 약 15241개 정도로 측정되었다. 타조 알의 각 부위의 난중에 대한 비율은 난황 25.1%, 난백 58.2% 그리고 난각은 16.7%이었고, 난백에 대한 난황의 비율(Y/W)은 0.43을 나타내었다. 타조의 알에 대한 난백과 난황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난액에 있어 직경과 높이는 각각 19.7cm 와 13.2mm로 난백지수는 0.07 이며, H.U는 -69.7, pH는 8.3이었으며, 난황에 있어서는 직경이 14.4 cm, 높이 29.4 mm로 난황지수는 0.20으로 나타났고, pH는 6.6 이었다. 또한 난황색은 두터운 난황막으로 인하여 계란보다는 엽은 황색을 보였다.

  • PDF

청미천에서의 하천 유사 측정 및 분석(II) - 유사의 광물특성 및 오염도 - (Field Measurement and Analysis of Fluvial Sediment in the Cheongmi-Stream(II) - Mineralogical and Contaminativ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articles -)

  • 우효섭;이진국
    • 물과 미래
    • /
    • 제24권3호
    • /
    • pp.49-60
    • /
    • 1991
  • 본 연구는 청미천에서의 하천유사의 측정 및 분석에 관한 연구의 제2편으로, 청미천의 원부교 및 한평교 지점에서 채취된 하상토의 광물특성 및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하상토의 광물특성 분석결과에 의하면, 청미천의 사질유사의 주 조성 광물은 석영이며 이 밖에 장석과 암편류가 상당량 포함되어 있어, 문헌상에 알려진 유사의 일반적인 광물특성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또한, 사질유사의 형상계수(SF)는 약 0.7로서 외곡의 경우의 \ulcorner균 형상계수와 일치하고 있다. 한편, 점토질 유사의 광물구성 성분은 illite, kaolinite, chlorite 등이며 bentonite는 함유되어 있지 않다. 유수 및 하상토의 오염분석 결과에 의하면, 지표수와 하상토내 간극수의 유기물 및 중금속의 함유량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시료를 채취한 시기가 '90년 9월 대홍수 직후이며 따라서 대부분의 기존 하상토 및 간극수가 하류로 쓰려 내려가고 상류에서 유수에 씻긴 신선한 하상토가 대신 덮혔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편, 하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모래의 경우 하상토와 주위 경작지의 중금속 함유량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이토 등 미립토사의 경우는 하상토가 주위 경작지보다 특히 수은 및 아연을 훨씬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립토사는 wash load의 형태로 하류로 이송되어 홍수터 등에 침전되어 새로운 오염원이 될 수 있다.

  • PDF

토마토 양액재배시 배지 환경조성이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Substrate Composi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Tomato)

  • 이재수;이현동;이상규;곽강수;김밝금;김태현;백정현;노시영;홍영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729-735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compositions of environmental substrates on hydroponic tomato cultivation. Three different substrates were used in coir chip:dust (v/v=50:50; CP1), coir chip:dust (v/v=80:20; CP2), and rock wool cube with CP2 (CPR). The amount of irrigation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was 190 mL/(plant time) in all substrates. The pH and EC were 5.8-6.2 and 2.6-2.9 dS/m, respectively. The drainage rate in CP1 was 31%, in CP2 was 36%, and in CPR was 29%. The growth of tomato plants in terms of height was higher in CP1 and CPR. The leaf area was greater in CP2. The fresh and dry weights were greater in CP2 and CPR treatments. The net photosynthesis in CP2 ($19.31{\mu}mol\;CO_2/m^2s$) and root activity in CP2 were higher among all three treatments. The soluble solid content of fru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yield per plant in CP2 and CPR treatments was 17% greater than the yield per plant in CP1. Therefore, the most suitable substrate for hydroponic tomato cultivation is the substrate mixed with coir chip:dust (v:v=80:20; CP2), i.e., C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