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chloride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179초

악안면 외과 영역에서의 FIBRIN SEALANTS 의 이용 (FIBRIN SEALANTS IN MAXILLOFACIAL SURGERY : A INTRODUCTORY REPORT)

  • 김명진;박형국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29-136
    • /
    • 1991
  • Fibrin Sealants 는 과거 간, 비장, 신장등의 일반외과 수술에서 단순한 외과적 봉합으로는 해결하지 못하는 넓은 면적의 조직의 유착을 위하여 1940 년경 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것으로 악안면 영역에서는 1970 년대 중반부터 미세신경접합술과 피부이식을 위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후, 현재, 골이식후의 골세편의 고정, 혈관봉합술, 연조직에서 조직들의 유착과 지혈, 그리고 혈관종의 치유등을 목적으로도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인체에서 채취한 혈액응고인자 XIII 을 포함하는 Fibrinogen 성분과, 소에서 추출한 Thrombin 의 두가지 주요 성분으로 구성되며, Fibrinogen 용해제인 Aprotinin 액과 Thrombin 용해제인 염화칼슘액과 함께 네부분으로 구성된다. 각제품에 따라 그리고 사용된 농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개 수분후에 조직이 응고되어 달라붙기 시작하고, 수시간후에 최대접착효과에 도달하며, 응고된 접착효과는 12 일에서 15 일간 유지되고 그후 정상적인 섬유소분해작용과 식세포활동에 의하여 분해된다. 저자는최근 6 개월간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28 명의 각종 질환 및 기형 환자에서 미세신경봉합술, 피부이식, 악교정성형술과 구개파열 또는 하악골 재건을 요하는 환자의 골이식후의 골세편의 고정, 경부곽청술이나 종양제거술후 각종 피부판 또는 근피판을 이용한 연조직의 적합, 혈관종의 처치, 후이개접근 법에 의한 악관절수술후의 외이도의 접합등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적용된 Fibrin Sealants 를 사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경량 모르터용 건식공정 바텀애시의 입형 개선 효과와 최적 입도 (Shape Improvement and Optimum Gradation of Dry Processed Bottom Ash for Lightweight Mortar)

  • 최홍범;김진만;선정수;한동엽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7-1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식공정을 통해 생산된 바텀애시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저렴한 경량콘크리트의 잔골재로 활용하는 것이다. 기존의 습식공정과 비교하여 건식공정은 물에 닿지 않고, 염분이 없으며, 다소 느린 공정으로 완전연소를 통해 미연소탄소성분이 거의 없다. 이러한 건식공정 바텀애시를 경량 모르터용 잔골재로서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골재의 입형 개선 효과와 최적 입도분포의 두가지 단계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추가적인 마쇄과정을 통해 얻어진 양호한 입형의 바텀애시는 유동성과 강도 측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다소간의 단위용적질량 증가를 보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 다양한 입도를 구성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표준입도에 맞추어진 입도에서 굳지 않은 상태 및 경화상태에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차후 건식 공정을 통한 바텀애시의 활용방법이 확대되고, 바텀애시를 경량 잔골재로 활용함으로서 부가가치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축 균열 특성 및 구속도 평가 (Evaluation of Shrinkage Cracking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Restraint for Ultra-High-Strength Concrete)

  • 류두열;민경환;양준모;윤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641-650
    • /
    • 2010
  • 콘크리트의 수축으로부터 발생하는 구속응력은 균열을 유발하고, 그에 따라 황산염 및 염화이온의 침투로 인한 철근의 부식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특히, W/B가 감소할수록 균열 발생 가능성이 크며, 따라서 고강도 콘크리트(HSC), 초고강도 콘크리트(UHSC)의 수축 및 균열 거동의 정확한 이해와 평가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비구속 수축 실험은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응력의 이완, 균열강도 및 구속도 등을 고려할 수 없으며, 균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축량의 평가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구속 수축실험과 구속 수축실험(ring-test)을 통하여 W/B(30, 25, 16%) 및 혼화재에 따른 HSC, UHSC의 수축, 균열 거동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자기수축 및 총 건조수축은 W/B가 클수록, 플라이애쉬(FA) 및 고로슬래그미분말(BFS)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W/B의 증가 및 콘크리트 두께의 증가, FA의 혼입은 균열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 사료에 따른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성장과 혈액성분의 변화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hemistry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Fed Extruded and Moist Pellet)

  • 박성덕;김재원;김병기;전중균
    • 환경생물
    • /
    • 제34권3호
    • /
    • pp.133-140
    • /
    • 2016
  • 본 연구는 EP사료와 MP사료를 공급한 강도다리의 성장과 혈액성분의 변화 조사를 통해 강도다리 양식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개시 전과 종료 후에 강도다리의 무안측 생체무늬를 사진 촬영하여 개체 인식 가능성을 확인한 바, 생체 무늬의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향후 강도다리를 비롯한 넙치류에서의 개체 인식 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증중량과 일간 성장률은 MP 사료 시험구가 EP사료 시험구보다 높았으며, 혈액성분 중 삼투압과 관련된 전해질 농도, 코티졸 농도, 간장 건강도 지표, 영양 지표 등은 시험구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공급 사료의 지질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MP사료 시험구의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가 높게 나타나, 증중량이나 일간 성장률이 높았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수온이 낮은 수역에 주로 서식하는 강도다리가 지질을 에너지원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사료 시험구에서 모두 일간 성장률이 큰 그룹이 낮은 그룹에 비해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가 높았던 것에 대한 상관성에 대해서는 향후 더욱 상세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명태 천일건조 중 지방질성분의 변화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Pollack During Sun-Drying)

  • 오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3-126
    • /
    • 1994
  • 명태의 천일건조 중 일어나는 지방질성분의 변화 및 식염의 첨가가 지방질성분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0일간의 천일건조 중 소건시료에 비해 염건시료쪽이 지방질의 산화가 더 진행되었으며, 인지방질성분(PL)은 소건시료가 약 47%, 염건시료는 약 62% 정도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방질(NL)성분의 천일건조 중 변화는 소건, 염건시 모두 TG, ST와 DG가 감소한 반면, FFA 및 HC와 SE의 증가가 뚜렸하였다. PL성분은 PC 및 PE는 감소하였고 상대적으로 SPM 및 LPC는 급증하였다. 지방산조성의 변화에서는 20 : 5의 특이적인 감소가 인지되었고, 22 : 6은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NL성분은 건조 중 20 : 5가 상당량 감소한 반면 16 : 0, 18 : 0 및 18 : 1 등의 지방산 조성비는 약간씩 증가하였으며, 22 : 6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PL성분은 20 : 5 및 22 : 6이 상당량 감소한 반면, 16 : 0, 18 : 0 및 18 : 1은 증가하였으며, 총지방질(TL), NL 및 PL의 고도불포화 지방산 잔존율의 변화도 소건시료에 비해 염건시료쪽의 변화폭이 훨씬 컸다.

  • PDF

3-N-2-hydroxyethylamine benzanthrone 및 3-N-2-aminoethylamine benzanthrone에 대한 Cu(II), Ni(II) 및 Co(II) 착물의 분광학, 열 및 생물학적 연구 (Spectroscopic, Thermal and Biological Studies on Newly Synthesized Cu(II), Ni(II) and Co(II) Complexes with 3-N-2-hydroxyethylamine Benzanthrone and 3-N-2-aminoethylamine Benzanthrone)

  • Refat, Moamen S.;Megahed, Adel S.;El-Deen, Ibrahim M.;Grabchev, Ivo;El-Ghol, Samir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8-3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Benzanthrone 치환체인 3-N-2-hydroxy ethylamine benzanthrone (HEAB)와 3-N-2-amino ethylamine benzanthrone (AEAB)의 Cu(II), Co(II) 및 Ni(II) 염화물 착물에 대한 분광학 (IR, UV-vis 및 $^1H$-NMR), 원소분석, 몰전도도, 열무게분석 (TGA/DTG) 및 생물학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HEAB리간드가 히드록소 및 아미노기를 통하여 각 금속에 배위되어 [Cu(HEAB)$(Cl)_2$].$2H_2O$, [Co(HEAB)$(Cl)_2(H_2O)_2$].$8H_2O$ 및 [Ni(HEAB)$(Cl)_2(H_2O)_2$].$7H_2O$ 착물을 형성함을 알았다. 한편, AEAB는 [Cu(HEAB)$(Cl)_2$].$2H_2O$, [Co(HEAB)$(Cl)_2(H_2O)_2$].$8H_2O$ 및 [Ni(HEAB)$(Cl)_2(H_2O)_2$].$7H_2O$의 분자식을 갖는 팔면체 배위구조를 갖는다. $25^{\circ}C$ DMF에서 모든 착물의 몰전기전도도는 반응안한 리간드보다 약간 컸는데, 이는 염화 이온이 배위권 내부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Benzanthrone계 리간드와 이들 착물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박테리아에 대한 생물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방법에 따른 톳 추출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jikia fusiforme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

  • 권유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0-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추출방법(열수, 가압가열, 초고압 추출방법)을 통해 톳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품질특성을 실시하여 효과적인 톳 추출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출 수율은 초고압 추출물, 가압가열 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으로 높은 수율을 확인하였으며 색도의 경우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명도와 황색도를 나타내었고 가압가열 추출물에서는 적색도가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른 톳 추출물의 전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모든 추출물이 40~60%의 높은 전당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가압가열 추출물의 함량이 높았다. 또한 시료별 전당 함량의 경우 가압가열, 열수, 초고압 추출물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환원당과 단백질 함량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우론산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초고압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asparagine의 경우 초고압 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다. 톳의 다당류 성분을 알아보고자 에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한 결과 수율의 경우 초고압 추출물에서 4.75%로 높았으며 가압가열, 열수 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high 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조다당류의 구성당을 살펴본 결과 fucose가 주 당성분인 polysaccharide임을 알 수 있었으며 galactose, glucose, xylose가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가해 추출할 경우 해조류의 수율 및 유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적절한 압력과 온도 설정관련 연구를 통해 해조 가공산업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Synthesis and Antitumor Evaluation of cis-(1,2-Diaminoethane) dichloroplatinum (II) Complexes Linked to 5- and 6-Methyleneuracil and -uridine Analogues

  • Kim, Jack-C.;Lee, Min-Hwa;Choi, Soon-Ky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465-469
    • /
    • 1998
  • The search for platinum (II)-based compounds with improved therapeutic properties was prompted to design and synthesize a new family of water-soluble, third generation cis-diaminedichloroplatinum (II) complexes linked to uracil and uridine. Six heretofore unreported uracil and uridine-platinum (II) complexes are; [N-(uracil-5-yl-methyl)ethane-1,2-di-amine]dichloroplatinum (II) (3a), [N-(uracil-6-yl-methyl)ethane-1,2-diaminel dichloroplatinum (II) (3b), t[N-($2^1$, $3^1$,$5^1$-tri-O-acetyl)uridine-5-yl-methyl] ethane-1,2-diamineldichloroplatinum (II) (6a), {[N-($2^1$,$3^1$, $5^1$-tri-O-acetyl) uridine-6-yl-methyl]ethane-1,2-diamine)dichloroplatinum (II) (6b),[N-(uridine- 5-yl-methyl)ethane-1,2-diamine]dichloroplatinum (II) (7a), [N-(uridine-6-yl- methyl)ethane-1,2-diamine]dichloroplatinum (II) (7b). These analogues were prepared from the key starting materials, 5-chloromethyluracil (1a) and 6-chloromethyluracil (1b) which were reacted with ethylenediamine to afford the respective 5-[(2-aminoethyl)aminol methyluracil (2a) and 6-[(2-aminoethyl)amino]methyluracil (2b). The cis-platin complexes 3a and 3b were obtained through the reaction of the respective 2a and 2b with potassium tetrachloroplatinate (II). The heterocyclic nucleic acid bases 1a and 1b were efficiently introduced on the .betha.-D-ribose ring via a Vorbruggen-type nucleoside coupling procedure with hexamethyldisilazane, trimethylchlorosilane and stannic chloride under anhydrous acetonitrile to yield the stereospecific .betha.-anomeric 5-chloromethyl- $2^1$,$3^1$,$5^1$-tri-O-acetyluridine (4a) and 6-chloromethyl-$2^1$,$3^1$,$5^1$-tri-O-acetyluridine (4b), respectively. The nucleosides 4a and 4b were coupled with ethylenediamine to provide the respective 5-[(amino-ethyl)aminolmethyl-$2^1$,$3^1$,$5^1$-tri-O-acetyluridine (5a) and 6-[(aminoethyl)amino] methyl-$2^1$,$3^1$,$5^1$-tri-O-acetyluridine (5b). The diamino-uridines 5a and 5b were reacted with potassium tetrachloroplatinate (II) to give the novel nucleoside complexes, 6a and 6b, respectively which were deacetylated into the free nucleosides, 7a and 7b by the treatment with CH$_{3}$ONa. The cytotoxic activities were evaluated against three cell lines (FM-3A, P-388 and J-82) and none of the synthesized compounds showed any significant activity.

  • PDF

정어리 스테이크의 가공 및 동결저장 중의 품질 안정성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of Sardine Steak during Frozen Storage)

  • 오광수;조순영;차용준;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3-138
    • /
    • 1984
  • 정어리냉동스테이크의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아울러 대두단백질과 옥수수녹말의 첨가가 정어리스테이크의 품질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어리스테이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정어리육에 대해 탄산수소나트륨 0.5%, 식염 1.5%, 축합인산염 0.2%, 설탕 2%, 글루탐산나트륨 0.2%, 향신료로서는 후추가루, 마늘가루 및 nutmeg을 각각 0.2%씩 첨가하여 고기갈이를 한 다음 $-3{\sim}-5^{\circ}C$에서 36시간 저장하여 텍스쳐를 개선시킨 후 동결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대두단백질을 3 %첨가한 제품이 유리드립, 가압드립, 색조변화, 단백질변성 지방산패억제 및 텍스쳐 개선효과 면에서 가장 우수했으며 관능검사결과 정어리스테이크는 동결저장 90일동안 품질이 안전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포도주 부산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Effect of Wine By-product Extracts)

  • 백재열;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48-954
    • /
    • 2016
  • 포도주 가공 중에 발생하는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검토를 위해 포도주 부산물을 유기용매로 추출 및 분획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포도주 부산물의 분획 및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 MeOH 추출물은 A+M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획물들 중에서는 85% aq. MeOH 분획물이 105.1±0.93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은 74%의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들 중에서는 n-BuOH 분획물이 72%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들은 각각 90% 및 92% 소거활성을 나타내어 동일한 BHT 농도에서 92%인 것과 비교해 보았을 경우 합성항산화제만큼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세포내 활성 산소종 소거 효과를 나타내는 ROS 실험을 통해 0.1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은 각각 64%와 60%의 소거 활성을 나타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포도 및 포도씨와 비교했을 때 포도주 부산물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유량은 다소 낮았지만 항산화 효과도 지속되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향후 포도주 부산물의 응용이 기대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