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ctal Analysis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2초

중국 신진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에 나타난하이브리드 특성 연구 (A Study on Hybrid Characteristics in the Work of Chinese Rising Fashion Designers)

  • 빈삼;염혜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1호
    • /
    • pp.1-14
    • /
    • 2020
  • Based on the trend of pluralization and globalization the collapse of national borders now is a manifestation of mixed and compromised cultures and societies. It is also emerging as a hybrid fashion in fashion. Hybrid fashion means creating a new image by mixing various cultures beyond the time and spa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Chinese fashion design and present its direction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s in the works of rising Chinese fashion designers in the era of pluraliz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new fashion designers, 6 new fashion designers of 5 fashion brands were selected and their total 458 points work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ime trade-offs were 'past and present' trade-offs that express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image of the past with modern design. The trade-offs between 'present and future' is expressed by mixing print patterns, colors and light with fractal art. Second, spatial trade-offs was expressed in the way of expressing Chinese themes in the composition of western clothing, expressing the Western themes in oriental colors, and inspired by Japanese culture expressed by deconstructionism, Third, the gender mix mainly used dark embroidery on women's clothing, while the men's wear showed a delicate feminine charm with a surreal pattern on thin and transparent gauze fabric.

어군의 음향학적 형태 및 분포특성과 어종식별에 관한 연구 1.한국 연근해 멸치어군의 형태 및 분포특성과 종식별 실험 (Study on the Acoustic Behaviour Pattern of Fish Shool and Species Identification 1. Shoal Behaviour patter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Korean waters and Species Identification Test.)

  • 김장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1호
    • /
    • pp.52-61
    • /
    • 1998
  • We studied behaviour patter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hoal by a method of shoal echo integration and tested species identification by a metho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the acoustic data collected in the East China Sea in March 1994 and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in March 1995. Between areas, frequency distribution of 10 shoal descriptors was different, which showed characteristics of shoal behaviour in size, bathymetric position and acoustic strength. The range and mean of shoal size distribution in length and height was wider and bigg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Relative shoal size of China Sea. Fractal dimension of shoal was almost same in both areas. Mean volume reverbration index of shoal was 3 dB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The depth layer of shoal distribution was related to bottom depth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while it was between near surface and central layer in the East China S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hoal descriptors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shoal size and acoustic strength which was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Correlation was also found among the bathymetric positions of shoal to some degree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The anchovy shoal of two areas was identified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contribution factor index (Cio) of the shoal descriptors between two areas were almost identical feature. The shoal volume reverberation index (Rv) was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species identification, while shoal length and shoal height showed relatively high negative contribution to the species identification.

  • PDF

Comparison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d digital panoramic radiography for detecting peri-implant alveolar bone changes using trabecular micro-structure analysis

  • Magat, Guldane;Oncu, Elif;Ozcan, Sevgi;Orhan, Ka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8권1호
    • /
    • pp.41-49
    • /
    • 2022
  • Objectives: We compared changes in fractal dimension (FD) and grayscale value (GSV) of peri-implant alveolar bone on digital panoramic radiography (DPR)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mediately after implant surgery and 12 months postoperative.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16 patients who received posterior mandibular area dental implants with CBCT scans taken about 2 weeks after implantation and one year after implantation were analyzed. A region of interest was selected for each patient. FDs and GSVs were evaluated immediately after implant surgery and at 12-month follow-up to examine the functional loading of the implant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PR and CBCT measurements of FD value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FD values and GSVs calculated after implant surgery and at the 12-month follow-up (P>0.05). GSVs were not correlated with FD values (P>0.05). Conclusion: The DPR and reconstructed panoramic CBCT images exhibit similar image quality for the assessment of FD. There were no changes in FD values or GSVs of the peri-implant trabecular bone structure at the 12-month postoperative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loading of the implant in comparison to values immediately after implantation. GSVs representing bone mass do not align with FD values that predict bone microstructural parameters. Therefore, GSVs and FDs should be considered different parameters for assessing bone quality.

보행속도변화와 동시 인지과제가 보행 가변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Speeds and Cognitive Task on Gait Variability)

  • 최진승;강동원;탁계래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9-5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트레드밀 보행 시, gait dynamics 측면에서 보행의 속도 변화와 인지과제 수행 시 보행 변인의 가변성(variability)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은 인지과제의 동시수행 유/무에 따른 5가지 속도(선호속도의 80%, 90%, 100%, 110% and 120%)에 의한 보행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인지과제의 종류는 학습기능이 없는 인지과제(2-back task)를 수행하였다. 인지과제는 피험자의 트레드밀 보행 시, 3m 앞에 놓여진 스크린에 주어지고 무선마우스를 통해 응답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실험의 모든 과정은 3차원 동작분석기를 통해 동작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이를 통해, 5가지 보행 시간 변인과 3가지 공간 변인을 추출하였다. gait dynamics 측면의 분석을 위해, 가변성의 크기를 살펴볼 수 있는 방법인 분산계수(coefficient of variance)와 변동량의 구조적 자기 유사성을 추론할 수 있는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보행 속도 변화에 따라 보행 변인의 평균값과 분산계수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고, 인지과제의 수행 유/무에 따라서는 DFA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는 인지과제의 수행에 의해 보행의 발생과 조절 능력에 영향을 끼쳤다고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명백히 하기 위해 더 많은 수의 피험자 실험과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풍화진행에 따른 한라산조면암의 역학적 특성변화 (Variations of Mechanical Properties of Hallasan Trachyte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Weathering)

  • 조태진;이상배;황택진;원경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4호
    • /
    • pp.287-303
    • /
    • 2009
  • 한라산 정상부의 백록담 암체는 백록담조면현무암이 분포하는 동측구역과 한라산조면암이 분포하는 서측구역으로 구분된다. 백록담에서 진행되는 풍화, 암벽붕괴, 낙반은 전반적으로 백록담 서측구역에 분포하는 한라산 조면암의 풍화작용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동측구역에서는 개별 암석 블록들의 국지적 붕락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조면암 분포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풍화단계별로 조면암 시료를 채취하여 편광현미경분석, X-선 회절분석, 지화학적 분석, 공학적 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SEM, XRD, XRF 분석을 통하여 2차 변질광물의 종류와 함량 및 광물조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점토광물이 확인될 정도의 심한 화학적풍화작용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풍화에 따른 화학적풍화지수와 주요원소의 함량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에 의거할때 화학성분의 용탈에 의한 미약한 화학적풍화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풍화에 기인된 암석의 공학적특성변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밀도, 비중, 흡수율, 공극률, 탄성파속도, 일축압축강도, 슬레이크내구성지수, 동결-융해시험을 수행하였다. 인공풍화시험을 통한 균열발현 양상과 물리적 특성 측정 결과 기계적풍화작용은 미세균열 및 공극을 발달시켜 암반의 역학적 강도 저하를 야기하고 있으며, 기계적풍화 진행에 의한 추가적인 공극률 저하 양상을 고려할 때 $D_B$ = 1.5 또는 공극률 = $20{\sim}21%$ 범위에서 한라산조면암의 공학적 강도 특성이 소멸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상예보 기반 농촌유역 침수 위험도 예보를 위한 침수 확률 DB 구축 (Establishment of Inundation Probability DB for Forecasting the Farmland Inundation Risk Using Weather Forecast Data)

  • 김시내;전상민;이현지;황순호;최순군;강문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4호
    • /
    • pp.33-43
    • /
    • 2020
  • In order to reduce damage from farmland inundation caused by recent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risk of farmland inundation accurately. Inundation modeling should be performed by considering multiple time distributions of possible rainfalls, as digital forecasts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s provided on a six-hour basis. As building multiple inputs and creating inundation models take a lot of time,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forecast time by building a data base (DB) of farmland inundation probability.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B of farmland inundation probability in accordance with forecasted rainfalls. In this study, historical data of the digital forecasts was collected and used for time division. Inundation modeling was performed 100 times for each rainfall event. Time disaggregation of forecasted rainfall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MRC) model, which uses consistency of fractal characteristics to six-hour rainfall data. To analyze the inundation of farmland, the river level was simulated using the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 River Analysis System (HEC-RAS). The level of farmland was calculated by applying a simulation technique based on the water balance equation. The inundation probability was calculated by extracting the number of inundation occurrences out of the total number of simulations, and the results were stored in the DB of farmland inundation prob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quickly predict the risk of farmland inundation, and to prepare measures to reduce damage from inundation.

세미베리오그램을 이용한 KoFlux 광릉(산림) 및 해남(농경지) 관측지 지면모수의 공간 비균질성 정량화 (Quantifying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Land Surface Parameters at the Two Contrasting KoFlux Sites by Semivariogram)

  • 문상기;류영렬;이동호;김준;임종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0-148
    • /
    • 2007
  • 경관의 비균질성은 원격 탐사에 의한 지면 특성 관측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지면 모수의 경관 비균질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지구통계기법을 소개한다. 연구지역은 두 곳의 KoFlux 연구지로서 (1) 복잡지형의 온대 혼합림으로 구성된 광릉 연구지와 (2) 비교적 평탄한 농경지인 해남 연구지이다. 복사 모수인 지면온도(LST)와 알베도의 공간적 비균질성을 특성화하기 위하여 세미베리오그램과 프랙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두 모수는 두 연구지의 상향 장파 및 단파 복사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들이다. 이 모수들은 2001년 9월 23일과 2002년 2월 14일의 두 지역의 고해상도 Landsat ETM+영상에서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광릉과 해남 연구지는 알베도의 특성 규모가 각각 1 km 이상 그리고 약 0.3 km 이었다. 지면온도의 경우, 특성 규모는 광릉이 1 km 이상 그리고 해남이 0.6-1.0 km 이상이었다. 두 지면 모수의 특성 규모는 두 지역에서 모두 계절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90/150 CA <10 ⋯ 0>의 특성다항식 (Characteristic Polynomials of 90/150 CA <10 ⋯ 0>)

  • 김진경;조성진;최언숙;김한두;강성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301-1308
    • /
    • 2018
  • 암호 시스템의 키 생성기로 응용되는 90/150 CA는 LFSR보다 난수성이 뛰어나지만 합성법이 어렵기 때문에 CA 합성법에 대한 연구가 많은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적합한 CA를 합성하기 위해 90/150 CA의 특성다항식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n셀 90/150 CA의 특성다항식 ${\Delta}_n$${\Delta}_{n-1}$${\Delta}_{n-2}$을 이용하여 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n셀 90/150 CA <$10{\cdots}0$>의 특성다항식 $H_n(x)$을 (n-1)셀 90/150 CA <$10{\cdots}0$>의 특성다항식 $H_{n-1}(x)$로부터 구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하여 $H_{2^n}(x)$로부터 $H_{2^n+i}(x)$$H_{2^n+i}(x)$ ($1{\leq}i{\leq}2^{n-1}$)을 효과적으로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다기능 레이다를 이용한 저 RCS 해상표적 탐지성능 분석 (Detection of Low-RCS Targets in Sea-Clutter using Multi-Function Radar)

  • 이명준;김지은;이상민;전현무;양우용;김경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507-517
    • /
    • 2019
  • 다기능 레이다(multi-function radar: MFR)는 탐지, 추적, 식별 등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레이다 시스템이다. 이러한 MFR은 여러 기능을 실시간 내에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탐지 모드를 위한 측정 시간이 매우 짧은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저 레이다 단면적(radar cross section: RCS)을 갖는 해상표적을 탐지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의 다양한 탐지기법들이 존재하며, 해당 기법들을 MFR 탐지모드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 연구된 많은 해상표적 탐지기법은 상대적으로 긴 시간 측정된 해상 신호에 대해 효과적 해상표적 탐지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매우 짧은 측정시간을 갖는 MFR 탐지 모드에는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FR 탐지 모드의 짧은 측정 시간을 고려한 해상클러터 모델링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상 클러터 신호를 생성하였다. 또한 해상표적 RCS를 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앞에서 계산된 클러터 신호와 결합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최종 레이다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기존에 개발된 4가지 서로 다른 해상표적 탐지기법을 적용하고, 탐지성능을 분석하였다.

한국 산맥론(II): 한반도 '산줄기 지도'의 제안 (Discussions on the Distribution and Genesis of Mountain Ranges in the Korean Peninsular (II) : The Proposal of 'Sanjulgi-Jido(Mountain Ridge Map)‘)

  • 박수진;손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3-273
    • /
    • 2005
  • 최근 한국 사회에는 산지의 공간적 연속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사회적인 요구가 높다. 이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한반도의 산지와 유역분수계의 공간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산줄기 지로'의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산줄기 지도'란 지표면에서 일정한 고도를 가지면서 산으로 인식될 수 있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을 표시한 지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 사회에서 전통적인 산지 인식체계로 알려져 있는 백두대간 체계가 한반도의 산지특성과 유역분수계를 얼마나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는지 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백두대간 체계는 유역분수계의 특성을 파악하거나 산지의 연속성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목적에 사용되기에는, 1)유역분수계 구분의 대표성 결여, 2)유역분수계 표현의 부정확성, 3) 산지 표현의 대표성 결여, 그리고 4) 지정학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등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한반도의 산지와 유역분수계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한반도의 산지 분포를 유역분수계의 관점 에서 계층화하여 산줄기 지도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산줄기 지도에서는 한반도에서 유역 면적이 $5,000km^2$ 이상 되는 유역분지의 분수계 중에서, 고도가 100m 이상이 되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을 1차 산줄기로 규정하였다. 그 다음 차수의 산줄기들은 기준 유역면적을 매 차수마다 반분하여 산줄기를 그릴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차수의 산줄기 가 표현할 수 있는 각종 지형학적 특성을 제시하는 경험공식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반도 전체 산줄기 의 분포와 특성을 필요한 목적과 표현하려는 지도의 축적에 따라 계층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지도는 유역분수계에 근거했다는 점에서 산경표의 산줄기 체계와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나, 근대 지형학의 관점에서 산지의 규모와 연속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제시된 산줄기 체계는 산지의 형성작용과 그 과정을 설명하는 교육적인 모형인 산맥체계와 뚜렷이 구별된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