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tion Kinetics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18초

한우에서 Albendazole의 대사 및 약물동태학 (Metabolism and Pharmacokinetics of Albendazole in Korean Native Cattle)

  • Yun, Hyo-in;Park, Byung-Kwon;Park, Kyoung-hwan;Lim, Jong-hwan;Hwang, Youn-hwa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5-200
    • /
    • 2001
  • 한우에서 albendazole을 경구투여하였을 때의 albendazole의 생체내 대사 및 약물동태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거의 모든 가축종에서 albendazole은 투여 후 신속하게 대사산물로 전환되기 때문에 albendazole 대사산물에 대한 분석법 확립이 albendazole의 생체내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우 긴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lbendazole 및 그 대사산물인 albendazole sulfoxide(ABZSO)와 albendazole sulfone(ABZS $O_2$)을 LC/MS을 이용하여 높은 분석능을 획득할 수 있었다. Albendazole을 한우에 5 mg/kg을 경구토여하였을 때 모약인 albendazole은 첫 두 채혈시점인 0.5 h 1h에서만 측정되었을 뿐 그 이후에는 측정되지 않았다. 한편, ABZSO와 ABZS $O_2$은 첫 채혈 시점인 0.5h부터 측정되어 투여 후 각각 48h 및 72h까지 측정이 가능하였다. 두 대사산물의 초기 생성속도는 비슷하였다. 혈중최고농도 도달시간 ($T^{max}$)은 ABZSO가 12.00 h로서 ABZS $O_2$의 22.50$\pm$3.00h보다 빨랐으며 (p<0.005), ABZSO의 최고농도 ( $C_{max}$)는 0.96$\pm$0.15 $\mu\textrm{g}$/ml이었고 ABZS $O_2$의 그것을 1.05$\pm$0.05 $\mu\textrm{g}$/ml를 나타내었다. 소실반감기 ($t^$\frac{1}{2}$, ke/$)는 ABZSO는 4.14$\pm$0.30 h로 ABZS $O_2$의 6.95$\pm$0.36 h보다 빨랐으며 (p<0.005), MRT (mean residence time)는 각각 13.11$\pm$0.05 h와 21.60$\pm$1.99h로서 ABZS $O_2$가 생체내에 더욱 오래 머물렀다 (p<0.005). ABZSO는 AU $C_{0}$$\longrightarrow$$\infty$/는 ABZS $O_2$의 그것보다 작았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보아 ABZ을 한우에 구충목적으로 투여할 때 구충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ABZSO의 생체내 거동을 고려하여 용법용량을 설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리규산에 의한 폐장내 IL-1$\beta$, IL-6, TNF-$\alpha$, TGF-$\beta$의 발현 (Silica induced Expression of IL-1$\beta$, IL-6, TNF-$\beta$, TGF-$\alpha$, in the Experimental Murine Lung Fibrosis)

  • 기신영;박성우;이명란;김은영;어수택;김용훈;박춘식;이희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835-845
    • /
    • 1998
  • 연구배경: 유리규산(silica)이 폐장내로 흡입되면 폐장내 염증세포의 축적이 발생하고 폐실질과 간질에 섬유화가 발생한다. Silica가 폐장내로 흡입되면 대삭세포에 탐식되어 염증매개물을 분비한다. 대식세포에서 염증반응에 중요하게 관여히는 cytokines은 IL-1$\beta$, IL-6, TNF-$\alpha$ 등이 있으며 후기 섬유화에 관계하는 TGF-$\beta$ 등이 분비되어 폐섬유화의 진행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silica에 의한 폐섬유화 과정에서 각 cytokine의 역할과 분비부위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규명된 바 없다. 방 법: silica 투여시 폐섬유화증이 잘 유발되어지는 C57BL/6J(ref) mouse의 폐장내로 silica를 투여 후 1 일, 2 일, 7 일, 2 주, 4주, 8주, 12주째마다 폐장을 적출하여 시간에 따른 폐조직의 변화와 면역화학조직염색법을 이용하여 IL-1$\beta$, IL-6, TNF-$\alpha$, TGF-$\beta$ 단백 발현의 변화와 분비부위를 관찰하였다. 결 과: Silica군에서는 2주부터 육안적 소견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8주째 변화가 가장 심하였고 초기에 염증세포의 침윤이 기관지와 세기관지 주위로 시작되어 8 주째는 기관지 주위의 심한 염증세포 침윤과 섬유화 결절에 의해서 기관지가 완전히 폐쇄되는 소견을 보였다. IL-6 의 발현은 혈관에서는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발현되었고 시간 경과에 따라 기도상피세포와 혈판내피세포에서 IL-6 발현이 관찰되어 IL-6의 형성은 혈관에서 기도내로 이동하는 염증세포에 의해 과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IL-1는 정상군의 혈관내피세포에서 1도 정도의 경한 발현이 있은 후 큰 변화없이 12주까지 지속적으로 발현되었다. TNF-$\alpha$는 기도상피세포에서 발현이 점차 증가하였고 2주째 기관지 주위에 염증세포의 침윤이 심해지면서 형성된 결절에서 강한 발현이 나타난 후 8주까지 지속되었다. TGF-$\beta$는 기관지 주위에서 초기에 발현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염증 세포의 침윤이 심해지는 2 주째부터 강한 발현이 나타난 후 12주까지 지속적으로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결 론: Silica를 폐장내 투여시 IL-1$\beta$, IL-6, TNF-$\alpha$가 조기에 분비되어 모두 폐섬유화의 염증반응에 관여하고 TGF-$\beta$는 후기의 폐섬유화에 유지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며 silica에 의한 폐섬유화의 조절방법으로는 TNF-$\alpha$의 형성조절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