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nt Frequency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3초

우리말 모음의 발음시 음형대와 조음위치의 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Formants and Constriction Areas of Vocal Tract in 9 Korean Standard Vowels)

  • 서경식;김재영;김영기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4-58
    • /
    • 1994
  • The formants of the 9 Korean standard vowels(which used by the average people of Seoul, central-area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measured by analysis with the linear predictive coding(LPC) and fast Fourier transform(FFT). The author already had reported the constriction area for the Korean standard vowels, and with the existing data, the distance from glottis to the constriction area in the vocal tract of each vowel was newly measured with videovelopharyngograms and lateral Rontgenograms of the vocal tract. We correlated the formant frequencies with the distance from glottis to the constriction area of the vocal tract. Also we tried to correlate the formant frequencies with the position of tongue in the vocal tract which is divided into 2 categories : The position of tongue in oral cavity by the distance from imaginary palatal line to the highest point of tongue and the position in pharyngeal cavity by the distance from back of tongue to posterior pharyngeal wall.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10 adults(male : 5, female : 5) who spoke primary 9 Korean standard vowels. We had already reported that the Korean vowel [i], [e], $[{\varepsilon}]$ were articulated at hard palate level, [$\dot{+}$], [u] were at soft palate level, [$\wedge$] was at upper pharynx level and the [$\wedge$], [$\partial$], [a] in a previous article. Also we had noted that the significance of pharyngeal cavity in vowel articulation. From this study we have concluded that ; 1) The F$_1$ is related with the oral cavity articulated vowel [i, e, $\varepsilon$, $\dot{+}$, u]. 2) Within the oral cavity articulated vowel [i, e, $\varepsilon$, $\dot{+}$, u] and the upper pharynx articulated vowel [o], the F$_2$ is elevated when the diatance from glottis to the constriction area is longer. But within the lower pharynx articulated vowel [$\partial$, $\wedge$, a], the F$_2$ is elevated when the distance from glottis to the constriction area is shorter. 3) With the stronger tendency of back-vowel, the higher the elevation of the F$_1$ and F$_2$ frequencies. 4) The F$_3$ and F$_4$ showed no correaltion with the constriction area nor the position of tongue in the vocal tract 5) The parameter F$_2$- F$_1$,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F$_2$ frequency and F$_1$ frequency showed an excellent indicator of differenciating the oral cavity articulated vowels from pharyngeal cavity articulated vowels. If the F$_2$-F$_1$ is less than about 600Hz which indicates the vowel is articulated in the pharyngeal cavity, and more than about 600Hz, which indicates that the vowel is articulated in the oral cavity.

  • PDF

음란물 시청으로 야기된 성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xual Desire Caused by Watching Phonography on Human Body)

  • 김봉현;조동욱;김희대;이범주;박영;정연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831-837
    • /
    • 2017
  • 인터넷, 스마트 폰 등과 같은 각 종 전자매체의 발전은 여러 형태의 다양한 미디어 정보가 하나의 매체에서 제공된다는 순기능과 더불어 또 다른 한 편으로는 스마트 폰 중독 등을 비롯한 여러 역기능 또한 대단히 큰 사회적 문제로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장 큰 대표적 역기능 중 하나가 음란물(야한 동영상, 이하 '야동') 시청에 따라 증가된 성욕으로 말미암은 성 범죄 야기 등과 같은 사회 범죄 문제이며, 사회적 범죄는 아니더라도 야동 시청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인체에 나쁜 폐해를 끼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야동을 시청 한 후 이것이 인체에 어떤 나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음성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 가에 대한 분석을 행하고자 한다. 즉, 인체에 있어 음성은 인체의 생체신호가 얼굴과 더불어 가장 많이 발현되는 곳이다. 따라서 야동 시청 전과 후의 음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야동의 시청이 인체 장기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규명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야동 시청 후 성욕을 해소치 못 함으로 스트레스 호르몬 증가하고 이것이 3 포먼트 주파수 대역폭이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평양 지역어와 서울 지역어의 자음에 대한 음성신호 파라미터들의 비교 연구 - "ㅅ/ ㅆ"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Speech Signal Parameters for the Consonants of Pyongyang and Seoul Dialects - Focused on "ㅅ/ㅆ")

  • 소신애;이강희;유광복;임하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27-937
    • /
    • 2018
  • 본 논문은 공학적 응용의 기초가 되는 신호 처리의 관점에서 한국어의 평양 지역어의 자음과 서울 지역어의 자음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금까지 대다수의 음성학적 연구는 언어의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음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어떤 언어든 거의 모든 경우 자음의 수가 모음의 수보다 많다. 따라서 자음에 대한 음성학적 연구 또한 언어 연구에서 중요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음운론적 또는 실험음성학적 방법들로 진행된 평양 지역어의 모음 연구에 더하여 공학적인 방법으로 자음 연구를 수행하였다. 평양 지역어와 서울 지역어에서 음가상 많은 차이를 보이는 치경 자음을 데이터로 하였고 음성신호의 주요한 파라미터들 - 포먼트 주파수, 피치, 스펙트로그램 등 - 을 측정하였다. 한국어 /시/와 /씨/에 대한 두 지역어의 음가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음성 인식과 음성 합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병적인 소리 떨림증과 소리꾼 떨림증의 음향학적인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Acoustic Representation between Pansori singer's and Spasmodic dysphonia patient's Voice)

  • 홍기환;김현기;이진국;조재식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7년도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43-145
    • /
    • 2007
  • Muscle groups that are located in and around the vocal tract can produce audible changes in frequency and/or intensity of the voice. Vocal vibrato is a characteristic feature in the singing of performers trained in the western classical tradition and vibrato is generally considered to result from modulation in frequency amplitude and timbre. Vocal tremor is also characterized by periodic fluctuations in the voice frequency or intensity and vocal tremor is symptom of a neurological disease as Spasmodic dysphonia , Parkinson's disease. Vocal vibrato and Vocal tremor may have many of the same origins and mechanisms in the voice production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costic character of Korean traditional song Pansori singer's vibrato and Spasmodic dysphonia patient's vocal tremor. twelve Pansori singers and seven Spasmodic dysponia patients participated to this study. Power spectrum and Real time Spectrogram are used to analyz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singing and Spasmodic dysphonia patient's vo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owel formant differences between Pansori singing and Spasmodic dysphonia patient's voice are higher F1, F3. Second, The vibrato rate show differences between Pansori singing and Spasmodic dysphonia patients;$4^{\sim}6/sec$ and $5{\sim}6/sec$ Vibrato rate of pitch is 5.7 Hz ${\sim}$ 42.4 Hz for Pansori singing , 3.8 Hz ${\sim}$ 27.9 Hz for Spasmodic dysphonia patients ;Vibrato rate of intensity range is 0.07 dB ${\sim}$ 8.26 dB for Pansori singing and 0.07 dB ${\sim}$ 4.81 dB for Spasmodic dysphonia patients

  • PDF

한국어 음성인식에서 음성의 특성을 고려한 음소 경계 검출 (Phoneme Segmentation in Consideration of Speech feature in Korean Speech Recognition)

  • 서영완;송점동;이정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1-38
    • /
    • 2001
  • 음소 단위로 구축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인식과 음성합성 및 분석 등의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음소는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유성음과 무성음은 많은 특징적 차이가 있지만, 기존의 음소 경계 검출 알고리즘은 이를 고려하지 않고 시간 축을 기준으로 이전 프레임과의 스펙트럼 비교만을 통하여 음소의 경계를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음소 경계 검출을 위하여 유성음과 무성음의 특징적 차이를 고려한 블록기반의 분류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한 스펙트럼 비교 방법은 MFCC(kel-Frequency Cepstrum Coefficient)를 기반으로 한 거리 측정 법을 사용하였고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은 에너지 영 교차율, 스펙트럼 비, 포만트 주파수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결과 3-4음절 고립단어를 대상으로 약 7%,의 정확도를 얻음으로써 기존의 음소 경계 검출 시스템보다 약 8%의 정확도 향상을 보였다.

  • PDF

청각 주파수 응답에 기반한 자동 모음 개시 지점 탐지 (Automatic Vowel Onset Point Detection Based on Auditory Frequency Response)

  • 장한;김학태;정길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33-342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인간 청각 시스템에 기반한 모음 개시 지점 (VOP) 탐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지각의' 주파수 범위, 즉 선형 음향 주파수에서의 Mel Scale을 보여준 후 일련의 삼각 Mel-weighted Filter Bank를 만들어 인간의 청각 시스템에서 대역 필터링 기능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이러한 비선형 임계 대역 Filter Bank는 데이터 차원수를 크게 감소시키고 비선형적으로 간격을 둔 Mel 스펙트럼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포먼트를 생성하기 위해 조파들의 영향을 제거해준다. Mel 스펙트럼의 첨두 에너지 합은 각 프레임의 특징으로 추출하고 에너지 진폭이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할 때의 특성은 Gabor 윈도우를 사용하여 VOP로 탐지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다른 종류의 자음들과 연결된 12개의 모음들을 포함하는 한 단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제안된 방법의 평균 정확도는 단시간 에너지와 zero-crossing 비율에 기반을 둔 다른 모음 탐지 방법들보다 높은 72.73%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Relationship between roar sound characteristics and body size of Steller sea lion

  • Park, Tae-Geon;Iida, Kohji;Mukai, Tohru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4호
    • /
    • pp.458-465
    • /
    • 2010
  • Hundreds of Steller sea lions, Eumetopias jubatus, migrate from Sakhalin and the northern Kuril Islands to Hokkaido every winter. During this migration, they may use their roaring sounds to navigate and to maintain their groups. We recorded the roars of wild Steller sea lions that had landed on reefs on the west coast of Hokkaido, and those of captive sea lions, while making video recordings. A total of 300 roars of wild sea lions and 870 roars of captive sea lions were sampled. The fundamental frequency ($F_0$), formant frequency ($F_1$), pulse repetition rate (PRR), and duration of syllables (T) were analyzed using a sonagraph. $F_0$, $F_1$, and PRR of the roars emitted by captive sea lions increased in the order male, female, and juvenile. By contrast, the $F_1$ of wild males was lower than that of females, while the $F_0$ and PRR of wild males and females did not differ statistically. Moreover, the $F_0$ and $F_1$ frequencies for captive sea l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wild sea lions, while PRR in captive sea lions was lower than in wild sea lions. Since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body length and the $F_0$ and $F_1$ frequencies in captive sea lions, the body length distribution of wild sea lions could be estimated from the $F_0$ and $F_1$ frequency distribution using a regression equation. These results roughly agree with the body length distribution derived from photographic geometry. As the volume of the oral cavity and the length of the vocal cords are generally proportional to body length, sampled roar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a population, such as the body length distribution and sex ratio.

캡스트럼 분석을 이용한 해금의 스펙트럼 모델링 (Spectral Modeling of Haegeum Using Cepstral Analysis)

  • 홍연우;강명수;조상진;김종면;이정철;정의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43-25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해금 소리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캡스트럼 분석을 이용한 전통 악기 해금의 스펙트럼 모델링을 제안한다. 정확한 캡스트럼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프레임 사이즈는 입력 신호의 3주기로 하였고 포만트 추출에 더 많은 캡스트럼 계수를 활용하였다. 정현파 성분 합성 과정에서 대역통과 필터의 차단주파수를 공명점 별로 유동적으로 조절하고 노이즈 성분에 남아있는 피크 성분들을 제거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음 높이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입력 프레임을 묵음구간, 어택구간, 지속구간으로 분류하였고 기본주파수에 따라 프레임 사이즈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였으며 지속구간에서의 기본주파수 검출 오류를 수정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해금 연주 전문가의 청취테스트를 통해 원음과 합성음이 96~100 % 유사하다는 평가 결과를 얻었다.

남녀 음성 변환 기술연구 (A Study On Male-To-Female Voice Conversion)

  • 최정규;김재민;한민수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115-118
    • /
    • 2000
  • Voice conversion technology is essential for TTS systems because the construction of speech database takes much effort. In this paper. male-to-female voice conversion technology in Korean LPC TTS system has been studied. In general. the parameters for voice color conversion are categorized into acoustic and prosodic parameters. This paper adopts LSF(Line Spectral Frequency) for acoustic parameter, pitch period and duration for prosodic parameters. In this paper. Pitch period is shortened by the half, duration is shortened by $25\%, and LSFs are shifted linearly for the voice conversion. And the synthesized speech is post-filtered by a bandpass filter. The proposed algorithm is simpler than other algorithms. for example, VQ and Neural Net based methods. And we don't even need to estimate formant information. The MOS(Mean Opinion Socre) test for naturalness shows 2.25 and for female closeness, 3.2. In conclusion, by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male-to-female voice conversion system can be simply implemented with relatively successful results.

  • PDF

개교환자의 발성에 관한 언어 음성학적 연구 (A SPEECH-PHONETIC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THE OPENBITE PATIENTS)

  • 김기달;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7-307
    • /
    • 1991
  •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speech defects of openbite patients, which were analized in terms of formant frequency for vowels and word pronunciation length for consonants.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lip (perioral m.) activity was tested by the EMG. The tongue force was measured by the strain gauge, and the speech discrimination test was carried out.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y were respectively composed of six female openbite patients and six normal-occlusion females. Eight monophthongs, two fricatives and two affricatives were chosen for speech analysis. Speeches of the above-mentioned groups were recorded and then analized by the ILS/PC-1 software. Four hundred most frequently used monosyllables were also chosen for discrimination score. Openbite patients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Abnormality in case of /a/, $/\varepsilon/$, /e/, /i/ $F_2$ and /e/, /a/ $F_1$. 2. Significantly elongated length in their pronunciation of /h/ and $/C^h/$ and somewhat elongated length also in their pronunciation of /s/ and /c/. 3. Significant upper lip activity according to the EMG test during pronunciation of the bilabial consonants. 4. Relatively weak tongue force according to the strain gauge measurement. 5. According to the speech discrimination test, high rate of misarticulation in case of (a) initial /p/ /s'/ and /ts'/, (b) /a/,$/\varepsilon/$,/e/,/je/,/o/, $/\phi/$,/jo/,/u/,/we/, and /i/ (c) final (equation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