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 Based Codes(FBC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미국 중소도시의 형태기반코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건축계획요소를 포함한 조닝코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omponents in Form-Based Codes of Small to Mid Cities in US - Focused on Zoning Codes Including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

  • 박성용;안동준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77-85
    • /
    • 2018
  • Rapid urbanization has fostered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Although Conventional zoning played its role to control urban development, it also segregated land uses and created homogeneous development pattern. Mega cities with satellite bed towns has not shown their unique identity and characters. In order to develop comprehensive approach which may bring social and physical enhancement can be difficult to achieve by considering city as a two dimensions. On contrary, extensive analysis and proposals require an approach which can perceive city with three dimensions. Form-Based Codes (FBCs) are appear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zoning with different design process and principles. FBCs approach urban place with three dimension and giving priority to form rather than land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cessity of FBCs and its concept, components and how this would change urban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s of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analysis on 4 case studies for zoning codes of US cities. Through comparison of components in Form-Based Codes of 4 different cases, this study can show the reasons for differences in application of Form-Based Codes and how detailed components would play a role to establish better urban environments.

형태기반코드를 기반으로 한 주거지 열환경 평가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in the Detached Housing Area Based on the Form-Based Codes)

  • 류지원;정응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43-50
    • /
    • 2014
  • This study assesses thermal environment of detached housing area by classifying buildings types with codes based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the detached housing area and applying heat island alleviation measures, especially focused on FBCs (Form-Based Codes). We analyzed shapes and materials of outdoor space with 3D-CAD, which can affec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ase studies, focusing on heat island alleviation measures, and performed space design by applying relevant climate factors to a simulation. As to the 3D surface temperature and HIP distribution, low-temperature distribution was shown in the case studies when we applied heat island alleviation measures. FBCs (Form- Based Codes) is being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new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ays attention to the effects of surface temperatures on accumulation of sensible heat and reviews heat island alleviation measures with outdoor space shapes/materials in order to lower surface temperatures, aiming at improved pleasantness of the detached housing area.

Form Based Codes를 기반으로 한 항만공간 유형화 및 특성분석 (A Study on the Port Space Typ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Based on FBCs)

  • 황선아;김종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255-268
    • /
    • 2017
  • 많은 도시들은 각각 상이한 지리적, 공간적, 환경적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각 공간마다의 고유한 장소성을 나타내는 요소이며, 도시계획 및 개발이 행해질 때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실질적으로 계획에 반영되지 못하는 부분이 많으며 그로 인해 뜻밖의 무장소성의 공간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특히 항구도시에서의 항만공간은 해당 도시의 문화적,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특성이 매우 강한 곳으로 다른 공간과 다른 독창적이고 특화된 공간이 만들어 져야 한다. 이에 항만공간만의 장소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물리적 요소 뿐만 아니라 사회적 요소 또한 적극 반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용도지역지구제가 가지고 있는 제도 자체의 경직성을 탈피하고, 보다 유연한 도시계획적 접근방안 모색을 위해 대두되고 있는 FBCs를 활용하였다. 또한 항만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요소를 도출하고, 각 항만공간의 장소성을 구축하였다.

FBCs를 활용한 항만공간과 항만배후지의 연계성 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Port Space and Hinterland Using FBCs)

  • 황선아;김종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15-228
    • /
    • 2017
  • 최근 세계의 많은 항구도시들은 시대 흐름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기존의 항만공간에 대한 의의가 보다 복합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항만공간의 경우 이러한 시대흐름에 발빠르게 호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시행되고 있는 개발은 대규모 항만공간에만 집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항만공간과 항만배후지역간의 공간적, 심리적 단절감이 강해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룬 항만공간의 계획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항만공간은 항만공간만의 고유한 장소성과 특이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배후지역과의 조화를 이룬 계획이 시행되는데 많은 한계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FBCs를 활용하여 항만배후지역과 항만지역의 이질적 공간 간 연계성을 강화하여 항만공간 전체가 조화를 이루는 도시계획적 접근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BCs란, 해당 공간만의 특성 즉, 장소성과 고유성을 반영하고, 보행자 중심의 공간 계획, 그에 따른 안전성 확보, 공공공간의 활용 등을 위해 미국에서 제시되고, 실행되고 있는 제도적 장치이며, 아직까지 국내에는 도입되어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