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vegetation management unit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Vegetation Management Units and Its Landscape Structures of Mt. Cheolma, in Incheon City, Korea

  • Cho, Hyun-Je;Cho, Je-Hyung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71-77
    • /
    • 2002
  •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of the isolated forestlands in Incheon city located in the western tip of South Korea,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eolma was classified phytosciologically and mapped out its spatial distribution at a scale of 1:5,000.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number and size of patches obtained by analyzing vegetation map. Units to manage the forest vegetation were categorized into eighteen communities, seventeen groups, and sixteen subgroups. Landscape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secondary vegetation, introduced vegetation for forestry (IVF), introduced vegetation for agriculture (IVA), and other elements. Two hundred and ninety-three forest landscape patches covers 443.3ha of which IVF accounted for 316.8ha(71.5%), the largest portion, secondary vegetation for f01.2ha(22.8%), IVA for 6.2ha(1.4%), and others for 19.1ha(4.3%). The ratio of natural forest elements of 31.9% showed that this area was mainly comprised of artificially introduced vegetation, such as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and Pinus rigida plantation. Forest landscape patches have a mean area of 4.5ha, a density of 66.1/100ha, and a diversity index of 0.87. It was estimated that differentiation of patches recognized in community level would be related to human interference and those in subordinate level to natural processes.

  • PDF

Vegetation Management Units and Its Landscape Structures of Mt. Cheolma, in Incheon City, Korea

  • Cho, Hyun-Je;Cho, Je-Hyu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05-211
    • /
    • 2002
  •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of the isolated forestlands in Incheon city located in the western tip of South Korea,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eolma was classified phytosciologically and mapped out its spatial distribution at a scale of 1:5,000.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number and size of patches obtained by analy zing vegetation map. Units to manage the forest vegetation were categorized into eighteen communities, seventeen groups, and sixteen subgroups. Landscape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secondary vegetation, introduced vegetation for forestry (IVF), introduced vegetation for agriculture (IVA), and other elements. Two hundred and ninety-three forest landscape patches covers 443.3ha, of which IVF accounted for 316.8ha(71.5$\%$), the largest portion, secondary vegetation for 101.2ha(22.8$\%$), IVA for 6.2ha(1.4$\%$), and others for 19.1ha(4.3$\%$). The ratio of natural forest elements of 31.9$\%$ showed that this area was mainly comprised of artificially introduced vegetation, such as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and Pinus rigida plantation. Forest landscape patches have a mean area of 4.5ha, a density of 66.1/100ha, and a diversity index of 0.87. It was estimated that differentiation of patches recognized in community level would be related to human interference and those in subordinate level to natural processes.

도시림(都市林) 관리(管理)를 위(爲)한 식생단위구분(植生單位區分)과 정밀식생도(情密植生圖) 작성(作成) -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무등산(無等山)을 중심(中心)으로 -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Units and Its Detailed Mapping for Urban Forest Management - On Mt. Moodeung in Kwangju, Korea -)

  • 조현제;조재형;이창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470-479
    • /
    • 2000
  •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의 대표적인 도시림(都市林)인 무등산(無等山)에 발달하고 있는 산림식생(山林植生)의 보전(保全)과 관리(管理)를 목적으로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인 방법에 의해 그 관리단위(管理單位)가 구분되고 그것의 공간적(空間的) 분포(分布)가 정밀(精密)하게 지도화(地圖化)되었다. 이 지역의 산림식생관리단위(山林植生管理單位)는 상위(上位) 21개(個) 단위(單位), 하위(下位) 10개(個) 단위(單位) 그리고 최종하위(最終下位) 9개(個) 단위(單位)로 구분되었으며, 총(總) 31개의 관리구성(管理區城)이 결정되었다. 정밀식생도(情密植生圖) 작성면적은 2,779.5ha이며, 그 중 자연식생(自然植生)이 78.9%인 2,192.0ha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인공식생(人工植生)과 무립목지(無立木地)가 각각 5.7%인 159.1ha, 15.5%인 428.4ha로 나타났다. 자연림요소율(自然林要素率)은 타 지역의 도시림에 비교하여 볼 때 아주 높은 93.2%로 나타났다.

  • PDF

도시림의 생태학적 진단과 생태적 관리시스템 개발 : 부산시 황령산을 중심으로 (Ecological diagnosis and Development of Ecological Management System of Urban Forest : On Mt. Hwangryung in Pusan, Korea)

  • 조현제;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779-789
    • /
    • 1998
  • The forest vegetation established on Mt. Hwangryung located in Pusan, southern Korea was analyzed through phytosociological procedure. Vegetation of the study area was categorized into 14 communities, 16 groups, and 13 subgroups. Vegetation units obtained from such an analysis were shown in a detailed vegetation map (scale 1:5,000).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vegetation unit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restoration ecology. From tho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ome introduced vegetation under excessive artificial interference was in unstable state and then ecological restoration was needed. On the other hand, ecological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s to maintain the urban forest as ecologically healthy state were developed using GIS.

  • PDF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사찰림의 식생구조 (Templ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ite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Donghaksa, Gapsa and Sinwonsa -)

  • 송주현;권순선;김호진;이정은;윤이슬;;김현섭;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2-733
    • /
    • 2019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로 지정된 동학사, 갑사, 신원사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여 사찰림의 생태적 보전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2018년 9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총 29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느티나무-으름덩굴-황매화군락(VU1), 졸참나무-작살나무-까치박달군락(VU2), 소나무-산벚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VU3)으로 식생유형이 각각 구분되었으며, 각 식생단위별 지표종은 각각 12분류군, 8분류군,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식생단위에서 느티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다양도 분석 결과, 식생단위 3의 종다양도가 0.939으로 다른 식생단위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생유형과 무생물적입지환경, 생물적입지환경과의 상관관계분석을 CCA를 통해 분석한 결과, 무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는 식생단위 2와 해발고도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물적 환경인자와의 관계에서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생구조 관리를 위한 한국 미황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및 종다양성 분석 연구 (Study of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for Vegetation Management on Shrine Forest of Miwhang-sa, Korea)

  • 이성제;오오노 케이이치;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40-561
    • /
    • 2011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식생구조의 변화에 맞추어 미황사 사찰림의 현 식생구조분석과 종다양성을 고려한 사찰림의 식생학적 구조분석과 적합한 식생구조 선정 및 관리를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분석, 식생단위와 환경변수와의 상관관계, 생활형구조분석, 종다양성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현 사찰림은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분석결과 졸참나무-굴참나무 군락, 붉가시나무군락, 팽나무군락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환경변수 Ca, Mg, P 의 기준에 따라서 팽나무군락과 나머지 군락들(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과 붉가시나무군락)의 두 영역으로 분포하였다. 또한 환경변수 유기물(OM), Ni, Zn 에 따라서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과 붉가시나무군락의 분포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굴참나무 군락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붉가시나무군락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형 R1-2 식물인 조릿대가 관목층 이하에서 우점하고 있으며, 저층부의 종의 단순화를 이루고 있다. 종다양성은 졸참나무-굴참나무 군락이 붉가시나무 군락에 비하여 더 높게 나타났으며, 상록활엽수림으로 이루어진 남은사에 비해서 본 미황사 사찰림의 종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사회학적 분석결과를 통한 식생군락, 조릿대에 의한 저층부 이하의 종의 단순화, 종다양성 및 종균재도를 고려한 미황사 사찰림의 장기적 식생관리가 필요하다 사료된다.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rbus commixta Hedl. Natural Populations in Mt. Chiri

  • Kim, Sea-Hyun;Han, Jin-Gyu;Chung, Dong-J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70-578
    • /
    • 200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sic vegetation inform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Sorbus commixta habitat in Korea, 31 plots in Mt. Chiri area were selected of which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 habitat was classified as S. commixta community group which was then subdivided to Prunus padus group and Picea jezoensis group. Prunus padus group was classified in Ainsliaea acerifolia subgroup and Magnolia sieboldii subgroup, while the Picea jezoensis group was classified in Rhododendron mucronulatum subgroup and Echinopanax horridum subgroup. Thus, the forest vegetation of S. commixta was classified in 1 community, 2 groups and 4 subgroups, and found to have 4 vegetation units in total.

세종시 괴화산 도시숲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Urban Forests on Mt. Goehwa, Sejong-Si)

  • 김현화;이정은;이성연;박다은;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51-65
    • /
    • 2024
  • 본 연구는 도시숲 이용 및 관리방안에 필요한 식생구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괴화산을 대상으로 상관우점종 및 종조성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2개의 군락군(졸참나무-생강나무군락군과 큰금계국군락군)으로 대별되었다. 졸참나무-생강나무군락군은 인공림과 천연림 식생을 포함하고 있는데, 인공림은 리기다소나무군락, 밤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천연림은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6개 단위로, 큰금계국군락군은 임연부의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큰낭아초군락, 싸리군락, 족제비싸리군락, 비수리군락의 4개 단위로 각각 분류되어 총 10개의 식생단위 체계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결과 전체 종에서 밤나무가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리기다소나무 6.4%, 아까시나무 6.3% 순으로 나타나 괴화산은 인공조림 수종의 생태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유사도에서 인공림과 천연림은 서로 간 종 구성이 동질적이나 임연부와는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DCA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났다. CCA분석 결과, 인공림과 천연림은 해발고도, 암석노출도, 출현종수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임연부와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를 고려한 지리산 국립공원 내 사찰림의 식생구조 연구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about Shrine Forest in Jirisan National Park with Regard to Global Warming)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863-1879
    • /
    • 2014
  •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shrine forest vegetation located in Jirisan national park affiliated to an ecotone in southern part of Korea, foreseeing a vegetation change based on composition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on canopy,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vegetation management. The shrine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e 7 community units as Chamaecyparis obtusa-Cryptomeria japonica afforesta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rigida afforestation, 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Zelkova serrata-Kerria japonica for. japonica community, Phyllostachys bambusoides forest, Camellia japonica community. This research is also expatiated on the analogous results of ordination analysis with phytosociological analysis. The constituent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 temperate zone were appeared in the most vegetations. It emerged less that the constituent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cold-temperature zone. The life form analyses were made use with the two ways: appearance species in total communities and each community. The species diversity of shrine forests is declined because the high dominances of Sasa borealis and Pseudosasa japonica emerged in the shrub and herb layers. These shrine forests will be succession to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as the representative vegetation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owing to the temperature rise by global warming, and a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ill be able to be also formed if a temperate rise will be continued. The one of the artificial management of shrine forests is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ituent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백두대간 덕유산권역 마루금 주변의 산림식생구조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round Marugeum (Ridge Line) Area in Deogyusan Region, Baekdudaegan)

  • 김호진;송주현;이정은;조현제;박완근;김수진;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81-99
    • /
    • 2022
  • 백두대간은 생물종이 다양하고 풍부한 한반도의 핵심 생태축으로 남한에서 향로봉부터 지리산 천왕봉까지 약 701 km에 이른다. 덕유산권역(늘재-육십령)은 남부권역에 속하며, 특히 덕유산은 입지환경 특성에 따라 다양한 식생이 나타나는 곳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 늘재-육십령 구간의 식생현황을 조사하고 산림식생유형분류를 통해 향후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식생조사는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총 637개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결과, 군락군수준에서는 신갈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수준에서는 구상나무군락, 산오이풀군락, 여뀌군락, 굴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구상나무군락에서는 퍼진고사리군, 가문비나무군으로 세분되었고, 굴참나무군락은 떡갈나무군, 굴참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고산식생, 초지식생, 농경지식생 등 특이한 산림식생에 대한 보전 및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