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plantation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24초

잣나무 임분 내 간벌 후 토양 온도, 수분, 광 유효도 및 직경생장 변화 (Changes in Soi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Light Availability and Diameter Growth After Thinning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 배상원;황재홍;이상태;김현섭;정준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97-403
    • /
    • 2010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강도로 간벌 시행 후 4년이 경과한 경기도 광릉시험림 내 46년생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arini) 인공림에서 간벌 강도가 토양 온도, 수분, 광 유효도(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및 직경 생장량 변화에 미치는 초기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간벌은 2004년 흉고단면적($m^2$/ha)을 기준으로 45%(T45)와 60%(T60)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대조구, T45 및 T60의 평균 토양 온도는 각각 8.9, 10.0, $10.2^{\circ}C$, 평균 토양 수분 함량은 14.3, 16.1, 16.1%이었으며, 평균 토양 온도는 대조구 포함 각 처리구 사이에서, 평균 토양 수분 함량은 대조구와 간벌 처리구간 통계적으로 그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대조구, T45 및 T60의 평균 PAR는 각각 44, 143, 178 ${\mu}mol/m^2$/sec로 나타나 각 처리구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간벌 후 4년간 측정한 연평균 직경 생장량은 대조구, T45 및 T60에서 각각 0.4, 1.5, 1.2 mm으로 조사되어 간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직경 생장량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간벌 후 4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토양 온도, 수분 및 임분 내 유입되는 광 유효도는 지속적으로 간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Fertilization Effects on Understory Vegetation Biomass and Structure in Four Different Plantations

  • Son, Yowhan;Lee, Mi-Hyang;Noh, Nam Jin;Kang, Byeung Hoa;Kim, Kun Ok;Yi, Myong Jong;Byun, Jae Kyung;Yi, Ko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20-527
    • /
    • 2007
  •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of understory vegetation after fertilization were studied for 28-year-old Quercus acutissima plantation (MQA), 29-year-old Pinus densiflora plantation (MPD), 8-year-ol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plantation after coal reclamation (YBP), and 4-year-old Pinus densiflora plantation after forest fire (YPD) in central Korea. Nitrogen + phosphorus + potassium (6:4:1) fertilizer was applied for 3 years from 2004. Thereafte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and understory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ere measured in late July-early August 2006. PAR (${\mu}mol\;m^{-2}S^{-1}$) was higher at the fertilization treatment (100.9) than at the control (67.0) for MQA while was lower at the fertilization treatment (156.5) than at the control (268.7) for MPD. Total understory biomass (t $ha^{-1}$) was lower at the fertilization plot (1.8) than at the control plot (3.0) for YPD,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iomass between fertilization and control plots for MQA, MPD and YBP. Total species number of understory vegetation was higher for fertilization than for control at MPD (47 vs. 45) and YPD (21 vs. 13), and was higher for mature plantations (33 vs. 37 for MQA and 47 vs. 45 for MPD) than for young plantations (16 vs. 16 for YBP and 21 vs. 13 for YPD).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ere higher at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an at the control for MQA, YBP, and YPD while were lower at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an at the control for MPD,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no consistent patterns in light conditions, biomass and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of understory vegetation following fertilization. More detailed long-term studies with different fertilizer applications would be necessary to conclude the influence of fertilization on understory vegetation in the region.

도시 근교 조림지인 리기다소나무림과 이차림인 신갈나무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 비교 (Comparison of Insect Community Structures of a Pinus rigida Plantation and a Quercus mongolica Secondary Forest in the Suburban Area, Korea)

  • 정운경;이은선;원희진;김현정;이훈복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4호
    • /
    • pp.291-29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교 산림에서 1960년대 조림한 조림지의 생태적 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조림지와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이차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를 비교하였다. 2014년 9월 2일부터 11월 6일까지 약 3개월 동안 리기다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5개의 함정 트랩 (pitfall trap)을 이용하여 격주로 곤충을 채집하였다. 리기다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종풍부도는 리기다소나무림에서 약간 높았고 종균등도는 신갈나무림에서 더 높았으며 종풍부도와 종다양도는 두 산림에서 비슷하였다. 두 지역의 곤충에 대한 군집 분석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림 후 40-50년이 경과한 리기다소나무 조림지는 곤충 서식지로서의 생태적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성사진과 지리정보체계(GIS)에 의한 브라질 서부농장지역의 토지이용구분과 인공조림계획에 관한 연구 - Mato Grosso do Sul 주의 장가다 및 쟈마이카 농장 - (A Study of the Farm Land Use Classification and the Tree Plantation Planning of the Western Farm District in Brazil using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Jangada and Jamaica Farm of the State Mato Grosso do Sul-)

  • 우종춘;죠세이마나-엔시나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1-29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브라질 서부의 Mato Grosso do Sul 주의 위치하는 장가다. 쟈마이카 두 개의 농장에 유칼리나무 인공조림블록단지를 위한 식재계획을 세워 보았다. 우선 위성사진을 분석하고 GIS에 의해서 현상태대로의 토지이용구분 및 산림식생구분을 하였고 이것을 기초로 하여 조림가능 지역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농장주인의 요구에 따라 조림가능지역에 대한 식재계획을 3차년도까지 수립하였다. 두 개의 농장 총면적은 5,301ha이며 조림가능면적은 3,913ha로서 전체면적의 74%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26%에 해당하는 1,388ha의 면적은 산림법상 영구보존시켜야 할 산림식생 면적으로 추정되었다. 토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등고선에 따라 구획한 조림블록은 1년차에 27개 블록으로 총 1,308.8ha에 이르고, 2년차에도 27개 블록에 1,327.4ha, 그리고 3년차에는 30개 블록에 1,276.5ha의 면적으로 구획되었다.

진주지역 우산고로쇠나무 인공림의 수액 출수 특성 (Characteristics of Sap Exudation from Acer okamotoanum (Nakai) Plantation Forest in Jinju Region)

  • 김창환;박준형;이광수;박용배;이경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08-316
    • /
    • 2017
  • 본 연구는 우산고로쇠나무 조림지에서 수액 출수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우산고로쇠나무 수액 출수량은 일 평균기온 $3.4^{\circ}C$ 이상 오를 시 출수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를 고려해볼 때, 2월 하순 이전에 수액채취를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루 중 수액출수는 약 9시경부터 출수를 시작하여 11시경에 최대량이 출수되었고 16시경에 출수가 종료되었다. 수액 당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Na를 제외한 다른 무기성분들은 시기별 차이는 없었다.

Natural Regeneration in the Plantations of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in Yangyang-Gun, South Korea

  • Park, YeongDae;Lee, DonKoo;Choi, SeonDeok;Kwon, SoonD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47-58
    • /
    • 2011
  • The forest of Korea had been severely degraded since early 1900s until 1950s. Korean Government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the reforestation works since 1960s. However, some plantations showed poor survival and growth caused by ignoring site characteristics in selecting plantation species and lack of tending works such as thinning. The natural regeneration of indigenous species, such as Quercus species and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were examined in the plantations of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and Larix kaempferi Fortune ex Gordon. Quercus species regenerated mainly by sprouting while P. densiflora regenerated naturally from a few mother trees that remained in the plantations. P. koraiensis showed poor survival ($IVI{\leq}25%$) and suppressed growth (height ${\leq}3m$ and $DBH{\leq}3cm$ at 20 year-old) by Quercus species or P. densiflora in the plantation areas, however had high survival ($IVI{\geq}70%$) and growth (8 m height and 14.1 cm DBH at 20 year-old) in areas where silvicultural practices were conducted. L. kaempferi showed good survival ($IVI{\geq}40%$) and growth (17.2 m height and 16.3 cm DBH at 30 year-old) mostly in valley areas, while it was nearly dead ($IVI{\leq}10%$) in ridge or ridge-slope areas and was replaced by indigenous species such as Quercus species ($IVI{\geq}25{\sim}55%$) or P. densiflora ($IVI{\geq}18{\sim}50%$).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 서식하는 양서류와 파충류 개체군 특성 (Characteristics of Amphibian and Reptile Populations in a Coniferous Plantation and a Deciduous Forest)

  • 박창득;손승훈;황현수;이우신;이은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147-151
    • /
    • 2014
  • 본 연구는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서 양서류와 파충류의 개체군 특성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7월부터 9월까지 강원도 홍천군 일대의 국유림에서 실시되었다. 임상별 산림의 수직구조를 파악한 결과, 관목층(1~2 m)과 아교목층(2~8 m), 수관층(20~30 m)의 엽층별 피도량은 침엽수림이 활엽수림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으나, 흉고직경분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 각각 2개 조사구, 총 4개 조사구 내에서 월별 1회씩 총 12번의 선형횡단조사를 통해 양서류는 4종 52개체, 파충류는 3종 11개체가 확인되었다. 임상에 따른 양서류와 파충류의 평균 종수와 개체수, 평균 종다양도 차이를 파악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상별 각 종의 평균관찰 개체수를 파악한 결과, 청개구리는 침엽수림에서만 관찰되었고 도롱뇽과 아무르장지뱀, 대륙유혈목이는 활엽수림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임상에 따른 양서류와 파충류의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이고 정밀한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Geographic Variation in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 Kim, In-Sik;Ryu, Keun-Ok;Song, Jeong-Ho;Kim, Tae-S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2호통권159호
    • /
    • pp.73-8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ographic variation among provenances of Pinus densiflora in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at four test plantations (Jungsun, Chungju, Naju, and Jeju). The plantations were parts of the eleven provenance trials of Pinus densiflora established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1996. The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est plantations at $p{\leq}0.01$. Latitude and longitude of test plant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On the other hand, annual mean temperature, mean temperature (Nov.~Feb.), extremely low temperature (Dec.~Feb.), and annual mean growing days of test plant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se two.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variables and geographic variables were analysed with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 considerable amount of variation in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was explained by latitude, annual mean growing days, extremely low temperature (Dec.~Feb.) and extremely high temperature (Nov.~Feb.) of provenances. It is estimated that up to 47.1% and 67.4% of the genetic variability in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was attributable to the environmental variability of the provenances, respectively. The response surface curve of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was plotted against latitude and longitude to examine growth performance of provenances for each test site. Generally, the local provenances showed better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산불발생 후 소나무 피해 및 식생복원 실태분석 (Mortality in Pine Stand and Vegetation Recovery after Forest Fire)

  • 이시영;전계원;이명욱;전근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1-79
    • /
    • 2008
  • 산불피해 임지의 식생복원 정도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산불발생 후 임목피해, 식생회복력 등의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나무 고사율은 수간 및 수관의 피해흔적이 심할수록 피해율이 높았다. 산불피해지에 있어서 수관화에 의해 임분이 전소되는 피해를 받은 지역에서의 식생회복은 대부분이 매토종자 및 맹아에 의한 식생의 회복이 진행되었다. 식생회복과 복원력은 전생 임분의 식생상태와 토심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인공복원의 경우 자작나무 조림지의 경우에는 병충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소나무, 해송 조림지의 경우 입지에 따른 생장차이 보다는 조사지내 개체목간의 생장차이가 다소 나타났다.

Comparison of Growth and Allometric Change of Stand and Dominant Trees in Pinus koraiensis Plantation over 34 Years

  • Seo, Yeongwan;Lee, Daesung;Chhorn, Vireak;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35-241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rowth pattern of Pinus koraiensis plantation over 34 years, focusing on DBH, height, basal area and allometric change. Total increment (TI), mean annual increment (MAI)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stand and dominants. Total increment and mean annual increment of both DBH and height of dominants were bigger than those of stand. The difference was apparently shown bigger in DBH than height. Unlike DBH and height the total increment and mean annual increment of basal area per hectare of dominants were distinctively smaller than those of stand. Furthermore MAI of dominant was increasing until age 42, while MAI of stand increased at early age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after culmination like MAIs of DBH and height. MAIs of basal area of dead trees at each measurement tended to increase until early age (18 years in this study), while it reached a peak and gradually decrease after that (21 years in this study).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BH and height tended to decrease as both dominant and stand a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dominant and stand was not clearly shown over the measurement perio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BH and crown width tended to decrease as the trees age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dominant were clearly shown smaller than that of st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height and crown width also was found to be similar to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BH and crown. Meanwhile correlation coefficient of height and crown width dropped more radically than coefficient of DBH and crown width as the trees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