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ires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6초

지질(地質)이 경북(慶北) 산림황폐(山林荒廢)에 미친 영향(影響) (The Effects of Geological Features on Forest Devastation in Kyungpook Province Area)

  • 손두식;이헌호;박상준;조재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8
    • /
    • 1999
  • Forest devastation in Korea was caus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internal factors from geological features and external factors from artificial forest damages including fuel wood collection from forests, forest fires, shifting cultivations and so on. According to the reports of 1935, lots of forest devastation in Kyungpook province area occurred around the main and branch stream of Nakdong river. Main factors of occurring forest devastation in 1935 were investigated by the methods of forest devastation rate and the population density at the basin of Nakdong river. But based on our study, forest devastation mainly occurred in rock zones of granite and granite gneiss, next to Nakdong formation but scarcely occurred in Hayang formation. Clay of the weathered soils of granite and granite gneiss was lost by rainfall, but remaining coarse-sandy soils(or grits) have poored conditions in vegetation's growth, which are due to high level of water permeability, lack of water-holding capacity and dried conditions. Generally, pine forests are mainly growing up in these regions. It is supposed that forest devastation was accelerated due to long periods of natural regeneration and no ability of natural regeneration by sprout after frequent collections of fuel wood and cuttings from pine forest on those grit area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 rate of forest devastation occurred around the basin with the high resident population density, which was partly due to forest damages by fuel collection. Moreover, both geological features and number of residents had much influence on forest devastation. Forest devast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ose variables(r=+0.73).

  • PDF

머신러닝과 샘플링을 이용한 강원도 지역 산불발생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Gangwon Province Forest Fire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and Sampling)

  • 채경재;이유리;조용주;박지현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1-78
    • /
    • 2018
  • 본 연구는 산불 발생 예측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연구이다. 산불 피해면적이 가장 큰 강원도를 중심으로 2003년부터 2016년까지 총 14년의 산불 자료를 이용하였다. 기상자료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강원도를 9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 관측소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9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의 산불 예측 모형을 만들게 되면 산불이 발생한 날(majority)과 산불이 발생하지 않은 날(minority)의 비율 차이가 큰 불균형 문제가 발생한다. 불균형 문제에서는 모델의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캐나다 산불 기상 지수(FWI)의 5가지 지수를 파생변수로 사용하였다. 모델링 방법은 통계적 방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과 머신러닝 방법인 random forest와 xgboost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구역의 최종모델의 선택기준을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를 고려하여 정했으며, 9개 구역의 예측 결과는 산불이 발생한 104건 중 80건의 발생 예측에 성공하였으며 산불이 발생하지 않은 9758건 중 7426건의 발생하지 않음을 예측했다. 전체의 정확도는 76.1%였다.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수관화확산확률식의 개발 (Development of Crown Fire Propagation Probability Equation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 유계선;이병두;원명수;김경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14
  • 수관화는 대형산불의 주된 확산유형으로 빠른 확산속도와 높은 산불강도의 특성을 보이며 많은 피해를 입힌다. 이 연구에서는 수관화 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 수관전소 피해를 입은 지역의 지형 임상 기상 특성을 분석하여 수관화확산확률식을 개발하였다. 영덕 울진 고령 예천에서 일어난 4개의 산불피해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8개의 공간 변수를 구축한 뒤 기타연소지에 대한 수관전소지의 비를 이용하여 각 변수별 구간 가중치를 구하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변수와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수관화확산확률은 임상이 침엽수림일 때, 250m 이상에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복이 심할수록, 사면향은 남서 또는 남동사면일 경우, 능선일수록, 일사량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고도와 경사가 낮은 곳에서는 교란현상이 많이 나타나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이 확률식을 통해 수관화 위험지를 사전에 분석할 수 있고, 산불방지 숲가꾸기 지역 선정 및 진화 우선 지역 선정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1970-2005년 동안의 산불 발생건수 및 연소면적에 대한 시계열모형 추정 (Estiamtion of Time Series Model on Forest Fire Occurrences and Burned Area from 1970 to 2005)

  • 이병두;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643-648
    • /
    • 2006
  • 효율적인 산불예방과 진화활동을 위해서는 산불 발생 및 확산특성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2005년까지 총 36년간의 월별 산불 발생건수 및 연소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산불특성을 분석하고, Box-Jenkins의 ARIMA 모형을 이용하여 시계열 예측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발생건수 및 연소면적은 월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3월과 4월 두 달 동안 전체 발생건수의 59%, 연소면적의 72%가 집중되었다. 발생건수와 연소면적 모두에 있어서 ARIMA(1, 0, 1) 모형이 적합한 모델로 선정되었으며, 산불은 1개월과 12개월 전의 발생건수, 연소면적 수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싸리바구山 山火跡地의 初期植生 邊移 (Early Vegetational Succession of Burned Area in Mt. Ssalibagu)

  • Kim, Jong Hong;Han Sung Ja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2호
    • /
    • pp.109-117
    • /
    • 1985
  • This report is a part of the investigations of the secondary vegetation successions carried out and the analysis of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reas of forest. The fires-crown fire and surface fire-were occurred at April, 1978 and February, 1984. The investigations were carrited out from August 10. 1983 to September 25, 1984. The burned areas studied are located in southern slope of Mt. Ssalibagu (above sea-level, 590m), So-myon, Sungju-gun, Chollanam-do,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loristic compositions of the burned area at the 5th year after the fires were 85 families, 250 genera, 321 species and 53 varieties. Among them, 85 families, 127 genera, 129 species and 30 varieties were found in the currently burned area. In all the sampling sites (10*10cm), 31 and 57 species were found in the currently burned and in the 5th years after the fires, respectively.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Quercus serrata and Festuca ovina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both areas. Biological spectra in both the burned areas showed $H-D_1-R_5-e$ type. Degree of the succession(DS) was 412-884 in the 5th years passed burned area and it was high level. Species diversity index(H) was 0.59~1.13 and evennes index(e) was 0.43~0.79, these indexes between both areas were different considerably. Indexes of similarity between both areas were different, too, but that between $B_1$ and $B_6$ was the highest (CCj=0.5). Probably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great numbers of the pine trees appeared simulataneously. Content of the organic matter, N, P, K and Ca of soil in the burned area at the 5th years after the fires was lower than that of soil in the currently burned area.

  • PDF

건물별 화재 위험도 예측 및 분석: 재산 피해액과 화재 발생 여부를 바탕으로 (Risk Prediction and Analysis of Building Fires -Based on Property Damage and Occurrence of Fires-)

  • 이인아;오형록;이준기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3-144
    • /
    • 2021
  • 본 논문은 서울시에 존재하는 건물을 대상으로 화재 발생 시 재산 피해액, 화재 발생 여부를 예측하여 건물별 화재 위험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건물의 특성뿐 아니라 해당 건물이 속한 행정동의 특성 및 소방 시설 접근성과 같은 변수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와의 차이점을 지닌다. 앙상블 보팅(Ensemble Voting) 기법을 활용해 서로 다른 알고리즘을 병합했으며, 이를 통해 재산 피해액과 화재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변수 중요도를 추출하여 화재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축된 모델을 사용하여 서울시에 존재하는 300개 건물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화재 위험도 1등급의 경우 건물 내 세대 수가 많으며, 관할 119안전센터가 가장 멀리 위치하는 등 화재 발생 시 그 규모를 키울 수 있는 요인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등급의 경우, 주변 건물 수나 사업체 수는 많지만, 관할 119안전센터가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어 화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건물들로 나타났다.

산불피해대장 정보와 위성영상 기반 산불발생데이터의 연계 방안 (The Method of Linking Fire Survey Data with Satellite Image-based Fire Data)

  • 김태희;최진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3호
    • /
    • pp.1125-113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산불 발생 위치와 면적만 기록하는 산불피해대장 정보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위성 영상 기반의 산불발생데이터의 연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1월 ~ 2019년 12월 사이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불피해대장 자료와 MODIS 및 VIIRS 기반 산불발생데이터를 연계하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191건의 산불피해대장 산불 중 MODIS와 VIIRS 기반 산불발생데이터는 각각 약 11%와 44%의 산불에 대해 발생지역 확인이 가능하였다. VIIRS 기반 산불발생데이토로 추출한 피해지역에 대해 고해상도의 Sentinel-2A 위성으로 확인한 산불 영역과 비교한 결과 평균 56% 정도의 산림지역 피해가 추출되었다. 따라서 대규모 산불에 대해서는 VIIRS 산불발생데이터를 이용하면 면적과 발화점 위치만 기록하는 산불피해대장 정보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송전용 폴리머 애자에 대한 산불 영향 평가 (The Influence of Forest Fire on the Polymer Insulator for Transmission Lines)

  • 최인혁;이동일;이철호;강병규;이원교;박준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787-792
    • /
    • 2007
  •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forest fires on polymer insulators for transmission lines, the forest fire simulation tests were performed with polymer and porcelain insulators at Gochang testing center. These tests consisted of energizing 90 kV at line-to-ground voltage of 154 kV lines and open flame rising up to $600-630^{\circ}C$ as being measured at insulator surface. Mechan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fic mechanical load, leakage current, low frequency dry flashover voltage and impulse flashover voltage were analyzed for the polymer insulators before, during and after simulation tests compared with porcelain insulators. At the end of fire simulation tests, there was no detrimental deterioration of any insulators. All insulators passed the criteria of KEPCO specification. This study showed that forest fire simulation had no impact on polymer insulators.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산림정책별 입목축적변화의 요인 군집 (The Factor Clustering of Growing Stock Changes by Forest Polic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신혜진;김의경;김동현;김현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1-8
    • /
    • 2012
  • 이 연구는 입목축적과 산림관리정책 간의 전이함수(transfer function model)를 도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입목축적변화를 유도하는 산림사업 간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9개의 대표적인 산림관리정책에 대해 1977~2008년까지 32년간의 연도별 시계열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추출된 3개의 주성분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91.4%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요약된 3개의 성분은 양호한 산림관리 병해충관리 산불발생이라는 새로운 변수명으로 개념화하였다.

산불이 지질과 토심의 차이에 따른 산림토양 미생물 군집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Forest Fire on the Microbial Community Activity of Forest Soi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Geology and Soil Depth)

  • 김지슬;김준호;정형철;이은영
    • 지질공학
    • /
    • 제33권1호
    • /
    • pp.15-25
    • /
    • 2023
  • 화성암과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국내 산림토양 중 표토와 심토에서 채취된 시료의 미생물군집 활성도에 미치는 산불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베타글루코시다아제의 분석결과, 화성암보다 퇴적암의 미생물군집에서 높게 나타났다. 산불 발생 초기에 효소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활성이 회복되었다. 또한, 토양의 훼손여부와 상관없이 심토는 표토에 비해 활성이 33~46% 저해되었다. EcoPlate를 이용하여 산불이 미생물 기질이용성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정상토와 훼손토의 평균반응구발색도 값 백분율은 표토에서 각각 52.7~56.8% 및 62.3~83.6%로 나타났다. 산불 발생은 토양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함으로 심토미생물군집의 다양성 및 기질이용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진다. 미생물군집의 종다양성지수인 샤논 인덱스(Shanon index, H)는 모든 시료의 표토에서 높게 나타났다. 샤논 풍부도는 퇴적암 토양미생물이 화성암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표토가 심토보다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