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adjacent area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1초

비오톱 연계망 구축을 위한 서식공간 평가 -대구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An Evaluation of Biotope to Develop Its Green Network -in the Case of Susong-Gu in Daegu Metropolitan Area-)

  • 나정화;사공정희;류연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biotope value in a metropolitan area after constructing the biotope evaluation model to develop biotope networking in the light of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frame of constructing the biotope networking system in the future with the evaluation results.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 including some part of the forest adjacent to urban boundary. The results of the classified biotope in the research area have been turned out to be 24 patter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stimated nature value having the forth grade, three were forests combined with urban natural parks, schools near forests, and grasslands. There is a little place having first grade. We an deduce this fact that we have surveyed biotopes, having the minimum nature value and wider than children's park. As for the result of evaluated the structure, there were the forests of Seong-Dong, Meaho-Dong, and Kumho river, which is the forth grade. As for the evaluation of connection-function, the followings area were evaluated as the third grade-linear biotopes having highly valued and sustainable similarity - Seoul-Pusan Railroad, Dong-Daegu St., Kumho river, river basins. Bum대 park and a botanic park near Suesung lake, As for the evaluated the buffer-function, higly valued production biotopes, existing at a transition belt between he residential density areas, are Sawol-Dong, Meaho-Dong and Kumho river. When each of the indexes was evaluated, the core of the biotop contained most of natural biotopes. Large artificial biotopes were evaluated as an important biotopes, while small artificial biotopes were classified as a dot biotope. The future research on the concrete biotope networking construction, based upon performed evaluation in thi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 PDF

지표변화와 지리공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공주지역 지표환경 변화 분석 (Change Detection of land-surface Environment in Gongju Areas Using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surface Change and Geo-spatial Information)

  • 장동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6-309
    • /
    • 2005
  • 본 연구는 공주지역의 지표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우도비 기반의 베이지안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지리공간 정보와 지표변화와의 연관성 및 미래의 지표변화를 탐지하였다. 지표변화 지역은 위성사진을 토지피복분류 한 후 선분류 후비교법을 이용하여 변화지역을 추출하였다. 지표변화와 관련이 있는 지리공간 정보는 GIS 환경에서 구축하였으며, 우도비를 이용하여 지표변화 예측도를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지역 및 농업지역 지표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제도는 고도, 하계망, 인구밀도, 도로, 인구이동, 총사업체수, 지가 등이다. 또한 산림지역 지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제도는 고도, 경사도, 인구밀도, 인구이동, 지가 등이다. 지표변화 분석결과, 도시지역은 금강을 중심으로 구도심과 신도심지역의 도시 확산이 이루어지고, 인터체인지 및 국도를 따라 시가화 지역이 확산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농업지역은 금강의 소지류 및 인접지역과 연결되는 국도주변 지역이 변화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산림지역은 대부분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그 원인은 밤나무 재배단지가 본 지역에 넓게 나타나면서 산림훼손이 일어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예측비율 곡선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지표변화가 일어날 확률이 가장 높은 상위 $10\%$지역에서 도시지역은 $80\%$, 농업지역은 $55\%$, 산림지역은 $40\%$정도의 예측능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통합 모델은 산림지역 예측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어서, 향후 새로운 주제도 선정 및 예측모델 등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방법은 향후 토지피복 변화 연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금강 상류 댐 유역 산림 경관의 구조적 변화 분석 (Analysis of Spatial Changes in the Forest Landscape of the Upper Reaches of Guem River Dam Basin according to Land Cover Change)

  • 김경태;이현정;김휘문;송원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9-301
    • /
    • 2023
  • 유역 내 산림은 생태계 유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생태네트워크 체계를 구성하는 주요 기반 환경이다. 그러나 지난 수십여 년간 행해진 무분별한 개발사업으로 인해 산림 파편화 및 토지이용 변화가 가속화되었으며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산림 생태계를 파악하는 데 있어 산림의 구조적 패턴은 생태적 과정과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변화패턴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인자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금강 상류 댐 유역을 대상으로 FRAGSTATS 모델을 통해 시계열적인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 경관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지피복 변화탐지를 통한 금강 상류 댐 유역 내 토지피복변화는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산림 33.12km2(0.62%), 시가화건조지역 67.26km2 (1.26%) 증가하였고 농업지역 148.25km2(2.79%) 감소하였다. 유역 내 산림 경관분석결과 No sampling 분석에서는 경관백분율(PLAND), 면적가중근접지수(CONTIG_AM), 평균 중심지 면적(CORE_MN), 인접지수(PLADJ)가 증가하였고 패치수(NP), 경관형태지수(LSI), 응집지수(COHESION)가 감소하였다. Moving window 분석을 통해 구조적 변화패턴을 파악한 결과, 경상북도 상주시, 충청북도 보은군, 전라북도 진안군 내 산림 경관은 상대적으로 잘 보전되어 있었으나 충청북도 옥천군, 영동군 그리고 충청남도 금산군 사이의 경계부와 전라북도 무주군과 장수군 인접 지역의 산림 경관에서는 파편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결과를 토대로 추후 해당 지역의 산림 관리전략 수립 시 파편화 지역을 대상으로 조림사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 경관의 파편화가 예상되는 지역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유역 산림의 건전성 평가 및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삼나무와 편백 임분의 임목, 임상, 토양의 탄소량 비교 (Carbon Stocks of Tree, Forest Floor, and Mineral Soil in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Stands)

  • 김춘식;백경원;최병길;하지석;배은지;이광수;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69-178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주요 조림 수종으로 유사한 입지환경에 조성되는 삼나무와 편백 임분의 유기 탄소량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삼나무와 편백이 서로 인접한 지역에 조성된 대표적 조림지 13개 지역을 선정하고, 임목, 임상, 토양 10 cm 깊이의 탄소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의 평균 임분 연령은 삼나무 45년, 편백 43년이었으며, 임분밀도는 삼나무가 989본 ha-1으로 편백 1,223본 ha-1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평균 흉고직경과 우세목의 평균 수고는 삼나무가 27.4 cm와 20.4 m, 편백은 23.9 cm와 17.9 m로 삼나무가 유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임분의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흉고단면적과 유의적인 선형회귀 관계(삼나무: r2 = 0.82; 편백: r2 = 0.92; P < 0.05)가 있었으나, 임분밀도 및 지위지수와는 회귀식에 유의성이 없었다(P > 0.05). 지상부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삼나무 95.5 Mg C ha-1, 편백 117.7 Mg C ha-1로 편백 임분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나(P < 0.05), 임상 및 토양층의 유기 탄소 농도 및 탄소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사한 입지환경에 조성된 두 수종의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편백 임분이 삼나무 임분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상이나 토양 탄소량은 수종의 영향이 크지 않았다.

산림지역에서 LiDAR 측량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LiDAR Measurement in Forest Area)

  • 이상훈;이병길;김진광;김창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5-553
    • /
    • 2009
  • 국가 공간정보 중 지형의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수치표고모형(DEM)을 사용한다.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항공 LiDAR를 활용한 방법은 지형의 변화에 신속하게 자료를 획득할 수 있고, 사진측량기법에 비해 기상조건에 따른 제약을 덜 받는다. 이러한 항공 LiDAR는 최근 국가공간정보의 제작에 다양하게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나, 다양한 식생이 우거진 한반도의 산림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항공 LiDAR 측량의 정확도가 얻어지는 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식생이 존재하는 산림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택하여 수목의 특성에 따라 항공 LiDAR 자료의 정확도가 어떻게 다른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낮은 식생이 존재하는 나대지를 포함하고 있는 지역과 이 나대지의 경계부분과 인접하고 있는 다양한 수목이 존재하는 산림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에 대하여 대상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검사점을 선점하고 GPS 측량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측량된 검사점과 항공 LiDAR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활엽수 지역에서는 상당히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 LiDAR 측량에서도 촬영시기를 낙엽이 떨어진 이후로 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의 민속식물 (Ethnobotany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Its Adjacent Regions, South Korea)

  • 김현준;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6-61
    • /
    • 2016
  •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에 대한 전통지식 정보를 수집 및 보존을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수행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 70개소에서 주민 18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1,430장의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조사된 식물은 총 82과 197속 224종 3아종 19변종 1품종의 총 247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현황은 식용 166분류군, 약용 138분류군, 생활용품 27분류군, 용재용 16분류군, 제례용 9분류군 등으로 주로 식·약용 이용 높았다. 이용 부위로는 잎, 줄기, 열매,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된 247분류군의 전통지식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특정식물 종의 이용을 언급한 정보보유자의 수(FC), 이용범주 수(NU), 특정식물을 이용하는 수(UR), 문화적 중요도 지수(CI), 상대적 인용빈도(RFC), 상대적 중요도(RI), 문화적 가치(CV)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 중요도 지수(CI)는 쑥, 칡, 민들레, 상대적 인용빈도(RFC)는 쑥, 쇠무릎, 참취, 상대적 중요도(RI)는 쑥, 칡, 소나무, 문화적 가치(CV)는 쑥, 칡, 쇠무릎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조사지역의 고유한 전통지식으로 털머위뿌리를 관절염, 산후풍, 혈액순환 장애 등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비오톱의 자연체험 가치 평가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Model for Urban Biotope Appraisal)

  • 나정화;류연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and various combinations of each evaluation index and then to appraise urban biotope in terms of nature experience and recreation. After the standard of evaluation had been developed through the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ndex through expert survey was determined, and the evaluation model to assess biotope value was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e have constructed the seventeen evaluation criteria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have provided relative importance to each evaluation index of the natural in biotope, the diversity of landscape patterns, the appearance-existence of water space, the special landscape elements, and the access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 survey. and then we have constructed an evaluation system using the relative importance criteria. 2) To evaluate urban biotope using the evaluation system constructed, we selected 14 sites. The final evaluation results of each site is as follows; The first grade areas are the water space with semi-natural style in front of Gangchon Woobang apartments, the forest zone near Page Temple at Mt. Palgong, the edge area of Jisan and Gosan and the tendril yard against Anshim middle school. The second grade areas are Hyomyung elementary school, the farm land behind the third Anshim Jugong apartment, Ehyun put and the swampy land in front of the Kangchon and Anshim construction site. The third grade areas are Seohan and Hwasung high-rise apartments at Beummul-Dong, the Korea Manpower Agency in the Sungseo industrial zone, and the adjacent area of St. Tongil. The only fourth grade area is the commercial zone near Taegu Department Store. 3) It is highly useful to evaluate urban biotope using the evaluation criteria constructed for this research, the evaluation criteria we developed may be difficult to encompass all expert opinion and the period of space-formation is difficult to estimate urban biotop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gather the basic data suitable to estimate biotop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applicable to estimate every biotope that has specific property.

평가지표에 의한 도시 비오톱의 가치평가 -생물종과 서식처 보전을 중심으로- (An Evaluation of Biotope Based on Its Valuation Criteria in Terms of Conservation of Species and Habitat)

  • 나정화;류연수;사공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0-11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and various combination of each evaluation index and then to evaluate urban biotope in terms of conservation of species and habitat. After the standard of evaluation had been develop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ndex through expert survey was found out, and the evaluation model of biotope value has been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e have constructed the nineteen evaluation criteria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have provided relative importance to each evaluation index of the diversity of typical species in biotope, afforestation rate, stratification, Hemeroby grads, and the diversity of landscape patterns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 survey. and then we have constructed the evaluation system using the relative importance criteria. 2) To evluate urban biotope using the evaluation system constructed, we selected 14 sites. The final evaluation results of each site is as follows; The III grade areas are Seohan and Hwasung high-rise apartment at Beummul-Dong, Korea Men Power /Agency in Sungs 대 industrial zone, the adjacent area of St. Tongil, and Hyomyung elementary school. The II grade areas are the farm land behind the third Anshim Jugong apartment, and Ehyun park. The I grade areas are swampy land in front of Kangchon and Anshim construction site, water space with semi-natural style in front of Gangchon Woobang apartment, forest zone near page Temple at mt. Palgong, the edge area of Jisan and Gosan, and the tendril yard against Anshim middle school. The only grade IV area is the commercial zone near Taegu Department 3) It is highly useful to evaluate urban biotope using the evaluation criteria constructed for this research, the evaluation criteria we developed may be difficult to guarantee the ability for reproduction and recovery, the appearance-number of th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are difficult to estimate urban biotopes. In the future, it is highly useful to evaluate biotope in terms of conservation of species and habitat through its valuation criteria developed in this research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applicable to estimation of biotope inventory and reproduction of biotope.

  • PDF

포풀라류의 결정에 관한 연구(I) -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의 목부 및 수피종의 결정 (Study on the Crystals in the Populus spp.(I) - Crystals in the Woods and Barks of Populus maximowiczii and Populuss nigra × maximowiczii)

  • 이기영;김재경;김남훈;박완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17
    • /
    • 2000
  •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는 전형적인 다습심재(wetwood)로써, 심재 전체가 변재보다 높은 함수유를 나타냈다.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의 목부중에 존재하는 결정은 주로 심재중에서도 일부연룬을 따라 또는 착색얼룩을 따라 또는 국소에 집중하여, 수에 가까울수록 많았다. 또한 1연륜 내에서는 만재보다 조재에 많은 경향이 있었다. 심재에서의 결정은 전 종류의 세포에 존재하였으나, 대부분의 결정은 도관과 섬유상가도관에 존재하였다. 수피중에 있는 결정은 내수피에서 외수피까지 비교적 산재하여 존재했다. 양황철나무에서는 잎옹이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나 황철나무에서는 그 출현 빈도가 낮았다.

  • PDF

하남시 토지이용현황에 따른 겨울철 야생조류 서식유형 분석 연구 (Habitat Types of Wintering Season Wildbirds Depending on Land Use, Hanam)

  • 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1호
    • /
    • pp.1077-1086
    • /
    • 2006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habitat types of winter wildbirds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 of ecosystem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urban ecosystem in the future. The research area is Hanam City. Researches on land use types showed Hanam City had 79.1% of greenspace and openspace, but intensive urban development has been taking place in greenspace that is adjacent to urban districts. This has brought the problems of lack of greenspace in urban districts and damages to cultivated areas and grassland. A total of 61 and 8,642 populations of winter wildbird species were observed in research areas. Paradoxornis webbiann(16.91), Passer montanus(11.93), Pica pica(6.88) were dominant species. When they were divided according to habitat types, 20 species of interior species, 8 species of interior-edge generalist species, 12 species of edge species and 3 species of urban species were observed. When which land use type was mostly served as wildbirds habitats was examined, urban species(3 species and 290 populations) was a dominant species in urban districts while in greenspace and openspaece, water species(19species and 3,075 populations) including winter migratory birds was. Among greenspace and openspaece, edge species was dominant in forest while urban species was a dominant species in cultivated areas. This shows there is a need to improve diversity of wildbirds through restoration of cultivated areas in the central part of Hanam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