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Wetland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초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East Asian Alder (Alnus japonica) Forest Wetland of Heonilleung Royal Tombs

  • Cha, Du-Won;Lee, Seung-Joon;Oh, Choong-Hyeo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3호
    • /
    • pp.188-197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obtain fundamental data for demonstrating biodiversity of vegetation of East Asian alder (Alnus japonica) Forest Wetland of Heonilleung Royal Tombs. A total of 166 vascular plants (159 species, three subspecies, three varieties, and one cultivar) belonging to 132 genera and 59 families were found, accounting for 8.3% of 1,996 vascular plant species found in Seoul. Therophyte was the most common life-form of plants in Heonilleung Wetland. As for rare plant species, one Least Concern (LC) species was found. There were 15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species in the research area. Three of them belonged to floristic grades III and IV. This indicates that their habitats are discontinuous and isolated to some degree. Nineteen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were found, most of which were introduced from North America after the year 1964 with a spread rate of V (widespread, WS).

람사르협약의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전북 고창 운곡습지의 곤충상에 관한 연구 (Insect Fauna of Ungok Wetland in Gochang, Jeonbuk, Korea, Designated as a Wetland Protection Area at Ramsar Convention)

  • 김동언;김종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141-1152
    • /
    • 2013
  • Insect fauna were surveyed in 2011 at Ungok wetland, Obeygol, located in Gochang, Jeonbuk, Korea. In total, 149 species belonging to 11 orders and 57 families were surveyed. Among them, Lepidopterans composed 23.5% (35 species) of the total insect numbers surveyed, comprising the most abundant group, and followed by Coleoptera, Hemiptera, and Odonata with a composition of 22.1% (33 species), 17.4% (26 species), and 10.1% (15 species), respectively. Bothrogonia japonica Ishihar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nd followed by Gastrophysa atrocyanea Motschulsky and Celastrina argiolus (Linnaeus). Phytophagous insects accounted for 60 percent of the total species.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spring by 0.21. Diversity, richness, and evenness indices were the highest in summer by 4.07, 11.84 and 0.96, respectively. In the study area, the legally-protect species were grouped into five groups; 9 export-restricted species, 17 endemic species, 28 indicator species, 1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and 3 southern characteristic species. Additionally, twenty forest insect pest species were surveyed, belonging to 5 orders and 15 famil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duct long-term monitoring and appropriate management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habitats to continuously conserve and maintain of wetland.

우포 습지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 포자의 다양성 (Spore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Upo Wetland)

  • 고강문;박혁;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27
    • /
    • 2019
  • 우포 습지에 서식하는 식물의 근권 토양에서 수지상균근균(AMF) 포자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포자는 형태적 특성과 18S rDNA 염기서열의 분자적 분석을 이용해 동정하였다. 그 결과 6속 9종의 AMF 포자가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종 다양성 지수를 계산하여 분석한 결과 습지에서 AMF 포자의 종 다양성은 식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 미기록종 1종을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Diversispora epigaea이다. 미기록종 AMF 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분자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및 보전방안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plan of Vascular Plants in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Jeonnam Area)

  • 이종원;윤호근;강신호;안종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24-255
    • /
    • 2022
  • 본 연구는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1차 조사와 2차 조사에서의 관속식물상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량 산림습원의 향후 모니터링 체계구축과 효과적인 관리를 진행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지역을 4-5년 주기로 계절별로 2회 이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 32개소의 식물상 변화는 103과 311속 496종 16아종 38변종 6품종 556분류군에서 111과 362속 599종 16아종 51변종 8품종 674분류군으로 증가하였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12분류군에서 16분류군, 한반도 관속식물 적색목록은 18분류군에서 2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95분류군에서 123분류군, 한반도 석호식물은 286분류군에서 328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17분류군에서 26분류군으로 전체 식물상이 증가함에 따라 특기할만한 식물도 동시에 증가하였다. 하지만 느리미고사리, 나도고사리삼, 개쓴풀, 개박하 등은 지역적으로 절멸하여 현지 내외 복원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습지선호도에 따른 유형이 구분된 식물은 절대습지식물은 69분류군에서 78분류군, 임의습지식물은 63분류군에서 69분류군, 양생식물은 64분류군에서 82분류군, 임의육상식물은 85분류군에서 96분류군, 절대육상식물은 275분류군에서 34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습지식물류의 분포 비율은 약간 감소하고 육상식물의 분포 비율은 다소 증가하여 산림습원 육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조사기법 등을 개발되어야한다. 그리고 산림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감독해야 한다.

Implications of Mangrove Wetland in Socio-environmental Sector: Experiences from Southeast Coast of Chittagong, Bangladesh

  • Ullah, Md. Hadayet;Mondal, Md. Atiqul Islam;Uddin, Md. Riaz;Ferdous, Md. Azi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103-111
    • /
    • 2010
  • Wetlands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vital socio-ecological significance playing fundamental role in moderating monsoon tidal floods and coastal protection and generate goods and products such as fish and forest resources. The depletion of mangroves is a cause of serious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cern to many developing countries. Problems of sustainability of mangrove ecosystems are not only technical but also socio-economic. Functions played by mangrove wetlands are of fundamental importance for society.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llenges of the mangrove wetlands of Southeast coast of Chittagong, their uses and socio-economic influence on local people, and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and to suggest how to conserve this ecosystem in a more equitable way.

대구지역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Forested Wetland at Public and Private Forests in Daegu City)

  • 정혜란;김현지;최경;박광우;강동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69-84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 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존가치가 있는 산림습원의 발굴 및 보전, 향후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FGIS를 이용하여 예상 지점을 도출하고, 산림습원의 보호를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 산림습원으로 판별된 11개 지점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63과 131속 148종 2아종 14변종 5품종으로 총 169분류군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산림습원의 종다양도는 관목층에서 1.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균재도는 관목층에서 0.913로 가장 균일한 상태를 나타냈으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모두 0.3이하로 나타나 한 종이 우점하지 않고 층위별로 다수의 종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완충구역은 습지의 종류, 지형 등을 고려하여 핵심지역 경계부로부터 20~50m로 설정하였다.

도시 산림습지 내 양서류 서식처 조성방안 연구 (Planning for Amphibians Habitats in Urban Forest Wetlands, Korea)

  • 허명진;한봉호;곽정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19
    • /
    • 2017
  •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problems with amphibian habitation by the wetland types and improve their habitation environment in urban forest wetlands, thus creating a habitat for amphibians. Study site include forest swamps in Jatjul Park as well as Yeoji neighborhood Park in Guro-gu, and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in Dobong-gu. The forest swamp in Jatjul Park gets its water from Mt. Maebong and it is a former escalated farmland-turned wetland. The swamp area is $2,500m^2$, a forest zone and a landscape planting site are 83.27% and 6.70% each. Target species Seoul pond frogs are inseparable from rice fields because they live in a short radius of and lay eggs in or near paddy fields, and Rana nigromaculata have similarities with Rana plancyi chosenica in choosing their habitats. There was need for paths that would lead to other paths so amphibians would spread to other parts of the forest and for measures to secure open water. Modifying a variety of routes for water, human and animals along with building a buffer to keep the core habitation zones were required. The forest swamp in Yeonji neighborhood Park used to be a water reservoir on the foot of Mt. Gunji. The swamp area is $1,980m^2$, a forest zone and farmland account for 80.61% and 4.88% each. Non-point pollutants from upstream along run into the subject forest marsh, bare ground on the around swamp and steep stone embankments obstructed amphibians. Target species was Bufo gargarizans that live in forests and edges of hills and spawn in deep water. The forest swamp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gets its water from Mt. Choan and it is close to its water source that it is a mountain stream forest wetland. The basin and the swamp are $35,240m^2$ and $250m^2$ in size respectively. A forest zone accounts for 90.20%, high stone embankments laid in refurbishing the valley obstruct amphibians and there is water shortage in times of droughts. Target species were Rana coreana, Rana dybowskii and Hynobius leechii that live in mountain valleys, streams and wetlands and lay eggs in forest marshes and rocks in valleys. Looking into the three swamps of amphibian habitation, I came to conclusions that those wetlands were suitable for their amphibians but man-made facilities blocked their corridors leading to other corridors and even killed off target species in some parts of those swamps by destroying those parts. Amphibians live in water, on ground and underground at different stages of life. Hence, we should take this fact into consideration when planning their habitats and design core habitation zones, buffers zone and use zones accordingly. Buffer zones ought to be between core habitation zones and surrounding trees. Aiming at protecting core habitation zones, buffers should be in harmony with habitation zones. Use zones should be minimized in size and not in direct contact with core habitation zones.

한국의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인벤토리 구축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Wetlands Types and Inventory Establishment in Korea)

  • 이종원;안종빈;황태영;윤호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4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산림에 분포하는 습원을 대상으로 유형을 구분한 후 평가체계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자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수행되었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제 1차 전국 산림습원 조사를 통해 도출된 1,264개소와 추가로 발굴된 16개소 총 1,280개소의 산림습원 중 습원의 기능과 가치가 있는 455개소를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산림습원은 자연형, 묵논형, 인공형, 변형 등 4개 유형으로 구분되고, 이를 세부적으로 재분류하여, 총 11개의 세부적 습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식물 및 생태, 수문·수리, 인문사회, 교란정도 등 다양한 항목에 따라 평가한 후 등급화한 결과, 산림습원의 가치가 매우 높은 A 등급은 30개소, 비교적 높은 수준의 가치를 지닌 B등급 201개소, 보통 수준의 가치인 C등급 184개소, 낮은 수준의 가치인 D등급 40개소를 확인하였다. 평가에서 A 또는 B로 높은 등급을 받은 231개소에 대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과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을 지정하고, 또한 장기적인 모니터링 체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산림생물다양성의 핫스팟 지역인 산림습원을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보다 더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옥산(경북 봉화) 산림습원의 식물상 및 식생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Wetlands in Mt. Cheongok(Gyeongbuk Bonghwa))

  • 손호준;김영설;윤주웅;전근우;박완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13-320
    • /
    • 2014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와 소천면의 경계에 있는 청옥산 산림습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습원의 식물상 및 식생조사를 통해 생물종다양성을 확보하여 산림 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지에 분포하는 자원식물의 종류조성은 72과 167속 209종 2아종 27변종 5품종 총 243종류로 밝혀졌다. 한국특산식물은 7과 9속 9종 총 9종류가 출현하였으며, 희귀식물은 11과 13속 12종 3변종 총 15종류가 출현하였고, 귀화식물은 5과 8속 8종 총 8종류가 분포하였다. 습지출현빈도에 따른 구분은 절대육상식물이 184종(75.72%)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절대습지식물은 4종(4.65%)이 확인되었다. 습한 정도에 따른 구분은 습생식물이 26종류, 정수식물이 2종류 확인되었다. 생육지에 따른 구분은 숲이 136종류(55.9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개방지가 70종류(28.81%), 습한 개방지가 35종류(14.40%), 수중이 2종류(0.82%)가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식생구조를 중요치와 종다양성지수로 분석한 결과 목본식물 중에서는 물푸레나무의 중요치가 2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초본식물 중에서는 햇사초가 10.40%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 지역의 평균 종다양성지수는 2.507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생태적인 복원 및 복구을 위해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밀양시 재약산 산들늪의 식물상과 복원방안 (Flora and Restoration Plan of Sandeul Wetland in Mt. Jaeyak, Miryang-si, Korea)

  • 유주한;박경훈;정성관;김경태;이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31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ffer the basic data for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forest wetland by surveying systematically the vascular plants of Sandeul wetland in Mt. Jaeyak, Miryang-si, Gyeongsangnam-do, Korea. The vascular plants in this wetland were recorded as 232 taxa; 74 families, 178 genera, 200 species, 27 varieties and 5 forma. The major communities were Quercus mongolica, Tripterygium regelii, Alnus japonica, Molinia japonica, Salix gracilistyla and Stephanandra incisa. The numbers of plant species by routes were 168 taxa in A-route, 126 taxa in B and 132 taxa in C. The ecological problems in Sandeul wetland were the afforestation of Pinus koraiensis and P. thunbergii, the appearance of naturalized plants, the invasion of species and the scour of valley.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5 taxa; Salix hallaisanensis, Hepatica insularia; Chrysosplenium barbatum, Ajuga spectabilis and Weigela subsessili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3 taxa; Aristolochia manshuriensis, Chrysanthemum lineare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8 taxa; Rumex acetocella, R. crispus, Trifolium repens, Oenothera lamarckiana,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Helianthus tuberosus, Erigeron annuus and Phleuum prat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