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Variety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1초

사료용 옥수수 연구 -IV. 조사료용 CNU 육성 교잡종 옥수수의 수량관련 주요특성 (Study on Forage Maize Crop -IV.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CNU Maize Hybrids for Forage Crop)

  • 이희봉;정재영;김용일;박보영;지희정;문현귀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1호
    • /
    • pp.67-72
    • /
    • 2006
  • 국내에서 새로 육성된 사료용 옥수수 교잡종에 대한 수량 관련시험을 실시한 결과 CNU 교잡종의 생육 특성은 다른 교잡종보다 간장과 착수고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인 반면에, 종실 수량은 대조구인 광안옥에 비해 8%, 건물수량은 30%가 각각 증수되었으나 수원 169호보다 4%나 낮았다. 내재해성은 조명나방, 깨시무늬병에서 대조구와 비슷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CNU교잡종의 후기 녹체성은 수원에서 육성된 교잡종과 같이 대조구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ructure and action mechanism of humic substances for plant stimulations

  • Jeon, Jong-Rok;Yoon, Ho Young;Shin, Gyeong-Im;Jeong, Song Yi;Cha, Joon-Yung;Kim, Woe-Ye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75-179
    • /
    • 2018
  • Humic substances that can be obtained from coal resources such as leonardite in a bulk scale have been employed as crop stimulators and soil conditioners. The polymeric organics containing a variety of aromatic and aliphatic structures are known to activate plants in a multifunctional way, thus resulting in enhanced germination rate and abiotic stress resistance concomitant with induction of numerous genes and proteins. Although detailed structural-functional relationship of humic substances for plant stimulations has not been deciphered yet, cutting-edge analytical tools have unraveled critical features of humic architectures that could be linked to the action mechanisms of their plant stimulations. In this review article, we introduce key findings of humic structures and related biological functions that boost plant growth and abiotic stress resistance. Oxygen-based functional groups and plant hormone-like structures combined with labile and recalcitrant carbon backbones are believed to be critical moieties to induce plant stimulations. Some proteins such as HIGH-AFFINITY $K^+$ TRANSPORTER 1, phospholipase A2 and $H^+$-ATPase have been also recognized as key players that could be critically involved in humic substance-driven changes in plant physiology.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확기 결정을 위한 옥수수 낱알의 밀크라인 이용 (Using the kernel milk line for harvesting corn for silage)

  • 신정남;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3
    • /
    • 1994
  • We use a variety of methods to determine the optimum time for havesting corn for silage. In addition, adequate dry matter for silage must be considered along with maturity st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using the kernel milk line to determine when to harvest com for silage in 1992 on the Livestock Experimental F m , Keiymung Junior College at Keongsan, Keongsangbukdo. Four hybrids were field grown and com plants were harvested at various stages of kernel development so that kemel milk line movement could be analyzed whilc the corn was in the premature stages. As the plants approached maturity, the ears were collected from each of the hybrids and the position of the milk line wa5 noted. Then the whole plants were chopped and the content of DM was determined. The milk line was a readily identifiable feature of maturing com kemels. We focused on the five development \tage\. The fint was "soft dough". The second was "dent". The third wa, "75% milk". and the fourth wa5 "half milk". The half milk occurs when the milk line is positioned falf way down the kemel face. and the final stages win "no milk", milk disappearance as indicators of physiological maturity in maix. Milk free stage of the kemel occurred from I to 3 days prior to black layer having developed. The range for harvesting com for silage occurs a kemels mature from 75% milk to no milk. Position of milk line was easy to see. and can be used as a visible indicator to determine com matunty stage\ and whole plant dry matter. Whole plant dry matter increased with advancing maturity. averaged over hybrids it was 24.1, 25.6. 28.5. 34.6 and 39.0% at soft dough, dent, 75% milk. half milk and no milk. Milk line was more usehl indicator in monitoring corn maturity prior to physiological maturity.ing corn maturity prior to physiological maturity.

  • PDF

Effect of Nitrogen Levels and Harvest Intervals on Dry Matter Yield of Barnyard Millet

  • Lee, Bae Hun;Choi, Ki Choon;Yang, Seung Hak;Oh, Mirae;Park, Hyung S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76-182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ry matter productivity and nitrate nitrogen content in the growth stages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esculenta) cultivated for feed, which was treated with different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An early variety of barnyard millet (cv. Shirohie) was used for the test, and the different treatments with nitrogen fertilizer were as follows: 50% (N-40 kg/ha, T1), 100% (N-80 kg/ha, reference amount, T2), 150% (N-120 kg/ha, T3), 200% (N- 160 kg/ha, T4), 250% (N-200 kg/ha, T5), and 300% (N-240 kg/ha, T6). Sowing was done on May 13, 2021 and plants were harvested for four stage; vegetative stage, elongation stage, heading stage, and milk stage. The length of the mille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ation increased during the harvest period (p<0.05), but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during the milk stage (p>0.05). Moreover, barnyard millet dry matter yield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s of nitrogen fertilization increased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y matter yield among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during the heading stage (p>0.05). Chlorophyll als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5 (250%) at all harvesting times, whereas nitrate nitrogen content was highest at the vegetative stage, gradually decreased as growth progressed, and lowest at the milk stage. Finally, as the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increased, the nitrate nitroge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reatment groups (p<0.05).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appropriate nitrogen fertilizer levels is between 150%-200%, considering the dry matter yield, feed ingredients and nitrate nitrogen content in barnyard millet for feed.

Analysis of Changes in the Phytochemical Content of Tartary Buckwheat Flowers and Seeds during the Post-flowering Growth

  • Jun Young Ha;Hyeong-Hwan Lee;Dong Yeol Lee;Won Min Jeong;Dong Gyu Jeong;Hwan Hee Bae;Mi-Jin Chae;Jinseok Lee;Gun Ho Jung;Sang Gon Kim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8-147
    • /
    • 2023
  •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which is a traditional Korean crop, has been known as a health food due to its rich nutr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 in flavonoid content of flowers and seeds during post-flowering growth of Korean tartary buckwheat variety 'Hwanggeummiso',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and feed additive. Tartary buckwheat took 69 and 99 days from the sowing date to reach the flowering and maturity stage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lavonoid components of each part of tartary buckwheat, chlorogenic acid, rutin, and isoquercitrin of flowers increased from the flowering period on 22 May (0 days after flowering) to 42 days after flowering, while quercetin increased until 21 days after flowering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In seeds, chlorogenic acid, rutin, and isoquercitrin were most abundant at the time of seed-bearing on 14 days after flowering, and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thereafter. On the other hand, querceti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until 21 days after flowering and then decrease. Overall, the flavonoid content was higher in flowers than in seeds, with rutin being particularly prominent. Based on this, the possibility as food materials and feed additives was confirmed using buckwheat produced in Korea.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Vetch류 품종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Vetch Cultivars on Paddy Field)

  • 김원호;서성;김맹중;신재순;전병수;정민웅;안병석;윤봉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5-160
    • /
    • 2007
  •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벳치류를 나주지역과 천안지방에서 재배하여 수량 및 생육특성 조사를 통하여 월동성이 높은 품종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6까지 축산과학원과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주지역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Sander2 품종이 5월 20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함량은 21.7%로 낮게 나타났다. 벳치류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Oregon com. 품종의 건물 수량이 5,406 kg/ha로 가장 높았으며 Ostsaat 품종은 4,882 kg/ha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두 번째 천안지역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Sander2 품종이 5월 25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함량은 16.9%로 낮게 나타났다. 벳치류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Welta과 Ostsaat 품종의 건물 수량이 각각 2,173 kg/ha과 1,883 kg/ha로 높았으며 VV4712 품종은 1,079 kg/ha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그리고 나주지역과 천안지역에서 재배되었던 벳치류의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1.5%를 나타내었으며 Sander2 품종이 14.4%로 높았고 자운영의 경우는 19.30%로 가장 높았다.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평균 26.8%, 42.2% 그리고 67.8% 이었다. 따라서 벳치류 도입은 월동성에 따른 생산성의 차이가 많아 우선적으로 월동성이 고려된 후에 벳치류의 도입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부지역에서 국내육성 목초 오차드그라스 '코디원' 및 톨 페스큐 '푸르미' 이용 초지조성 혼파조합별 사초생산성 및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Pasture Using Domestic Varieties Orchardgrass 'Kodione' and Tall fescue 'Purumi'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 황태영;지희정;김기용;이상훈;이기원;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9-97
    • /
    • 2016
  • 본 연구는 중부지역에서 국내육성 신품종 이용 초지조성시 혼파조합별 사초 생산성 및 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할 목적으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에 걸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혼파조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리 A는 도입종 OG 위주의 혼파조합, 처리 B는 OG 위주의 혼파조합, 처리 C는 OG와 TF 위주의 혼파조합, 처리 D는 TF 위주의 혼파조합, 처리 E 는 OG가 없는 TF 위주의 혼파조합이며, 처리 F는 OG 단파, 처리 G는 TF 단파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도입종 OG 위주의 혼파조합 처리 A는 2015년 마지막 4차 예취시 OG의 식생구성비율이 7.1%, TF 47.9%, KBG 15.2% 및 WC 25.0%로 나타났으며, 국내 육성 품종을 이용한 OG 위주 혼파조합 처리 B의 마지막 식생구성비율은 OG 25.9%, TF 47.0%, KGB 4.9% 및 WC 18.3%로 나타났다. 그 결과 처리 A의 초지식생구성이 2014년부터 2015년까지 2년에 걸쳐 다른 처리에 비해 많이 변화하였다. 수량성은 국내육성 품종을 이용한 OG가 없는 TF 위주 혼파조합의 평균 건물수량 18,369 kg/ha로 높게 나타났지만 처리 A를 제외하고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조단백질 함량과 건물소화율은 도입종을 이용한 OG 위주의 혼파조합 처리 A가 다른 처리 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났고(각각 14.5% 및 74.8%), OG가 없는 TF 위주 혼파조합 처리 E도 높게 나타났다(각각 14.1% 및 73.0%). NDF 및 ADF 함량은 대체적으로 처리 E 및 A에서 다른 혼파조합 및 단파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처리 E의 TDN 함량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수량성, 사료품질 및 초지식생을 고려하여 혼파조합을 선발한다면 국내 육성 톨 페스큐 품종 푸르미를 이용한 TF 위주의 혼파조합으로 초지를 조성하는 것이 여름철 고온다습과 동절기 혹한기와 같은 기상조건에서 유리하지만 가축의 기호성을 고려하여 혼파조합을 선발해야 하겠다.

조생 다수성 조사료용 4배체 호밀 '대곡그린' (An Early-Maturing and High-Biomass Tetraploid Rye (Secale cereale L.) Variety 'Daegokgreen' for Forage Use)

  • 구자환;한옥규;오영진;박태일;김대욱;김병주;박명렬;라경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09-215
    • /
    • 2020
  •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조사료용 4배체 호밀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0년에 백체가 출현한 곡우호밀 최아종자와 2엽기에 도달한 유식물체에 콜히친을 처리하여 4배체로 검정된 계통 중 초형, 숙기 및 수량성 등에서 우수한 'CG11003-8-B'을 3년에 걸쳐 선발하였다. 2013년에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조숙성이고 조사료 생산성이 높아 '호밀59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14년부터 3년간 전국 4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성을 검정한 결과 조사료 수량 뿐만 아니라 내도복 등 내재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2016년 직무육성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되어 '대곡그린'으로 명명되었다. 출수가 완료된 시기의 '대곡그린'의 초형은 직립이고, 엽색은 진녹색이며, 잎 길이는 길고, 엽폭은 넓은 편이다. 성숙한 시기의 줄기는 황갈색으로 중간 정도의 굵기이며, 종실은 연갈색이고, 크기가 대립이다. '대곡그린'의 출수기는 4월 17일로 표준품종인 '곡우' 보다 2일 늦다. 출수 후 10일경 초장은 138cm로 '곡우'와 비슷하였다. 내한성은 '곡우'와 같은 수준이며, 도복은 '곡우' 보다 강하였고 습해와 병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대곡그린'의 생초수량은 ha당 37.0톤(곡우 38.4톤), 건물수량은 평균 7.7톤(곡우 8.0톤)으로 '곡우' 보다 약간 적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대곡그린'의 조단백질 함량은 8.9%로서 '곡우' 보다 1.0%포인트 높았으며, TDN은 56.9%로 '곡우'(57.1%)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Meadow fescue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 I. 영양생장기에 있어서의 형질과 건물수량과의 관계 (Studies on Productivity in Meadow Fescue ( Festuca Pratensis Huds. ) I.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bical characters and dry metter yield at Vegetative Growth stage)

  • 정충섭;이주삼;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17
    • /
    • 1983
  •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의 형태적(形態的)과 건물수량(乾物收量)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하여 수량(收量)에 관여(關與)되는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과 품종(品種)의 특성(特性)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개체중(건물중(乾物重))은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및 경면적(莖面積)과 유의(有意)한 정상관(正相關)을 나타내어, 개체중의 증가(增加)는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경면적(莖面積)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이라고 할 수 있다. 2. 경면적(莖面積)은 건물중(乾物重)을 증가(增加)시키는 중요(重要)한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의 하나라고 생각되었다. 3. 초형지수(草型指數)에 의하여 품종(品種)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경중형(莖重型)에는 M이 중간형(中間型)에는 Leto, First, Trader, 경수형(莖數型)에는 Bundy, Tammisto가 속(屬)하였다. 4. 경중형(莖重型) 품종(品種)은 초장(草長)이 낮고, 경수(莖數)가 적으나 경건(莖巾)이 두껍고 1 경중(莖重)이 무거웠으며, 경수형(莖數型) 품종(品種)은 초장(草長)이 크고 경수(莖數)는 많으나 1 경중(莖重)이 가벼운 특징(特徵)을 나타 내었다. 5. 경중형(莖重型) 품종(品種)(M)이 다수(多收)를 얻기 위해서는 경수(莖數)를 증가(增加)시키고 초장(草長)을 높게 하는 조건(條件)이 필요(必要)하다고 생각되었다.

  • PDF

보리 품종간 혼파 비율에 따른 수량과 사료적 가치 (Effect of Mixed Seeding Types and Ratios of Whole Crop Barley for High Yield and Feed Value)

  • 송태화;박태일;오영진;한옥규;박형호;현종내;권영업;김경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58-463
    • /
    • 2015
  • 사료용으로 개발된 청보리 품종들은 일반 곡실용 보리품종에 비해 조사료 생산량이 30%이상 증수하고 가축선호성이 우수한 품종이다. 이러한 사료용 전용품종을 이용하여 품종이 가지고 있는 생육특성별 단점을 보완한 품종간 혼파 재배기술의 개발을 통한 군락공간의 최대 활용 및 영양가치 등을 고려한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최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양보리는 직립초형이고 다수성이며, 유연보리는 삼차망이면서 키가 크고, 다미보리는 무엽이 특성이 있고, 우호보리는 포복형이면서 키가 크고 매끈망을 지니고 있다. 소만보리는 숙기가 빠르고, 분얼이 많은 특성이 있다. 2조보리인 호품보리는 청보리에 비해 등숙이 빠르고 분얼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품종을 이용하여 청보리 최적 혼파 조합을 선발하고자 시험조사한 결과, 영양50+호품50 조합, 유연70+호품30 조합, 다미50+호품50 조합이 가장 좋았고, 이 중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인 조합은 유연70+호품30 조합이었다. 품질특성면에서는 조단백함량이 높고, NDF와 ADF 수치가 낮고, TDN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로 인정받는데 품종간의 조합 중 유연보리와 호품보리, 다미보리와 호품보리 조합이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