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NDF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5초

Mechanical and Chemical Conditioning Effect on Field Drying Rate and Quality of Grass Hay

  • Seo, S.;Chung, E.S.;Kim, J.G.;Kang, W.S.;Kim, W.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8호
    • /
    • pp.1109-1112
    • /
    • 2000
  •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echanical and chemical conditioning at mowing on field drying rate and quality of grass hay in 1996. Mower conditioner and/or chemical drying agent $(K_2CO_3)$ were used at different harvest stages (late boot, heading and bloom stages) for hastening hay-making. After field drying, square bales were made by hay baler, and the visual estimation and nutritive value of hay were evaluated after storing two months. In mower conditioning, the duration of field drying was shortened by 0.5 to 1 day compared with drying agent, and by 1 to 2 days compared with control. The drying matter loss of hay was reduced by late harvest and mechanical conditioning. The visual score (leafiness, green color, odor and softness),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llity (IVDM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hay were improved with mechanical conditioning, but chemical alone had little effect on quality. The quality of hay harvested at bloom stage was much lower than that of hay harvested at late boot and heading stage. In conclusion, mower conditioning can enhance the field drying rate of grass hay, however the drying efficiency of chemical drying agent is very low. Also the effects of chemical/mechanical combined conditioning are very similar compared with mechanical conditioning alone. Harvesting at late boot to heading stage is recommended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hay.

Effects of Bacterial Inoculants and Cutting Height on Fermentation Quality of Barley Silage

  • Lee, Hyuk Jun;Kim, Dong Hyeon;Amanullah, Sadar M.;Kim, Sam Churl;Song, Young Min;Kim, Hoi Y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3-16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terial inoculation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utting heigh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in whole crop barley silage. Barley forage (Youngyang hybrid) was harvested at about 27% of dry matter (DM) level at two different cutting height (5 vs. 15 cm). And it was chopped to 5 cm length and treated with or without L. plantarum. Four replicates of each treatment were ensiled into 10 L mini silo (3 kg) for 100 days. After 100 days, bacterial inoculation decreased (p=0.001) DM content, while increased cutting height increased (p=0.002) DM in uninoculated silage. Crude protein (CP)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y increasing height in uninoculated silage (8.84 vs. 8.16) but increased in inoculated silage (8.19 vs. 8.99). Both neutral detergent fiber (NDF) (p<0.011)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p<0.004)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cutting height of forage at harvest. The IVDMD and ammonia-N was increased (p=0.001) by increasing cutting height and inoculation, respectively. Lactic acid bacteria (LAB) was increased (p=0.002) in inoculated silage, but yeast count was decreased (p=0.026) in uninoculated silages. It is concluded that increased cutting height of forage at harvest could be useful to make a fibrous portion with increase of dry matter digestibility of silages.

재식밀도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Density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Corn)

  • 김종근;정의수;서성;강우성;양종성;조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9-54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plant density on yield and quality of corn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grassland and forage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Suwon eom 1996 to 1997. The two corn hybrids, P 3352 and G 4743, were grow at plant density of 67,000; 71,000; 83,000 ; 89,000 and 95,000 plantha in 60,70 and 75-an spaced rows. At the low density, plant and ear height were decreased but ear length and weight were increased. Plant density had little effect on the tasseling date, silking date and ear ratio to total dry matter.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two hybrids was increased kom 15,294 to 18,996 in P 3352 hybrid and 15,881 to 21,386kglha in G 4743, respectively, by decreasing plant density. Plant density had little effect on the ADF(acid detergent fiber),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CP(crude protein) concentrations, but the quality of late maturity hybrid, G 4743, was higher than that of early maturity hybrid, P 3352.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67,000 plantlha plant density was recommendable for machanization and maximum DM yield of corn.

  • PDF

가을파종시기가 사초용 연맥의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all Sown Oats)

  • 김종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5-202
    • /
    • 199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t'ects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all sown cats(Avena sativa 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in 1990.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resent data indicated that plant and ear heights were decreased as the seeding date was delayed. Dry matter accumulation was increased due to the higher plant and ear heights. 1. When oats was seeded on August 20. the first heading and 50% heading dates were recorded on October 4 and 15, respectively. And when oats was seeded on August 25. the first heading and 5 0'!4 heading dates were observed on October 13 and 18. respectively. As seeding date was delayed for one day. the heading date was delayed for two days. 3. The dry mattcr percentage of oats seeded on August 20 was 20.1%, but that of oats seeded after August 10 was 15.1 to 16.7%. 4.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CP. ADF and NDF, oats seeded on August 20 and 25 was evaluated to be the 3rd or 4th grade hay. and the other oats sceded after August 15 was recorded the 2nd or 3rd grade hay as proposed by AFGC. 5. There are no significant dry matter yield differences among the seeding dates of oats such as August 20, 25 and 30. but a significant yield difference was recorded between oats seeded in August and September. The same trend as the dry matter yield was observed in in vitro digestible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yields of oats seeded in August and September. According to the results. early seeding of early matuaring oats may be a better option than late seeding after August 30 for silage or hay production following silage corn harvest in the middle northern area of Korea.

  • PDF

파종량 및 질소시비수준이 봄 연맥의 생육특성 , 사료가치 및 사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Agronomic Charicteristics , Nutritive Value and Forage Yield of Spring Oat)

  • 한건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6
    • /
    • 1992
  • 본 시험은 봄 연맥(Avena sativa L.)에 대한 파종량및 질소시비수준이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사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987년 9월부터 11월 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솔은 파종량이 ha당 120,160 및 200kg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93.4, 71.4 및 70.6%로 낮아졌다(P<0.01) 2. 분벽솔 발생은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여 유의적인 감소가인정되어(P<0.05), ha당 파종량 120kg, 질소시비수준 200kg인 구가 3.3개로 가장많았던 반면 파종량이 200dkg으로 높아지면 2.1개로 낮아졌다.3. 엽폭은 파종량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엽폭은 감소하였으며 (P<0.05), 엽신장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해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파종량이 낮을수록 엽신장은 약간 증가되는 경향만을 나타내었다. 4. 초장은 질소시비수준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서는 유의성을 나타내어(P<0.05), 파종량이 높아질수록 초장은 깅어졌다.5.파종량이 낮고 질소시비량이높은 시험구가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질소시비효과가 커서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200kg으로 높아짐에 따라 19.3,20.2,및 21.4%로 조단백질 함량이 높아졌다. ADF와 NDF는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함량의 변화가 없었지만 MDF함량에서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한 상호작용만이 인정되었다. In vitro 건물소화솔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만을 나타냈다.6. 파종량이 120,160, 및 200kg/ha로 증가되면 건물수량도 ha당 3,197,3.583 및 3.713kg로 증가되었으나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건물수량 증가는 그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7. 조단백질수량은질소시비수준 증가에 의해서만 고도의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어(P<0.01),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및 200kg일때 증가되었다.8. In virto 가상화건물수량은 파종량이나 질소시비량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청예리용을 위한 봄 연맥의 파종량은 연맥의 가을철 청예로서의 이용적 측면을 고려해 볼 때 ha 200kg 정도로 높여주고 질소시비수준은 ha당 100kg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컨디셔닝 및 반전이 톨 페스큐 건초의 건조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ditioner Types and Tedding Times on Drying Rate of on Tall Fescue Hay)

  • 김지혜;최기춘;김현섭;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8-302
    • /
    • 2016
  • 본 연구는 2013년 5월 22일~24일 3일에 걸쳐 톨 페스큐엔도파이트 프리 품종인 Jesup을 공시하여 톨 페스큐 위주의 목초지에서 수행되었다. 시험기간 평균 온도는 $20.7^{\circ}C$였고 상대습도는 3일평균 64.8%였다. 일조시간은 3일평균 9.27시간으로 건초를 조제하기에 알맞은 기상조건이었다. 컨디셔너별 처리 (임펠러, 로울러)와 무처리로 3가지 처리를 비교하였고, 반전횟수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임펠러 컨디셔너로 예취한 후 1일 1회 반전, 1일 2회 반전 두 처리를 두었다. 임펠러와 로울러의 수분함량 변화는 둘째날 5월 23일 13시 임펠러 37.30%, 로울러 33.64%였고 무처리구는 51.75%로 컨디셔닝 처리한 두 구와 차이가 컸다. 24일 13시 측정된 수분함량은 임펠러 20.32%, 로울러 19.37%로 20% 전후를 보였고, 무처리구는 28.84%로 약 8~9%의 차이를 보였다. 반전횟수 차이를 보는 실험에서는 23일 13시 1회반전 37.53%, 2회 반전 35.23%였고 24일 13시 1회 반전시 20.48%, 2회 반전시 16.74%로 나타났다. 건초 사료가치 분석 시 컨디셔너별 CP 함량은 무처리 12.5% 임펠러 12.7% 로울러 12.9% 나타났고, ADF는 무처리 37.2%, 임펠러 37.2%, 로울러 35.1%로 나타나 NDF, TDN, RFV 모두 차이는 없었다. 1회 반전시 CP 함량은 12.7%, 2회 반전 12.8%였고 반전횟수에 따른 사료가치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파종량, 유기질 비료 시용량 및 수확시기에 따른 케나프의 수량 및 사료가치 (Effects of Seeding and Organic Fertilizer Rates and Harvest time on Kenaf Yield and Feed Value)

  • 남철환;김기수;박만호;김원호;지희정;최기춘;선상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1-98
    • /
    • 2018
  • 본 시험은 여름철 논에서 사료용 케나프의 파종량, 유기질 비료 시용량 및 수확시기 등 적정 재배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2014년에 전남 강진 지역 논에서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파종량이 ha당 10, 15, 20 kg 등 3수준 및 수확 시기가 파종 후 60일, 75일, 90일 등 3수준과 동일한 파종량에 유기질 비료 시용량이 20톤, 30톤 등 2수준으로 하였고, 시험구는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하였다. 케나프의 파종량을 ha당 10 kg에서 20 kg까지 늘림에 따라 초장이 커지고, 수량이 증가되었다. 파종량과 관계없이 수확 시기가 60일에서 90일까지 늦춰질수록 계속 성장하여 초장은 10.1~26.0% 수량은 18.8~30.0% 증가되었고, 파종 후 75일에서 90일 사이 증가 폭이 62.3~68.9%로 가장 컸다. 그러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과 TDN 값은 감소되고, ADF와 NDF는 증가되어 사료가 치가 감소되었다. 유기질 비료를 ha당 20톤에서 30톤으로 증가하여 시비함에 따라 평균 15.3% 수량이 증가되었다. 결과적으로 케나프 재배시 ha당 가축분퇴비 30톤을 시비하고, 종자 20 kg를 파종하며, 생육 90일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높은 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논에서 적응 우수 Crimson Clover 품종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Crimson Clover Cultivar in Paddy Field)

  • 김원호;서성;임영철;최기준;김기용;이종경;윤봉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1-154
    • /
    • 2007
  •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crimson clover를 나주지역에서 재배시 월동성과 수량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0까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된 4 품종중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말랐으며 Linkarus 품종이 5월 5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 함량은 24.3%로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4.9%를 나타내었으며 Oregon com.이 18.3%로 높았고 자운영의 경우는 19.3%로 가장 높았다.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평균 38.1, 48.3 그리고 58.9%이었다. Crimson clover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Linkarus 품종의 건물 수량이 6,986\;kg/ha로 가장 높았으며 Tibbee 및 Oregon com. 품종은 각각 3,639 및 1,980 kg/ha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용 Crimson clover 품종은 Linkarus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년초지에서 돈분뇨의 시용형태가 목초생산, 토양성분 및 용탈수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wine Manure on The Production of Forage, Soil Properties,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ching Water in Mixed Grassland)

  • 최기춘;육완방;윤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1-34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돈분뇨의 처리형태가 초지의 생산성,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 및 양분의 용탈량을 조사하여 친환경적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축산 진흥연구소내의 초지시험포의 영년초지에서 2002년 10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돈분뇨의 처리형태별로 화학비료 표준구, 돈분액비 100%+N 50%구 및 돈분퇴비 100%+N 50%구로 배치하여 수행하였다. 돈분액비 및 돈분퇴비의 시용에 따른 건물수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조단백질, NDF, ADF 및 TDN 함량은 돈분액비 및 돈분퇴비, 화학비료구간에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리별 토양성분 변화는 돈분퇴비 및 돈분액비구에서 화학비료구보다 유기물, 유효인산 함량, Ca 함량 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영년초지에서 화학비료, 돈분액비 및 돈분퇴비의 시용에 의한 용탈수중 $NO_3$-N 및 $NH_4$-N의 농도는 돈분뇨와 화학비료 시용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으며 $NO_3$-N 및 $NH_4$-N 용탈량은 5 ppm 미만으로 변이가 크지 않았다.

직파재배시 파종량이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Rates on the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 김종근;박형수;김지혜;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34-239
    • /
    • 2014
  •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 직파 재배시 파종량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종한 녹양벼를 이용하여 4개의 파종량을 두고(30, 60, 90 및 120 kg/ha) 수행하였다. 출현일, 출수기, 녹색도 및 내병성은 파종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장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커졌으며(p<0.05) 분얼수는 줄어들었다. 건물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ADF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높아졌고 NDF 함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TDN 함량은 120 kg/ha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잎-줄기-정조 비율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정조비율은 줄어들었으며 잎의 비율은 약간 높아졌고 줄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경제성 분석결과 60 kg/ha 파종구에서 가장 높은 소득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직파재배를 위한 적정 파종량은 60kg/ha 내외가 적당한 것으로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