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NDF

검색결과 562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ALKALINE HYDROGEN PEROXIDE TREATMENT OF RICE STRAW ON IN SACCO RUMINAL DIGESTIBILITY

  • Myung, K.H.;Kennelly, J.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1호
    • /
    • pp.1-6
    • /
    • 1990
  •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pH-regulated alkaline hydrogen peroxide (AHP) treatment of rice straw with those of sodium hydroxide (NaOH) and anhydrous ammonia ($NH_3$) treatments on in sacco digestivility. Three non-lactating ruminally cannulated Holstein cows were fed a diet containing 90% forage and 10% concentrate on a dry matter (DM) basis. The AHP treatment significantly (p<0.05) reduced acid detergent lignin content of the straw, resulting in significant (p<0.05) increase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cellulose concentrations. Disappearance rates of DM and NDF of the straw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t the incubation time of 24 h. On the other hand, those of ADF and cellulos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at the incubation time of 12 h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effective degradability of DM(EDDM), NDF(EDNDF), ADF(EDADF) and cellulose (EDCE) were determined using in sacco nylon bag technique on the basis of 0.05/h solid outflow rate. The greater differences (p<0.05) of EDDM, EDNDF, EDADF and EDCE were found between AHP treated straw and the others. In general, AHP treatment of the straw recorded higher digestion coefficients than untreated straw as well as NaOH and $NH_3$ treated straw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HP treatment can be used as a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for ruminants.

볏짚사일리지 제조를 위한 유기감귤 첨가효과 (Effects of Supplementing Organic Citrus in Making Rice Straw Silage)

  • 안종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9-318
    • /
    • 2007
  •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organic citrus on the quality of rice straw silag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rice straw silage using agricultural by-products and therefore to secure the good quality forage sources. Firstly, looking at chemical composition of citrus added rice straw silage, crude protein content appeared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citrus to rice straw silage compared to control while NDF and ADF contents decreased. pH of the silages were different between control(4.39) and treatments$(3.47\sim3.53)$. Lact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citrus added silage(4.87mM) than in control (3.65mM). External quality of the silages was also better in citrus added silage when citrus added at the equal ratio with rice straw(1 : 1). This trend was the same as with pH and lactic acid content. Propion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itrus addd silage but butyrate was significantly lower. DM and NDF disappearance rates in the rumen were highest when citrus added at the equal ratio with rice straw(1:1).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citrus to rice straw silage with equal ratio contributed the best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ilage and it may have been due mainly to abundant content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 in citrus.

  • PDF

대전지역 추파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Autumn Sown Forage Crops in Daejeon Area)

  • 이형석;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9-256
    • /
    • 2006
  • 본 시험은 2002년 9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옥수수 후작물로 적합한 추파용 사료작물의 재배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시험하였다. 공시초종으로 청예용 호밀(Koolgrazer), 보리(Daeyeon Bori) 및 밀(Geumgang Mill)을 주구로 배치하였으며, 수잉기,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세구로 하여 분할구배치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2년 평균 ha당 건물수량은 호밀이 11,283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밀(10,759kg)과 보리(10,494kg) 순으로 나타났다(p<0.01). 건물수량은 모든 초종에서 수확시기가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양상이 뚜렷하였다.(p<0.01). CP 함량은 초종간에 차이를 보여 청예용 밀이 13.9%으로 보리(13.7%)나 호밀(12.2%)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1). NDF, cellulose 및 lignin과 같은 섬유소 물질의 함량은 호밀이 높은 반면에 보리가 가장 낮았으며, 밀은 중간으로 나타내었다(p<0.01). CPDM수량은 밀이 호밀이나 보리보다 높았다(p<0.01). 건물소화율(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은 보리가 77.0%으로 밀(76.1%)이나 호밀(70.2%)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p<0.01), DDM수량은 밀이 호밀이나 보리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1). 그러나, 대전지역에서 추파용 보리나 밀은 유숙기나 황숙기 때의 건물수량과 품질은 높은 편이었지만 수확시기가 상당히 늦어 옥수수의 후작물로 재배하기에는 어려움이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대전지역 적합한 추파용 사료작물은 지금과 같이 청예용 호밀을 수잉기-출수기에 수확하여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전지역에서 추파용 보리나 밀의 이용은 조숙 다수확품종의 보급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액상분뇨의 종류 및 N 시용량이 연맥의 사초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Forage Yield and Quality of Oats as Affected by Different Types and N Rates of Liquid Manure)

  • 신동은;김동암;최기준;김원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1-126
    • /
    • 1999
  • 가축분 관리는 현재 낙농 및 양돈농가의 중요 관심사로, 본 연구는 액상분뇨의 N 함량을 기준으로 시용수준을 달리하여 시용했을 때 사초용 연맥(Avena sativa L.)의 사초수량 및 품질을 구명하고자 7처리(화학비료표준구 $120kg\;N\;ha^{-1}$, 소 액상분뇨구 120, 240, $360kg\;N\;ha^{-1}$ 돼지 액상분뇨구 120, 240, $360kg\;N\;ha^{-1}$)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1997년 수원에서 수행하였다. 액상분뇨의 시용수준이 중가될 수록 사초용 연맥의 초장은 높았으나, 건물 함량은 떨어졌다. 사초용 연맥의 건물 수량은 액상분뇨의 시용수준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14.7에서 24.1% 였으며(P<0.05), 조단백질 수량은 돼지액상분뇨 $360kg\;N\;ha^{-1}$ 구>소 액상분뇨 $360kg\;N\;ha^{-1}$구>돼지 액상분뇨 $240kg\;N\;ha^{-1}$구 순이었다(P<0.05). ADF 함량은 소 액상분뇨구가 돼지 액상분뇨구에 비해 약간 높았고(P<0.05), NDF 함량은 소 액상분뇨구가 돼지 액상분뇨구에 비해 낮았다(P<0.05). 소 액상분뇨구의 상대사료가치(RFV)는 돼지 액상분뇨구와 비교하여 액상분뇨의 시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액상분뇨의 N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사초수량도 증가된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중부지방에서 일년생 콩과목초의 사초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Forage Production of Annual Legume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 김종덕;권찬호;김수곤;박형수;고한종;김동암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17-624
    • /
    • 2002
  • 일년생 콩과목초는 가축에게 단백질 원료와 토양에 질소 비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품종의 선택과 관리기술은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시험은 콩과목초의 우량품종을 선발하고 조사료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1년간 (1999${\sim}$2000) 2지역인 경기 수원과 충남 성환에서 수행하였다. 일년생 콩과목초의 유식물 활력과 내도복성은 모든 품종에서 8점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원동률에서는 crimson clover와 rose clover는 월동을 하였으나, persian clover의 ‘Lazer; 및 'Nitro' 품종은 각각 35.9%, 및 9.1%로 거의 월동이 되지 않았다. Crimson clover의 ’Tibbee' 및 'Contea' 품종은 각각 5월 4일과 6일에 개화하였으며, rose clover의 ‘Bolta balansa’ 품종은 4월 29일에 개화하였다. 콩과목초의 ha당 건물수량은 crimson clover의 ‘Contea' 품종이 4,218kg/ha로 공시품종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crimson clover의 ’Tibbee' 품종과 rose clover의 ‘Bolta balansa' 품종이 각각 3,874 및 3,828kg/ha로 높은 수량을 보였다. ADF 및 NDF 함량으로 계산한 상대사료가치는 공시품종 모두가 125 이상으로 높은 품질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crimson clover와 rose clover는 월동률이 높고 건물수량이 많아 중부지방에서 일년생 콩과목초로 권장할 수 있으나, persian clover는 월동률이 낮아 중부지방에서 일년생 콩과목초로 이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Intake, Digestibility In vivo, N Utilization and In sacco Dry Matter Degradability of Grass Silage Harvested at Three Stages of Maturity

  • Vranic, Marina;Knezevic, Mladen;Perculija, Goran;Bosnjak, Kresimir;Leto, Josi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225-231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study the effects of grass maturity at harvest on the nutritive value of grass silage (GS) in relation to voluntary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N) utilization and in sacco dry matter (DM) degradability. Silage was cut from a sward dominated by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at the late-vegetative (early-cut), internode elongation (mediumcut) and flowering (late-cut) stages of growth. The DM yield at harvest was the lowest for early-cut silage (5.4 t/ha) and increased to 6.5 and 7.0 t/ha for the medium and late-cut silage respectively. As the crop matured, the crude protein (CP)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acid detergent fiber (ADF) concentration (p<0.001). The three different silages were offered to four 18-month old Charolais wether sheep to measure the voluntary intake, in vivo digestibility and N retention over four 21-day periods in an incomplete changeover design. Silage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using four fistulated sheep to measure DM degradability over 3, 6, 12, 24, 48 and 72 h. There was a linear decrease in the voluntary intake of silage fresh matter, DM, organic matter (OM)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digestibility of DM, OM, NDF, ADF and CP, and digestibility of OM in DM (Dvalue) ($P_L<0.01$) as harvesting of grass was delayed. Nitrogen intake, N output in urine, N output in faeces and N balance also linearly decreased ($P_L<0.01$) with postponed harvesting of grass for silage. DM degradability and effective degradability (E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maturity of grass at harvest. The results suggest that harvesting dat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utritive value of GS in terms of intake, digestibility, N balance and in sacco degradability in the rumen. It was concluded that early harvest GS ensured higher intake, digestibility, N intake and DM degrad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medium and the late cut GS as a result of improved rumen N efficiency and utilization probably due to a better balance of available energy and protein.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헤일리지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of Haylage of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송태화;박태일;한옥규;김기종;박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9-428
    • /
    • 2012
  • 이 연구는 동계 사료맥류를 활용하여 건초대용 양질 헤일리지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맥종별 수확시기, 적정 건조시간 및 헤일리지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단백질과 NDF, ADF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헤일리지 조제를 위한 건조시간은 청보리, 귀리, 트리티케일, 총체밀 모두 유숙기에는 수분함량이 높음과 동시에 기상온도도 높지 않으므로 32시간 이상 예건이 필요하고, 황숙기에는 8~24시간 정도 예건이 필요하며, 완숙기에는 예건이 필요 없었다. 호밀은 출수 후 10일에는 32시간 이상, 출수 후 20일, 30일에서는 24시간 이상 예건이 필요하였다. 헤일리지 발효품질에서 pH는 모든 맥종에서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젖산함량은 유숙기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p<0.05). 초산도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낙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료맥류로 헤일리지 조제 시 단백질함량이나 발효품질 면에서는 수확이 빠를수록 유리하지만 우리나라 기상조건으로 볼 때 예건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호밀은 청예나 사일리지로 이용을 하고 청보리와 귀리, 트리티케일, 총체밀은 황숙기에 수확하여 8~24시간 정도 예건하면 헤일리지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차광정도가 혼파초지의 생산량, 품질 및 식생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Degrees on Grass Production, Forage Qual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Grass-Clover Mixtures)

  • 김병완;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5-252
    • /
    • 2009
  • 최근들어, 친환경 축산이 중요하게 대두대면서 Silvopastrol system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오고 있다. 초지가 나무와 공존하기 위해선 비음에 강한 목초육종과 혼파조합을 선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준 고랭지 지역에서 차광정도에 따른 목초 혼파조합의 식생변화를 살펴보고 생산량과 품질을 조사하여 비음조건에 가장 적합한 목초의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차광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모든 혼파조합의 목초수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차광수준이 50와 75%에선 급격히 감소하였다. 혼파초지의 조단백질 함량은 차광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같은 차광수준에서 혼파조합의 조단백질 차이는 관측되지 않았다. NDF 및 ADF 함량은 무차광에 비해 차광구에서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차광수준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비음도가 높아짐에 따라 1번 혼파조합 (orchardgass+tall fescue+Kentucky bluegrass+ladino clover+perennial ryegass+timothy)이 가장 낮은 NDF 및 ADF 함량을 나타냈으며, 이 결과는 차광수준이 75%에서 특히 현저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비음정도가 높은 산림에 임간초지를 조성할 땐 orchardgrass를 주초종으로 하고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ladino clover, perennial ryegrass, timothy 혼파하여 조성하고, 비음정도가 낮은 곳에서는 orchardgrass를 주초종으로 Kentucky bluegrass, ladino clover, timothy를 각각 혼합하여 조성하여 관리하면 산림자원과 함께 초자원이 공존하는 친환경 축산의 길이 모색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사료자원으로서 Chufa (Gyperus esculentus L.)의 생장특성과 사료가치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Chufa (Cyperus esculentus L.) for Forage Resource)

  • 이성규;황의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02
  • Chufa(Cyperus esculentus L.)는 고온성 사초과 식물의 일종으로 여름기간에 잘 자란다. 지상부는 주로 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부는 수염뿌리가 뭉쳐 나있고 끝에 괴경이 달린다. 파종 당년에는 출수가 되지 않고 괴경을 많이 생산한다. 번식은 괴경에서 분얼이 많이 나오는 영양번식을 하며 이 분얼이 다발모양(bunch type)의 포기를 형성한다. 성숙기의 초고는 73~75cm 전후이며 7월 중순에 거의 성장이 완료된다. 포기당 분얼의 수는 7월말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8월 이후는 서서히 증가하지만 생장이 빈약하였다. 지상부의 최종 생초수량은 40.3ton/ha, 건물수량은 12.2ton/ha이다. 재생력은 생장초기에는 강하지만 2회 예취후는 재생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무예취구에서 최종 수확기의 포기당 괴경의 수는 722개, 1$m^2$ 당 생체량은 4.2kg, 건물량은 1.9kg이었다. 예취구의 경우 괴경의 생산량은 예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8월 이후에는 이미 괴경생산이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였다. chufa의 영양생장기 지상부 사료가치는 우수하였으나 생장이 진행될수록 낮아졌다. 최종 수확한 지상부의 조단백질, NDF, ADF, DMD, TDN 함량은 각각 6.1%, 81.5%, 39.8%, 33.2%39.40%, 괴경의 영양성분은 각각 6.0%, 68.3%, 15.5%, 50%, 51.8%였으며, 특히 지방 함량은 16.2%로 높았다.

화학비료와 액상분뇨 시용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토양의 NO3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and Liquid Manure Applic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and NO3 of Soil)

  • 이상무;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7-244
    • /
    • 2004
  • 본 실험은 석회, 돈분액비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토양의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토양 전처리, 기비, 추비를 각각 달리처리한(C구: 화학비료 + 화학비료, T1; 석회 + 화학비료 + 화학비료, T2; 돈분액비 + 돈분액비, T3; 석회 + 돈분액비 + 돈분액비, T4; 돈분액비 + 화학비료) 5처리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초장, 착수고, 암이삭 비율, 건물율)은 석회로 토양을 교정하고 기비와 추비를 돈분액비로 처리한 T3구가 가장 좋았던 반면, 토양교정 없이 기비 및 추비를 화학비료로만 처리한 대조구(C구)가 낮은 경향치를 보였다. 건물 및 TDN 수량에 있어서도 T3구가 각각 18,611 및 13,746kg/ha로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나타낸 반면 T1구는 13,529 및 9,541kg/ha로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NDF 및 ADF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생육 특성이 떨어지고 수량(건물 및 TDN)이 낮았던 T1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토양 성분중 질산염은 시용 비료에 따라 뚜렷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50cm 토양에서는 전 처리구 모두 시험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농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100cm 토양에서는 C, T1 및 T4구는 50cm구와 같은 경향을, T2구와 T3구는 후기에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