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pathogen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6초

Corosolic acid에 의한 Staphylococcus aureus의 생장 및 생물막 형성 저해 (Inhibition of growth and biofilm form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by corosolic acid)

  • 염수진;김승민;유연철;정희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6-15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보고된 바 없는 corosolic acid의 항균활성에 대해 대표적 식중독균 중 하나인 S. aureus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대수기의 S. aureus에 corosolic acid를 처리하여 생장 저해 여부를 확인하였고, broth micro-dilution 방법과 agar disc diffusion 방법을 통해 corosolic acid의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corosolic acid의 농도에 비례하여 S. aureus 생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orosolic acid의 존재 조건에서 S. aureus의 바이오필름 형성능이 MIC 보다 높은 농도뿐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 역시 저해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천연물질인 corosolic acid는 S. aureus에 의한 식품 오염을 억제하고 식중독 예방 및 잠재적 치료제로서 개발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다른 종류의 식중독균들에 대한 적용 가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제조 환경에서 식품위해세균의 교차오염 감소를 위한 청동합금 유기의 살균효과 (Inactivation Activity of Bronze Alloy Yugi for Reduction of Cross-Contamination of Food-borne Pathogen in Food Processing)

  • 이은진;박종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9-313
    • /
    • 2008
  • 청동합금인 우리 전통 식기 놋그릇 유기 소재의 항미생물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주요한 식중독 세균인 Salmonella spp., E. coli O157, E. sakazakii, B. cereus의 배양액을 유기, 구리, 주석, 스테인레스 스틸 쿠폰에 노출 건조 후 생균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들 금속표면에서의 살균력 측정결과 Gram(-) 세균인 S. Typhimurium, E. coli와 E. sakazakii는 구리가 가장 높았고 유기, 주석표면,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표면 순으로 항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ram(+)인 B. cereus의 살균효과는 어느 금속표면에서도 살균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S. Typhimurium, E. sakazakii의 구리이온($Cu^{+2}$ 최소생육저해 농도는 25 ppm이었지만 B. cereus의 경우는 50 ppm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리와는 다르게 강한 경도를 갖고 있는 유기 소재를 식품제조 환경에 적용시킬 경우 Salmonella spp.를 포함한 주요한 Gram(-) 세균의 교차오염을 효과적으로 저감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uberostemonine에 의한 Staphylococcus aureus의 생물막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uberostemonine on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

  • 염수진;김승민;권준혁;정희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41-246
    • /
    • 2022
  • 본 연구는 S. aureus에 대한 tuberostemonine의 항균 및 항생물막 효과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S. aureus에 대한 tuberostemonine의 생장 저해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나, crystal violet 염색법과 CLSM 이미지 측정을 통해 tuberostemonine이 유의한 S. aureus 항생물막 효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 aureus의 생물막 형성과 분해 관련 유전자인 icaA와 agrA의 발현은 tuberostemonine를 처리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각각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생물막 형성 저해 및 분해 효과가 확인된 천연화합물인 tuberostemonine은 S. aureus의 내성 발생 위험이 적은 새로운 항생물막제제로서 사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유기상추의 생산환경 조사분석 (Assessment of Pre-Harvest Environmental Factors in Domestic Production of Organic Lettuce)

  • 남궁민;김범석;허성진;최용범;허장현;박덕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8-94
    • /
    • 2014
  • 현재까지 신선 농산물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화학적 및 생물적 위해요인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수확 후 또는 판매 농산물에 국한되었다. 그러나 최근 위해요인의 오염원 및 전염경로로 수확 전 생산환경 시료들이 주목되면서 생산환경 시료에 대한 위해요인 조사분석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관개수 및 퇴비 등의 수확 전 생산환경 시료와 수확 후 관리시료 들에 대한 화학적(잔류농약, 중금속) 및 생물적(호기성 미생물, 대장균군, 식품 위해미생물) 위해요인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시료수는 각각 화학적 위해요인 43 시료 그리고 생물적 위해요인 83 시료를 분석하였다. 유개재배지 시료 중에는 토양시료 1점에서 dimethomorph만이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관행재배지 살포농약의 오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관행재배지 시료에서는 시료간 동일검출 항목을 제외한 총 20 종류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또한 중금속의 검출은 유기 및 관행재배지 각 시료에서 나타났으나, 모두 우려기준 이하로 조사되었다. 한편 호기성 미생물은 7 log CFU/g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이보다 매우 낮은 농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5종의 식품 위해미생물 중에서는 Bacillus cereus만이 검출되었으나, 신선편의 식품의 검출한계보다 낮은 농도로 조사되었다.

New Virulence Factors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O157:H7 in Dairy Food Processing

  • Moon, Yong-Il;Oh, Sangnam;Park, Mi Ri;Son, Seok Jun;Go, Gwang-woong;Song, Minho;Oh, Sejong;Kim, Sae Hun;Kim, Younghoon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59-67
    • /
    • 2015
  •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O157:H7 is well-characterized as an important food-borne pathogen worldwide and causes human diseases such as diarrhea, hemorrhagic colitis, and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by producing shiga-like toxin (Stx). It has been reported that a number of dairy foods, including cheese, can act as the source of EHEC O157:H7 infections. In addition to the toxicity of Stx, recently it has been indicated that EHEC O157:H7 possesses virulence factors related to attachment, quorum sensing, and biofilms. Moreover, these novel virulence factors might become critical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production of food derived from animals. Here, we review the evidences that support these insights on new virulence factors and discuss the potential mechanisms mediating the pathogenesis of EHEC O157:H7 in the dairy food industry.

  • PDF

Label-Free Real-Time Monitoring of Reactions Between Internalin A and Its Antibody by an Oblique-Incidence Reflectivity-Difference Method

  • Wang, Xu;Malovichko, Galina;Mendonça, Marcelo;Conceição, Fabricio Rochedo;Aleixo, José AG;Zhu, Xiangdo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1호
    • /
    • pp.165-168
    • /
    • 2016
  • Surface protein internalin (InlA) is a major virulence factor of the food-borne pathogen L. monocytogene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bacteria crossing the host's barrier by specific interaction with the cell adhesion molecule E-cadherin. Study of this protein will help to find better ways to prevent listeriosis. In this study,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InlA was used to detect InlA. The reaction was label-free and monitored in real time with an oblique-incidence reflectivity-difference (OI-RD) technique. The kinetic constants kon and koff and the equilibrium dissociation constant Kd for this reaction were also obtained. These parameters indicate that the antibody is capable of detecting InlA. Additionally,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using OI-RD for proteomics research and bacteria detection.

A Detection Kit for Aeromonas hydrophila Using Antibody Sensitized Latex

  • Shin, En-Joo;Lee, Soon-Deuk;Lee, Kyung-Won;Lee, Ye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595-598
    • /
    • 2000
  • Aeromonas hydrophila is a pathogen to fish as well as human. It is a food-borne disease, and causes severe mortality in fish, and sometimes severe septicemia in human. In this study, a rapid detection method using latex agglutination has been developed for A. hydrophila. Polyclonal antibodies were raised against membrane and whole cells of three isolates from rainbow trout. Among these, latex particles coated with antibodies raised against whole cells of isolate No. 2 showed the best sensitivity. With latex particles coated with this antibody, we could detect $5{\times}10^4$ CFU of A. hydrophila in 5 min. The cross-reactivity with bacteria constituting the normal intestinal microflora and other pathogens for rainbow trout was insignificant. This latex agglutination assay method produced positive reaction with all clinical isolates of A. hydrophila which were identified by species-specific PCR for 16S rRNA in A. hydrophila.

  • PDF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Zanthoxylum piperitum A.P. DC.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 Choi, Soo-Im;Chang, Kyung-Mi;Lee, Yong-Soo;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95-198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anthoxylum piperitum A.P. DC. as a source of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Essential oils of Z. schinifolium and Z. piperitum A.P. DC. were collec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analyzed by GC-M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was examined using the agar diffusion and micro-dilution assays. The effectiveness of Z. schinifolium essential oil was greater against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than other pathogens, an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were 1.25, 2.5, and 1.25, 2.5, and $1.25\;{\mu}g/mL$, respectively. Z. piperitum A.P. DC. essential oil was the most effective against all pathogens tested except for Escherichia coli O157:H7, and the MIC values against B. cereus, Salmonella choleraesuis, and V. parahaemolyticus were 1.25, 2.5, and $1.25\;{\mu}g/mL$, respectively. Limonene, the major component of Z. piperitum A.P. DC. essential oils, ha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toward V. parahaemolyticus with a MIC value of $0.15\;{\mu}g/mL$. Meanwhile, citronellal and geranyl acetate, major components of both essential oils, display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ly B. cereus with MIC values of 1.25 and $5\;{\mu}g/mL$, respectively. Therefore, these essential oils could be useful as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유용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의 분리와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 홍성욱;배효주;장진희;김소영;최은영;박범영;정건섭;오미화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53-159
    • /
    • 2013
  • 유아 분변, 우분, 염소 분변, 개 분변, 돼지 분변, vaginal tract 채취물, 채소류, 부패한 과일류, 김치, 젓갈, 발효 소세지, 원유, 치즈, 발효유, 청국장, 메주, 막걸리 등 다양한 시료로부터 3,000주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미생물은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S. enterica serovar Enteritidis에 대해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박테리오신 생산 미생물 26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16S rDNA gene sequencing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Enterococcus faecalis(7주), E. faecium(8주), E. hirae(5주), Lactobacillus acidophilus(1주), L. amylovorus(1주), L. curvatus(2주), L. plantarum(1주), Pediococcus acidilactici(1주)와 같이 8종의 미생물이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생물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은 대부분이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성 물질이어서 인간 또는 동물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므로 식품에서 안전한 천연보존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통 수산물에서 분리한 Vibrio parahaemolyticus의 항생제 내성 및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한 유전적 특성 분석 (Whole-Genome Sequencing-based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Genetic Profile Analysi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Seafood in Korea)

  • 송경규;조현우;김연아;장범순;이미루;박건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1-238
    • /
    • 2024
  • 국내에서 V. parahaemolyticus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 수산물 판매량 및 수산물 양식에 사용되는 항생제 판매량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는 수산물에서 분리한 V. parahaemolyticus의 분포, 항생제 감수성, 유전적 특성 및 유전학적 통계를 조사하였다. 79건의 유통 수산물로부터 47건(59.5%)에서 V. parahaemolyticus가 분리되었다. 항생제 내성 양상의 경우, 총 47균주의 분리 균주에서는 ampicillin에 2균주(4.3%)가 내성을 보였으며, 이외 균주는 모든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을 보였다.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경우, 모든 균주(100%)로부터 blaCAR family gene, tet(35), catC가 확인되었으며, 1균주(2.1%)에서는 fos가 확인되었다. 병원성 유전자 여부의 경우, 모든 분리 균주에서 tdh, trh 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T3SS1은 모든 균주(100%), T3SS2는 1균주(2.1%)에서 확인되었다. MLST의 경우, 17균주로부터 15가지의 ST가 확인되었으며, ST 658가 3균주, 이외 14가지 ST는 1균주씩 확인되었다. 확인된 ST는 대부분 중국, 태국 등의 환경 분리주로 확인되었으며, ST 396, ST 3042는 중국 임상 분리주로부터 확인되었다. 이로써, 최근 국내에 수산물과 관련한 식중독, 유통량, 항생제 판매량 등의 추세에 따른 위험성에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는 그에 대한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