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processing plant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9초

가열 햄 및 소시지류 제조공장에서 식중독 세균에 대한 오염 분석 (Analysis of Foodborne Pathogenic Contamination of Cooked Hams and Sausages in Korean Processing Facilities)

  • 박현정;고은경;위성환;윤하정;허은정;김영조;이희수;문진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3-111
    • /
    • 2012
  • 현재 국내 일부 햄과 소시지류 제조공장에서 식중독 세균에 대한 제어방안으로서 1차 가열살균 이후 제품포장 단계에서 2차 가열살균을 추가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 2월부터 11월까지 국내 10개 육가공제조회사에서 햄류 53개 품목과 소시지류 37개 품목의 동일 롯트에서 1차 가열 시료와 2차 가열까지 실시한 시료를 각각 6개씩 채취하여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에 따라 Salmonella spp., S. aureus, L. monocytogenes 및 C. perfringens 식중독 세균 오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햄과 소시지류 총 1,080건에 대한 검사 결과 S. aureus는 2개 제조회사에서 생산한 햄 4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중 3건은 1차 가열제품에서 나머지 1건은 2차 가열살균까지 처리한 제품에서 검출되었다. L. monocytogenes는 5개 제조회사에서 햄류 4건, 소시지류 8건을 포함하여 총 12건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7건은 1차 가열 처리한 제품에서, 나머지 5건은 2차 가열까지 처리한 제품에서 각각 검출되었다. C. perfringens는 3개 제조회사의 햄류 1건과 소시지류 2건에서 검출되었으며, 1차 가열만 한 제품에서 1건, 2차 가열까지 한 제품에서 2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이에 반하여 Salmonella spp.는 한 건도 검출되지 않았다. 1차 가열살균 제품과 1차와 2차 가열살균 과정을 모두 처리했을 때를 비교하면 3가지 식중독 세균의 검출률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또한, 제조 회사의 햄과 소시지류에서 분리한 L. monocytogenes 균주를 대상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FGE를 실시한 바, 동일 가공장에서 분리된 균주들간 80%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햄 및 소시지류 제조회사에서 식중독 세균의 제어를 위해서는 원료 및 제조단계에서부터 가공 과정에서의 교차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위생관리와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체계적인 식중독 세균에 대한 위생관리를 완성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icient Extraction Methods and Analysis of Essential Oil from Softwood Leaves

  • Yang, Jae-Kyung;Kang, Byung-Kook;Hong, Seong-Cheol;Park, Woo-Jin;Kang, Min-Jung;Kang, Young-Min;Jung, Hee-Young;Kang, Seung-Mi;Kim, Won-Jung;Min, Ji-Yun;Bahk, Dong-Jin;Seo, Won-Taek;Choi, Myung-Suk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년도 식물바이오벤처 페스티발
    • /
    • pp.194-194
    • /
    • 2003
  • PDF

해외 주요국가의 농·식품 R&D 투자 정책 및 동향 (Investment policy and trends of agri-food R&D in major overseas countries)

  • 홍석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4호
    • /
    • pp.410-421
    • /
    • 2020
  • 농·식품 분야의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 수립과 관련해서, 해외 주요국가의 R&D 정책 및 투자 동향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해외 주요국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선진국을 중심으로 농·식품 분야 R&D에 대한 지속적인 정부 지원과 함께 효율적인 자원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농산업 생산성에 대한 공공투자를 줄이고, 기후변화·식량안보·식품안전·국민건강·자연환경 등의 사회문제 부각에 따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제와 환경 간의 조화, 인체영양과 건강뿐만 아니라 동식물 건강, 통합적 생태계 접근 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식품 분야는 식품안전, 영양과 건강을 중심으로 공공부문이, 식품가공, 제조는 민간부문이 주로 투자하는 편이다. 한편 일본이나 중국의 경우에는 민간투자보다 공공부문에서의 투자가 크게 앞서고 있으며, 정부가 중장기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등 연구개발혁신을 주도하는 입장이다. 비록 국가마다 시급한 현안사항과 대응방안이 다르지만, 농·식품 분야 연구개발혁신 및 발전전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의 상호보완적 역할 분담을 바탕으로 긴밀한 협력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팜 생산 새싹마늘의 부위별 및 생육 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of garlic sprouts produced by smart farms during growth)

  • 최유리;김수환;이채미;이동훈;이채윤;조형우;정재희;오임경;하호경;김정실;허창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2-28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에서 생산된 새싹마늘의 부위별과 생육기간별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과 조회분의 경우 생육기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생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시료구에서 주요 유리당은 fructose로 나타났으며, 주요 유기산은 oxailc acid와 citric acid로 나타났다. 새싹마늘의 총유리당과 유기산은 생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은 모든 시료구에서 K와 P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새싹마늘의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새싹마늘의 유리아미노산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새싹마늘의 어린잎(SL)을 제외한 다른 시료구들의 argine은 감소하였으며, glutamic acid는 새싹마늘의 뿌리(SR) 시료구를 제외한 모든 시료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lliin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otal thiosulfinate는 일반 마늘 89.24 mmol g-1, 새싹마늘 71.16-82.36 mmol g-1으로 나타났다. 총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총폴리페놀 함량은 생육기간에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플라보노이드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새싹마늘의 DPPH와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및 SOD 유사 활성은 각각 37.45-65.47%, 59.12-89.81% 및 89.52-98.59%로 일반 마늘 대비 발아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새싹마늘은 일반 마늘 대비 발아에 의해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이 향상되었으며, 최적 생육기간은 20일로 나타났다. 이는 기능성 및 식품 가공 소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산 시유의 소비 증진을 위한 유통 구조 개선 방향 (Reform Measures of Distribution Structure to Promote Domestic Milk Consumption)

  • 정운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32-38
    • /
    • 1999
  • Korean dairy industry is placed on the very critical situation with the progress of free trade marketing system internationally. To keep and improve the dairy food market, better measures are imperative for dairy industry. Especially, the milk distribution system is premodern to some extent, in comparison with both the production and the processing part of dairy industry. Reform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domestic milk consumption by lowering the distribution cost are as follows. First, out-sourcing of the logistics department can decrease the circulation cost of milk. Secondly, milk should be packed into large-size package(more than 1 liter) to save both package and distribution cost. Thirdly, milk should be distributed from plant to consumers through the hygienic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perfect cold chain system, Above reform measures can not come true through the efforts taken by one company but through co-worker, concerted research, and joint in-vestment among dairy companies that can reduce the distribution cost and provide consumers with the best service, eventually resulting in the increment of milk consumption.

  • PDF

시유의 유통기간 결정에 관한 학문적 고찰 (Scientific Consideration in Determining Shelf Life of Market Milk)

  • 최석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27-35
    • /
    • 2004
  • The shelf lift of market milk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flavor which i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and sanitary conditions of dairy farm, milk processing plant, and storage and transportation facility as well as compositional quality, such as protein and fat, of the milk itself. The legal shelf life of market milk is often limited by microbiological quality, e.g. total bacterial count, coliform count, and food poisoning bacteria. The bacteria involved with milk spoilage and poisoning are originated from bacteria contaminating milk after pasteurization or spores surviving the heat treatment of pasteurization. The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helf life of market milk ar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milk, pasteurization condition, post-pasteurization contamination, and temperature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The organoleptic quality and shelf life of market milk should be further improved by satisfying the consumer's taste, which depends on somatic cell count and bacterial count of milk, feed quality, foreign substance in milk, and physical treatment during processing and transportation.

  • PDF

축산물가공공장 살균소독제 처리 및 효과 평가 (Treatment and Effect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in Animal Food Manufacturing Plant)

  • 연지혜;김일진;박기환;박병규;박희경;박대우;김용수;김형일;전대훈;이영자;하상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99-603
    • /
    • 2006
  • 본 연구는 축산물가공공장에서의 살균소독 방법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주요 육가공기계 표면인 stainless steel 표면 test와 실제 축산물가공공장 적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네 가지 식품위해 세균을 대상으로 simulation한 결과, E. coli, S. aureus, S. Typhimurium에 대하여는 hydrogen peroxide(1,100ppm), iodophor(25ppm) 사용 시 각각 3.5, 3.4, 3.0 log 정도의 균 감소를 보여 살균효과가 가장 컸으며,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200 ppm), hydrogen peroxide(1,100 ppm), iodophor(25 ppm)가 가장 좋은 약 2.8 log의 균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대체적으로 alcohol(70%)의 효과가 가장 낮았고, hydrogen peroxide(1,100 ppm), iodophor(25 ppm)가 비슷한 수준으로 살균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에서는 peroxy compounds와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를 적용한 결과, 총균수와 대장균군수 모두 물세척에 비해 큰 균 감소효과를 볼 수 있었다.

신선편이 양배추 제조공정 단계별 미생물 변화: 공기 중 미생물 변화를 중심으로 (Changes of Microorganisms During Fresh-Cut Cabbage Processing: Focusing on the Changes of Air-Borne Microorganisms)

  • 서정은;이종경;오세욱;구민선;김영호;김윤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8-293
    • /
    • 2007
  • 작업장 내 공기오염의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신선편이채소 작업장 내 실내 공기와 제품에서 검출되는 미생물 종류 및 수준을 조사하고 양배추 생산작업을 대상으로 관련된 작업공간의 공기 미생물, 작업설비 및 세척수, 원료 및 제품에 대하여 미생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공기 중의 미생물은 air sampler를 이용하여 1000 L의 공기에서 부유균을, plate count agar를 이용하여 낙하균을 각각 8 회 포집하여 분리하였으며 그 외 장비와 제품에 대한 미생물은 총균수 측정 후 colony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은 Vitek (R)2 compact system으로 동정하였다. 부유균과 낙하균의 총균수준은 각각 $10^2-10^3CFU/m^3,{\sim}10^1CFU/plate$, 또한 원료, 생산라인 및 최종제품에서 검출된 총균수준은 각각 $10^3CFU/g,{\sim}10^4CFU/cm^2,\;10^4CFU/g$수준이었다. 동정결과 생산과정의 여러 검체에서 공기미생물과 같은 균종이 검출되어 공기 미생물이 제품의 오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lternaria mycotoxins and its incidence in fruits and vegetables

  • Patriarca, Andrea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13-13
    • /
    • 2018
  • Alternaria is a ubiquitous fungal genus, widely distributed in the environment and a range of different habitats. It includes both plant pathogenic and saprophytic species, which can affect crops in the field or cause post-harvest spoilage of plant fruits and kernels. Numerous Alternaria species cause damage to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cereal grains, fruits and vegetables, and are responsible for severe economic losses worldwide. Most Alternaria species have the ability to produce a variety of secondary metabolites, which may play important roles in plant pathology as well as food quality and safety. Alternariol (AOH), alternariol monomethyl ether (AME), tenuazonic acid (TeA), tentoxin (TEN) and altenuene (ALT) are considered the main Alternaria compounds thought to pose a risk to human health. However, food-borne Alternaria species are able to produce many additional metabolites, whose toxicity has been tested incompletely or not tested at all. Both alternariols are mutagenic and their presence in cereal grain has been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human esophageal cancer in China. TeA exerts cytotoxic and phytotoxic properties, and is acutely toxic in different animal species, causing hemorrhages in several organs. The possible involvement of TA in the etiology of onyalai, a human hematological disorder occurring in Africa, has been suggested. Altertoxins (ALXs) have been found to be more potent mutagens and acutely toxic to mice than AOH and AME. Other metabolites, such as TEN, are reported to be phytotoxins, and their toxicity on animals has not been demonstrated up to now. Vegetable foods infected by Alternaria rot are obviously not suitable for consumption. Thus, whole fresh fruits are not believ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with Alternaria toxins to human exposure. However, processed vegetable products may introduce considerable amounts of these toxins to the human diet if decayed or moldy fruit is not removed before processing. The taxonomy of the genus is not well defined ye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stablish an accurat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minant species and their associated mycotoxins. Great efforts have been made to organize taxa into subgeneric taxonomic levels, especially for the small-spored, food associated species, which are closely related and constitute the most relevant food pathogens from this genus. Several crops of agricultural value are susceptible to infection by different Alternaria species and can contribute to the entry of Alternaria mycotoxins in the food chain. The distribution of Alternaria species was studied in different commodities grown in Argentina. These food populations were characterized through a polyphasic approach, with special interest in their secondary metabolite profiles, to understand their full chemical potential. Alternaria species associated with tomato, bell pepper, blueberry, apples and wheat cultivated in Argentina showed a surprisingly high metabolomic and mycotoxigenic potential. The natural occurrence of Alternaria toxins in these foods was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here presented will provide background for discussion on regulations for Alternaria toxins in fo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