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od preservatives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 유통 알부틴 함유 미백 기능성화장품 중 히드로퀴논 및 살균보존제 안전성 조사 (Investigation on the Safety of Hydroquinone and Preservatives among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s Containing Albutin in Korea)

  • 조중희;김지형;엄선아;강민정;한영선;허명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99-408
    • /
    • 2019
  • 미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알부틴은 피부질환 및 발암물질로 알려진 히드로퀴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살균보존제는 화장품을 장기간 보관 및 사용 중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독성 및 피부 자극 등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으로 판매되는 알부틴 함유 미백 기능성화장품 40건을 대상으로 히드로퀴논과 살균보존제 21종에 대하여 함량 및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히드로퀴논은 9건이 검출 되었으며, 이 중 7건에서 0.3 ~ 0.9 ppm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설정한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2건에서는 8.4 ppm, 50.5 ppm으로 검출이 되어 기준을 초과하였다. 살균보존제는 40건 중 20건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 항목 및 범위는 페녹시에탄올 0.1 ~ 0.7% (15건), 메틸파라벤 0.19 ~ 0.21% (2건), 클로르페네신 0.13% (1건), 클로르헥시딘 0.006%(1건), 프로필파라벤 0.06% (1건) 로 모두 기준 이내로 검출되었다. 또한 화장품 중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법에 의하여 1차 또는 2차 포장에 기능성 화장품이라는 단어를 표기해야 하지만 40건 중 1건에서 표기가 되어 있지 않았다. 실험 결과 살균보존제는 안전하게 관리 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히드로퀴논이 검출된 제품은 알부틴이 분해되어 생성되었다고 사료 되어 알부틴의 분해에 대한 추가적 연구 및 품질관리의 개선이 요구된다.

천연보존제 나린진과 키토산의 비교....LM & TEM적 소견 (The comparative of Naringin and Chitosan using Natural preservation agents by LM and TEM)

  • 김인숙;유근창;채수철;이종빈;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83-292
    • /
    • 2005
  • 본 연구는 가토안에서 나린진과 키토산의 효능을 조사하였다. 나린진의 주성분은 자몽씨 추출물로서 이는 항산화, 항균, 항암제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식품보존제와 화장품에 널리 사용된다. 또다른 천연 보존제중 하나인 키토산은 식품보존제, 건강음료, 차에 사용되며, 갑각류의 외피나 곤충의 표피, 곰팡이 및 효모 등의 세포벽에 널리 분포되어 인체에 독성이 없으면서도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항균성을 보이는 천연항균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장용함으로써 각 결막 독성과 감염을 일으키는 화합보존제를 대체할 천연 보존제의 적당한 농도를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LM과 TEM을 사용하여 각막상피, 내피를 형태학적으로 비교하였다. In vivo 방법으로, 나린진과 키토산을 가토안의 안구에 직접 3-4방울을 일주일간 하루 4차례씩 점안하였다. 안구 적출 후, LM과 TEM을 통하여 각막의 손상상태를 관찰하였다. 손상된 세포는 대체적으로 키토산이 나린진보다 심하였다. 하지만 나린진도 1%의 농도에서는 세포에 손상을 주었다. 콘택트렌즈 보존제로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적당한 농도를 사용하는 것이다.

  • PDF

EQC모델을 이용한 Benzoic acid의 환경분포 예측 (Estimated Environmental Distribution of Benzoic Acid using EQC Model)

  • 박광식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8권1호
    • /
    • pp.63-67
    • /
    • 2003
  • Benzoic acid is produced about 700 tons/year in Korea as of 1998 survey. Most is used as a stabilizer in the processes of synthesis of pharmaceuticals and dyes. It is also used for ingradient of paint, disinfections, and antifungals. Due to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enzoic acid, the chemical is also used as food preservatives. Although the chemical is widely used in Korea, exposure levels in air, water, soil or sediment have not been monitored or estimated so that risk evaluation of benzoic acid was not possible. In this study, distribution of the chemical among environmental media was estimated using EQC model based on the chemical-physical properties. In Level I and II of which the chemical are hypothesized in equilibrium and no transfer through the media, more than 93% of benzoic acid are estimated to be distributed in water. However, in Level III of which non-equilibrium and intermedia transfer could be occurred, the chemical is estimated to distributed to soil, 64% and water,35% as of total amount.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s of Propolis)

  • 손영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9-194
    • /
    • 2003
  • 기존에 식품의 저장성 향상을 우해 사용되어졌던 방법들의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고 보다 효과적인 식품저장을 위해 전통적으로 식용되어 왔으며 그 안전성이 확보된 프로폴리스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식용되어 왔으며 그 안전성이 확보된 프로폴리스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탐색하고 건강 지향적인 식품보존제로서 이를 식품에 적용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가공식품개발에 활용코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를 보면 19.41% 수분, 0.39% 조단백, 5.12% 조지방, 0.15% 조회분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프로폴리스는 에탄올 60%, 에탄올 80% 추출물에서는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균성은 100% 에탄올 추출물로 실험한 처리구에서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이를 사용하여 유해 미생물들에 대한 농도별 항균 효과를 살펴보았다. 프로폴리스 추출물로 유해미생물을 처리했을 때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luteus는 1~2 mg/mL로 처리 시 생균수가 1~4log 감소하였고, E. coli는 3mg/mL로 처리 시, Bacillus cereus는 1~2 mg/mL의 노도로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해 생균수가 2log 감소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와 Shigella sonnei의 사멸효과는 0.1~3 mg/mL의 농도에서 생균수가 2~4log 감소하였다. Erwinia rhapontici의 사멸효과는 2 mg/mL 농도로 실험했을 때 2 log 정도 생ㅇ육저해효과를 보였고, Salmonella choleraesuis, Vibrio parahaemolyticus에서의 사멸효가는 크게 관찰할 수 없었다. 프로폴리스는 그램양성균에 대한 사멸효과가 그램음성균에 대한 효과 보다 더 우수하였다.

Effects of lemon or cinnamon essential oil vapo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rawberries during storage

  • Elise Freche;John Gieng;Giselle Pignotti;Salam A. Ibrahim;Helen P. Tran;Dong U. Ahn;Xi Fe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49-561
    • /
    • 2023
  • Recently, consumers have gained an interest in natural and minimally processed foods, inciting the food industry to consider using of natural products as preservatives. Strawberries are a widely consumed fruit but are also highly perishabl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rawberries (Fragaria×ananassa) were evaluated after a 12-h treatment with lemon essential oil (Citrus×limon) or cinnamon essential oil (Cinnamomum cassia) vapor during storage at 22℃ for 4 days in an accelerated shelf-life study and 4℃ for 18 days in a validation study. Weight loss was blunted in fruit treated with oil vapor during the first days of storage (p<0.05). Lemon essential oil delayed fruit darkening (p<0.05) but reduced the firmness of strawberries (p<0.05). Strawberries treated with cinnamon essential oil had a higher concentration of reducing sugars (p<0.05), and a decrease of 16.7% visible decay, although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Oil vapor treatment did not alter the pH, organic acid content, or soluble solid content during storage compared to the control. Since lemon and cinnamon essential oils have well-documented antimicrobial properties, they may be suitable for the natural preservation of fruit. This study provides new information on using essential oil vapor treatment to preserve fruits, and potentially decrease fruit loss and waste.

솔잎 추출물의 항균성 검색

  • 최무영;최은정;이은;임태진;차배천;박희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3-297
    • /
    • 1997
  • To develope natural food preservative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extract, pine needle sap, ethanol and ether extracts were prepared for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food-related bacteria and yeasts. All extracts exhibited growth inhibiting activities for most of microorganisms tested. However, in general, growth inhibiting activities were higher in ethanol extract than in sap or ether extrac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ethanol extract for Lactobacillus casei, Pseudomonas aeruginosa or Escherchia coli were as low as 0.1 mg/ml, whereas MIC of sap or ether extract for most bacteria and yeasts were 0.25-0.8mg/ml, indicating that the ethanol extract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by 2.5 $\sim$8 times higher than the sap and ether 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reduced by heating or alkali treatment. Moreover, growth of Pseudomonas aeruginosa was completely inhibited within 24 hours by the addition of at least 50ppm of ethanol extra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ine needle, specially the ethanol extrat may play a role for natural food preservatives.

  • PDF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 연장 방안 2. 보존제 첨가에 의한 연장 효과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Salted Myungran-jeot. 2. The Effects of Commercial Preservatives on the Shel-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 김상무;이근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461
    • /
    • 1997
  • Sodium lactateand sodium citrate, traditional food preservatives, were added to extend the shelf-life of the loow-salted Myungran-jeot, and various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Muungran-jeot, and various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Myungran-jeot femented at 1$0^{\circ}C$. pH was decreased in the beginning stage of fermentation and then increased, whereas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lactic acid production of the low-salted Myungran-jeot with preservative were lower than control. The NH$_2$-N content of the low-salted Myungran-jot with sodium citrate was increased in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Sodium citrate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VBN and TMA during the fermentation of Myungran-jeot, whereas sodium lactate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VBN and TBA. Sodium lactate inhibited the growths of proteolytic bacteris and fungi. The estimated shelf-lives of the Myungran-jeot with control, sodium lactate, and sodium citrate were about 11, 13, and 13 days, respectively.

  • PDF

광주지역 내 유통 중인 반려동물 사료·간식의 미생물 오염도 및 식품첨가물 사용실태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use of food additives for pet foods in Gwangju, Korea)

  • 임대웅;김지연;안아진;박지영;정하진;곽진주;서두리;이재기;장미선;지태경;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55-164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afety evaluation on 130 pet food products, which are distributed in Gwangju, South Korea. The microbial contamination part and the usage of food additives part were mainly investigated. The five microorganisms that we tested were total viable cell counts (TVC), Coliforms, Salmonella spp., Campylobacter spp.,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nd there were 15 products that exceed the microbial criteria or detected food poisoning bacteria. Specifically, Coliforms (13 products, 10%), TVC (9 products, 6.9%), Salmonella spp. (2 products, 1.5%), and E. coli (2 products, 1.5%) were followed. On the other hand, food additives such as preservatives, antioxidants and sodium nitrite were detected in 61 products. Among the preservatives, sorbic acid and benzoic acid were detected in 58 (44.6%) products. In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was detected in 3 (2.3%) products. In addition, preservatives and antioxidants were detected in 8 of 20 products labeled as 'additive-free'. Microbial contamination tended to occur mainly in small-scale individual homemade feed stores, while food additives were all detected in pet shops and supermarkets. Currently, the criteria for microorganisms and food additives for pet foods are insufficient in Korea.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etailed fee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companion animals.

치약제 및 구중청량제의 품질 실태 조사 및 안전성 평가 (A survey on status of quality and risk assessment in dentifrices and mouthwashes)

  • 곽재은;박원희;류회진;한진;최정은;김성단;황인숙;신용승
    • 분석과학
    • /
    • 제36권6호
    • /
    • pp.300-314
    • /
    • 2023
  • 유통되고 있는 치약제 31품목(어린이치약 6품목 포함) 및 구중청량제 18품목(어린이구중청량제 2품목 포함)의 불소 함량, pH, 보존제와 타르색소의 함량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 실태를 조사하고 기준 및 제품의 표시 사항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불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치약은 26건에서 48~1472 ppm, 구중청량제는 15건에서 85~225 ppm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었고 치약제와 구중청량제의 불소 검출률은 각각 83.9 %, 83.3 %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불소가 검출된 치약제와 구중청량제 41건 중 40건은 표시량의 90.7~109.8 %로 불소 함량 기준인 90.0~110.0 %에 적합하였으나, 치약 1건이 제품에 표시된 불소함량의 36.3 %로 부적합을 나타내었다. 치약의 pH는 5.1~9.4, 구중청량제의 pH는 4.2~6.2로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6종의 보존제 함량을 동시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은 치약 6건과 구중청량제 9건 총 15건에서 30.6 %의 검출률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소르빈산은 구중 청량제 9건(검출률 18.4 %)에서 검출되었으며,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 4종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황색4호 등 10종의 타르색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치약 2건, 구중청량제 7건 총 9건에서 적색40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3호, 녹색3호, 청색1호 등 6가지 종류가 검출되었으며, 청색 1호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치약제와 구중청량제에서 검출된 불소 농도, 첨가된 보존제와 타르색소는 제품의 표시사항과 일치하였고 표시면에 잘 기재되어 있었다. 검출된 보존제와 타르색소는 일일섭취량허용량과 비교하여 위해도가 낮아 안전한 수준이었다.

식품유해균에 대한 홍국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s)

  • 김은영;류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6-81
    • /
    • 2008
  •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색소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Monascus 균주 중 붉은 색소 생산력이 높은 6종의 Monascus 균주(M. araneosus KFRI 00371, M. kaoliang ATCC 46597, M. pilosus IFO 4520, M. purpureus IFO 4482, M. ruber IFO 32318 및 M. sp. ATCC 16437)로 홍국을 제조하고 색소 추출력이 높은 70% 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종의 Gram 양성균(Clostridium botulinum, Bacillus subtilis, B.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uteus, Listeria monocytogens), 3종의 Gram 음성균(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roteus vulgaris), 2종의 효모(Saccaromyces cerevisiae, Candida albicans) 및 1종의 곰팡이(Aspergillus flavus)에 대한 항균활성과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M. 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가 B. subtilis, B. cereus, M.luteus, S. aureus 및 S. typhimurium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 중 M. purpureus IFO 4482가 M. kaoliang ATCC 46597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대표적 식중독균의 하나인 S. typhimurium에 대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M.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의 시험 미생물 증식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른 증식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배양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천연의 붉은색을 띄는 홍국 추출물이 식품의 천연착색제 및 보존제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이 나타났다.